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질환 전문 교정시설에 대한 교도관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문기,박종선,Hong, Moon-Ki,Park, Jongs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교정시설 내 정신질환 수용자 수 급증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다양한 전문 수용시설의 확충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관계자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질환 전문 수용시설에 대한 교도관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한다. 2019년 국내 교정기관 6곳에서 근무 중인 교도관들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전문 교도소, 정신질환 전문 구치소, 정신질환 전문 수용동, 종합의료 교도소에 대한 교도관의 선호도와 다양한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도관들은 정신질환 전문 교도소 확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도관 나이, 정신질환 수용자의 교정위반 행동, 치료 또는 약물 거부, 관련 법령 미비, 교도관의 정신질환센터 근무 경험이 정신질환 전문 교도소의 선호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도관 직급은 이런 선호도를 낮추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를 통한 정책대안으로는 정신질환 전문수용시설 확충 과정에서 교정현장의 목소리 반영과 치료를 거부하는 정신질환 수용자들에 대한 법령의 마련을 제안한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교도관들의 특성 및 의견이 반영된 자료를 수집하여 다양한 변수들이 활용된 좀 더 분석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correction officer's preference toward institute for forensic psychiatr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orrection officers who worked at the six correctional facilities in 2019.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find the factors on the officer's prefere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rection officers had their own preference toward prison for forensic psychiatric, and the prefer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ge of the officer, work experience at the mental health center, mentally-ill prisoner's fighting as the rule-violation in prison, refusal of medical treatment, and lack of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mentally-ill prisoners. In contras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er's rank and the preference for forensic psychiatric. More work needs to be done in the future research to collect more samples and include a broader ranger of variables than now.

      • KCI등재

        브랜드 자산으로서의 웹 브랜드화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자동차 웹 사이트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홍문기(Moon Ki H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3

        본 연구는 웹 사이트를 기반으로 한 브랜드 자산(Web Brand Equity)의 구성요소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들 간의 관계를 밝혀 소비자 웹 브랜드 자산의 형성과정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브랜드와 브랜드 자산 등에 대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브랜드 자산의 일종인 웹 브랜드화(Web Branding) 개념을 도출하고, 웹 브랜화의 구성요인들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최종적으로 연구자는 소비자의 웹 브랜드화 관련 모든 요인들 간의 관계를 하나의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도출했다. 도출된 모형은 소비자가 어떤 과정을 거쳐 웹 사이트를 브랜드 자산으로 인식하는지 그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웹 브랜드화 과정에 있어 웹 브랜드 자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본 연구는 효율적인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of web brand equity based on commercial websites and marketing commnication sources affecting online customers` web branding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current study conceptualizes web branding based on the definition of brand equity of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dentifies the web branding factors and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marketing communication sources and consumers` web branding process.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llustrating the total relationships of all factors affecting consumers` web branding process.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exploratory study about consumers` web branding process employing car manufacturer web sites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marketing communication factors on web branding construct including web awareness, web presentation, and web loyalty.

      • KCI등재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홍문기(Moon Ki H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1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는 트위터의 이용동기와 소비자의 웹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살펴봤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트위터 이용자(twitterer)의 이용동기 유형을 구분하고 기존 논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기업/제품의 브랜드 관련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분석했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맥락에서 트위터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온라인 설문자료를 요인 분석한 결과 "정보교환을 통한 기업/제품 관련 이슈 참여", "상호작용성에 의한 팔로우어 집단 형성", "기업/제품에 대한 정보전달의 용이성", "휴식 및 오락" 등 소비자의 네 가지 트위터 이용동기와 "웹 인지", "웹 표현", "웹 충성도" 등과 같은 기업/제품의 브랜드 관련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인이 확인됐다. 이를 바탕으로 모수추정치에 근거한 모든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이 도출됐다. 이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의 트위터 이용동기 중 팔로워를 통한 집단형성 동기가 나머지 이용동기와 소비자의 웹사이트 인지 그리고 표현 변인을 매개하고 있음이 파악됐다.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를 마케팅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소비자들이 기업/제품의 브랜드 관련 이슈에 대해 많이 논의하는 것이 상호작용성에 근거한 온라인 집단형성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가 트위터와 같은 마이크로 블로깅(Micro-blogging) 미디어를 이용해 웹 브랜드 마케팅 전략을 추진하는 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online customers` uses and motivations in along with the traits of twitter in the web brand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xt. First,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customers` motivations of twitter usage in the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surroundings. Secondly, the researcher verified the differences of the motivation according to the twitter us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online customers who use twitter for online shopping.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the motivations of twitter users. Motivations of twitter usage were "Participat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Formation of Follower Group," "Convenient Communication Tool," "Easiness of Transferring Information,"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In addition, "Web Awareness," "Web Presentation," "Web Loyalty" were identified as factors related to web brand marketing. Based on these facto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uggested and tested to observe the paths among twitter users motivations and their web brand loyalty. In this study, "Formation of Follower Group" factor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on web brand marketing in the marketing communication context.

      • KCI등재

        메시지 정보원으로서 유명인과의 결합관계가 정치적 이슈 (이민문제)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홍문기 ( Moon Ki Hong ) 한국PR학회 2011 PR연구 Vol.1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elebrity endorsements in the political PR (Public Relations) context. Narrowing the focu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n expression of political opinion by a person with celebrity stat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son`s response or attitude toward a mediated message and the effect of the congruence between the source and the message on the basis of the match-up hypothesis. In order to observe credibility and match-up source effect models to compare reactions to political expressions by politicians, athletes and entertainers, the current researcher asked 177 Korean immigrants (2nd/3rd generation) to read a feature magazine article containing an expression of political opinion made by an actor, athlete, or politician. This study found that the actors (M=5.78) were perceived more credible than politicians (M=3.61) or athletes (M=4.21), although politicians (M=4.25) were perceived more expertise than actors (M=2.31) or athletes (M=2.27).

      • KCI등재후보

        사회과학연구 제28집 9호 : 재무지표와 계층적,비계층적 클러스터 기법을 활용한 PR 기업의 분류 및 경영현황 연구

        홍문기 ( Moon Ki Hong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PR회사 중 재무지표를 공개하거나 재무분석과 관련된 최소한의 자료가 공개된 국내 PR 업체를 대상으로 자산, 부채, 자본, 매출액, 영업이익 등을 분석해 PR기업에 대한 산업적 가치 평가를 시도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PR 기업의 신용평가를 위해 활용되는 기초 자료를 통해 PR 기업의 경영현황과 재무구조 등을 파악한 뒤 국내 기업들을 군집분석해 국내 PR 기업 중 선도 집단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한국신용평가정보 (NICE)에서 제공하는 재무지표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PR 기업의 경영현황을 매출액?영업이익에 근거해 PR 기업들을 분류했다. 특히 다변량 측정치를 동시에 고려해 유사한 성향을 가진 개체를 모아 군집을 형성함으로써 그 데이터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군집분석 을 통해 개체 간 유사성을 측정해 가장 유사한 개체끼리 순차적으로 묶어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PR 기업 군집의 병합과정 및 집단 간 거리를 도면을 통해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 수를 결정했다(최현철, 2007). 재무지표를 바탕으로 국내 PR 기업들 중 선도적 PR 그룹을 파악한 본 연구에서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군집별로 비교하는 변량분석(ANOVA)를 통해 선도적 PR 기업들의 특성을 파악했다. 이는 국내 PR기업의 시장현황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 PR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current researcher examined multiple financial index factors of Korean PR companies. Analyzing the multiple financial indicators related to assets, debt ratio, total sales, profit ratio, ...etc.,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Korean PR compan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managerial soundness of Korean PR companies were observed based on their total sales, business profits, and debt ratio. Employ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current researcher observed and identified the group of Korean PR companies which may lead Korean PR industry in the future. Using a method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hich seeks to build a hierarchy of clusters based on the means of data, this study remarked three different groups of Korean PR companies. Finally, leading Korean PR companies were recognized based on their total sales and business profits with ANOVA tes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ome strategic arguments regarding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PR industry were discussed.

      • KCI등재

        네이티브 광고 유형이 신문 독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문기 ( Moon Ki Ho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기사형 광고와 유사한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 효과를 살펴봤다. 선행 연구를 통해 기사형 광고가 광고회피를 줄인다는 주장 (예: (Kaufman, 1982; van Reijmers Neijmersdal, & Smith, 2005)이 제기된 상황에서 기사형 광고의 디지털 버전으로 인식되는 네이티브 광고가 인터넷 신문 이용자의 광고회피를 피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는지 연구했다. 네이티브 광고 효과와 관련해 네이티브 광고 유형에 따라 이용자들이 제품·서비스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용자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지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우선, 문헌 검토를 통해 인터넷 신문에서 유통되는 네이티브 광고의 유형을 전형적인 협찬·기획·기사형 광고 형태로 구성된 In-Feed, 자동 검색기능과 조합된 추천 위젯, 배너 광고 방식을 활용한 Ad-Banner 유형으로 구분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네이티브 광고에 대해 이용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가장 높은 광고 효과가 나타난 것은 Ad-Banner형 네이티브 광고였고, 다음으로는 In-Feed형 광고가 광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으로 자동 검색기능과 조합된 추천 위젯 광고는 광고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네이티브 광고에 광고주, 제품·서비스의 브랜드 관련 정보를 담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도 살펴봤다. 그 결과, 이용자들은 네이티브 광고 유형의 구분 없이 광고주와 브랜드를 노출시킨 광고에 대해 그렇지 않은 광고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와 많은 구매 의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본 연구에서는 기사 형식의 스폰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노출되는 네이티브 광고 효과에 대한 실무적 함의에 대해 논의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native advertising types on Internet newspaper user`s perception. In order to observe the types of native advertising effects, the current researcher studied online user`s attitude·brand attitude·purchase intention through Internet newspaper. For an analysis of native advertising types, this study proposed three different types of native advertising: In-Feed, Proposed Widget, Ad-Banner.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he result shows that in a condition of Ad-Banner is most effective than any other native advertising typ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advertising labelling in native advertising contents is more effective than non-labelling which have potential to make consumer misperceive advertorial as media editorial. Other meaningful result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

      • KCI등재

        PR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생중계 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률 간의 조직-공중관계성 연구

        홍문기(Hong, Moon Ki),황영찬(Hwang, Young Chan)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6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1 No.1

        In this study, the current researchers studied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PR communication activities on the live TV coverage ratings of sports programs. To explore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PR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current researcher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s (broadcasting companies) and publics (people who watch the live TV coverage of sports programs, especially).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s and studies related to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this study analyzed the ratings of live sports events coverage and the variations of online buzz. Regarding the live TV coverage ratings, finally, this study discover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due to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PR communication activities. Relate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are added to encourage future studies relying on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ratings.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지난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생중계 방송시청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봤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소치 동계 올림픽 스포츠 경기를 생중계했던 방송사들 중 별도의 온·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추진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과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을 비교·분석했다.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온·오프라인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공중관계성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조직(방송사)-공중(시청자) 간의 공중관계성 형성을 위한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한 방송사의 생중계 방송 시청률이 그렇지 않은 방송사의 시청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자들은 한국 경기에 대한 시청자 응원 확대와 PR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트위터 버즈량(트위터 등 SNS를 통해 확산된 특정 메시지 전달 빈도의 통계적 산술값)의 변화와 이 버즈량의 변화가 시청률 경쟁 상황에서 형성한 공중관계성의 의미·가치 등에 대해 논의했다.

      • KCI등재

        독일 통일 전후 청소년정책과 민간사회복지단체 디아코니아의 역할

        홍문기(Moon Ki Hong),김웅수(Woong Soo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8 No.-

        본 연구는 독일 통일 전후의 청소년정책의 변화와 함께 통일 과정에서 민간사회복지단체인 디아코니아의 청소년복지 관련 지원과 역할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독일 통일 전후와 과정의 청소년정책에 대해 사회정책 분석 틀을 활용하여 법체계, 전달체계, 서비스, 예산 등에 대해서 탐색한다. 또한 본 연구는 민간사회복지단체인 디아코니아를 중심으로 통일 전후 청소년복지 지원과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한다. 독일 통일 전후 청소년정책과 민간사회복지단체 디아코니아 활동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는 구동독 지역 청소년의 사회통합정책을 위해 법과 전달체계가 구축되어 있으며, 사회적 안전망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둘째로 독일의 복지는 공공복지와 디아코니아의 역할 수행이 명확하면서도 상호 협력적이며 보충적인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로 민간사회복지단체인 디아코니아는 독일의 통일 전후 제도적 근거 확립과 청소년 문제 예방과 개입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의 통일국가 형성에 있어서 민간복지단체인 디아코니아는 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적인 복지인력 양성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upport and role of Diakonia, a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in relation to youth welfare in addition to the changes in youth policies before and after German reunifi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legal system, delivery system, service, and budget, using the social policy analysis framework for the youth policy before and after German reunification. Also, this study explains the support of youth welfare and the role in the pre- and post-reunification period, centering on the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Diakonia. To look at the youth policies before and after German reunifi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the activities of Diakonia, a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irst, the law and the delivery system are establish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policy of the East German youth, and they are supported through the social safety net. Second, the welfare of Germany has clear, cooperative and complementary system of public welfare and the role of Diakonia. Third, Diakonia, a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has been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to establish institutional grounds for pre- and post-reunificat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youth problems. Finally, Diakonia, a private welfare organization is trying to develop professional welfare workers and programs to support youth in the formation of a reunified nation in German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