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가부장 살해 소재 설화의 문화사회적 의미

        홍나래 한국구비문학회 2016 口碑文學硏究 Vol.0 No.42

        Owing to the reinforced patriarchal gender politics in late Joseon Dynasty, many stories for the women of chaste reputation( In Korean, “Yoelnyo” 烈女) spreaded nationwid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many stories about women who killed her husband.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meaning of cultural sociology on the ‘killing-husband’ themed narratives in late Joseon Dynasty. This kind of stories had been transmitted as didactic and interesting themes. This kind of narrative tells that the adultery must result in marital homicide then give rise to a storm of one´s indignation. It looks just like moral issues, but it hides misogyny. Anger against crime leads to violence, and the judgment ending style gives impress to the people. therefore, many people like these stories. The narrative of the victory gives the ethical pleasure to mem who were on the fe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arrative will dominate the imagination of the community in cooperation with the reality of the incident, law, norms. When the narrative recognize women's sexual desire and murder as the anger of the sub-entities, or simply consider it as the personal conflict,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the patriarchal killing is awake. In 1924, the beauty syndrome who killed her husband, showed the crack of the symbol of the patriarchal killing narrative. Typical symbol of the patriarch killing narrativ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ollapsed in early 20th century. However, it is still in progress to establish one’s subjecthood using morally differentiated to others and hatred of the subject. 가부장제가 강화되고 다양한 열녀 이야기가 미담으로 쏟아지던 조선후기, 한편에서는 남편을 살해하는 여인들의 이야기가 활발하게 등장하였다. 본고는 본부 살해 소재가 간통ㆍ살인ㆍ응징과 같이 격한 감정을 야기하며 인물설화에 결합되어 인기리에 전승된 당대 문화사회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예로부터 기혼 여성의 몸은 우리 문화에서 권력의 역학관계로 인식되고 있었는데, 본부살해 서사는 강력한 통치 질서 정립의 의지를 표상하였다. 조선사회는 이러한 성정치를 강화하여, 후기로 갈수록 여성의 품행에 대한 규제를 엄중히 하고 간통ㆍ본부살해를 가부장에 대한 불의(不義) 나아가 시역(弑逆)으로서 그 위상을 점점 강화하였다. 이는 신분제 붕괴와 새로운 시대정신이 요구되는 조선후기 사회에서 통제와 연대를 통한 강력한 가부장 질서를 확립하겠다는 문화정치였다.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성정치는 법과 제도의 정비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남녀ㆍ상하가 공감하는 문화적 기제를 통해 공고히 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가부장 살해 서사가 교훈적이고 흥미롭게 전승되며 그 역할을 담당했는데, 여기에서는 간통과 살인을 필연적으로 연결시켜 여성ㆍ계급에 대한 혐오와 감시를 도덕성으로 감추고, 범죄ㆍ악에 대한 분노를 활용해 잔혹하고 의례적인 징치 상황을 연출하면서 승리의 감동과 공동체적 연대 의식을 고취하였다. 이로써 이데올로기적 서사는 신분질서가 와해되고 새로운 시대정신을 요구하며 변화하던 조선후기, 축소되어가는 가부장의 불안과 공포를 위로하고 윤리적 쾌감을 자극하면서 다양하게 활성화되었으며, 실제와 허구를 넘나들며 사실ㆍ법ㆍ규범과 공조하여 더욱 진실다운 이야기로서 문화공동체의 상상을 지배하게 되었다. 한편 문화 속에서 축적된 가부장 살해 서사는 1924년 본부살해사건을 재판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김정필 신드롬’의 문화심리적인 배경이기도 했다. 식민시기 일제의 법정에서 구여성이 자행한 본부살해 사건이 가부장 살해라는 상징적 범죄로 재현되지 못하면서 이데올로기적 서사에 반성적 사고를 불러일으킨 것이다. 조선후기의 가부장 살해 서사는 근대의 변화를 거쳐 그 전형성이 와해되었다고 하지만, 혐오의 대상을 타자화하고 도덕적으로 차별화함으로써 정체성을 형성하는 불안한 주체의 서사는 오늘날 우리 문화에서 아직도 은밀하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 KCI등재

        말하기와 연계한 글쓰기 수업의 효과와 전망 : 이화여자대학교 <우리말과 글쓰기> 음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13 이화어문논집 Vol.31 No.-

        This study is about <Speaking and Writing> curriculum of Ewha Womans University, focused on the effect of speaking for writing in case of the music college class. The goal of the University Writing is having the ability to write logically and to communicate properly. But many music college students have trouble in writing essay in class, however they also have extraordinary ability to talk about their major topics and their feelings. Accordingly, I planed to make the best use of method of speaking in writing process. In the class, I presented the contention which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easily then exercised the basic premise of the argument in speaking. After that they could write a well-organized paragraph furthermore it had clear theme. In the statement method education, learning by repetition of the ‘speaking and writing’ could help to find efficient statement way and raised students’ interest in writing. And speaking with teacher while they’re writing a essay, it helps them to examine their message immediately and less the emotional burden to write. Speak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writing though, if the speaking process go sour, writing course is negatively affected by it. Therefore to achieve a good results in writing class connected with speaking, teacher should set up the gaol systematically and encourage students to speak actively. 본고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우리말과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말하기와 연계한 글쓰기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글쓰기가 교양필수 과목일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점차 그 비중이 커지고 있지만, 음대생의 경우 다른 계열 학생들에 비해 글쓰기 수업에 부담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된 주제나 감정에 대한 표현력이 남다른 계열별 특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과정에서 말하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논증의 경우 음대생이 체감할 수 있는 주장들을 제시해주고 말하기로 찬반 전제를 연습한 후 문단을 작성했을 때, 이전보다 글의 주제가 명확해지고 구성 역시 충실해졌다. 진술을 연습할 때에도 전공별 쓰기와 발표를 통해 말하기와 글쓰기를 반복하면서 효과적인 전달 방식을 찾으며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리포트 작성에서 면담은 상대의 평가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자신의 메시지를 검토하게 되므로 글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심리적인 부담을 줄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처럼 말하기는 글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반대로 말하기 수업 목표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았을 때 글쓰기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표와 토론 과정에서 확인할 수도 있었다. 그러므로 말하기와 글쓰기의 연계 과정은 교수자가 체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들을 독려하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말하기를 활성화한 수업방식이 현재 젊은 세대들에게 효과적이고 의사소통의 균형감각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보다 정교한 수업 모델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파국과 고통에 대한 이해의 문제 : 조반, 안윤 이야기 속 ‘여인의 죽음’ 화소를 중심으로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4 No.-

        본고는 15세기 서거정, 성현, 이륙과 같은 관인 문학자들이 유교적 도덕 국가 건립에 책임감을 갖고 낙관적으로 삶을 전망하고 있을 당시의 이야기판에서, 조반 첩 자살 사건과 안윤 첩 자살 사건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야기되고 기록되었는지 전설과 소문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조반이야기는 선비가 여인의 상실이란 슬픔을 딛고 더욱 가치 있는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는 회복과 도약의 서사로 재구성되면서 재난에서 발생하는 소수자들의 희생, 기득권의 책임 소재, 생존자들의 도덕적 상처를 어떻게 애도하고 기억하며 공동체를 회복할 것인지에 대한 모범적인 사례가 되었다. 이와 같은 서사의 힘으로 조선후기 조반은 재조명받게 되었고 마을신으로 좌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안윤 사건은 사회제도의 은폐된 폭력성을 드러내고 있다. 저자들은 여인을 열녀로 상찬함으로써 피해자를 위로하거나 사대부 남성이 성적 주체로서의 인식과 규율을 내면화하지 못했다고 은근히 비판하였다. 그러나 어떤 경우라도 조선시대 가부장 신분사회를 긍정하는 사대부의 입장에서는 이들 죽음에 대한 사회적・정치적 애도가 불가능하였기에, 귀신으로 상징되는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주체의 우울과 도덕적 불안의 문제는 결국 후대까지 지속적으로 확장된다. 조반과 안윤 첩들의 자살은 전쟁이나 신분제와 같이 국가 내외적 폭력상황에서 비극적으로 발생한 사건이었던 만큼, 여인들이 죽음에 이르기까지 폭력적 배제, 강요된 희생, 비인간적 신분제, 소통의 부재 등 만만치 않은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담게 되면서, 기득권의 입장에서는 이에 대해 책임 있게 설명하고 여인들의 고통스러운 얼굴에 내재된 모호한 불안을 해소해야 했다. 당대 저자들의 글쓰기는 낯설고 충격적인 사회적 죽음에 대한 공동체의 책임과 치유 및 기억을 위한 애도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bureaucrats and scholars dealt with the suicide cases of Jo Ban's concubine and Ahn Yun's concubine in the 15th century Joseon society. The story of Jo Ban was reconstructed as a narrative of recovery and leap, whereby the scholar overcame the sorrow of the loss of his concubine and started a more valuable life. After the w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Jo Ban’s story received more attention, and the power of this narrative meant he became a village god. On the other hand, the Ahn Yun case revealed the hidden violence of the social system. Therefore, writers sought to comfort the victim by praising her as a virtuous woman, or accused the man of being an immature character as a sexual subject. In any case, it was impossible to mourn socially and polit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nobles who affirmed the patriarchal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The suicides of Jo Ban and Ahn Yun's concubines were tragic events that occurred in situations of violence within and outside the country, such as war or the class system. Until the women committed suicide, there were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such as violent exclusion, forced sacrifice, inhuman status system, and lack of communication, etc. Therefore, intellectuals had to responsibility account for their suicides and resolve the vague anxiety they caused. The writings of contemporary writers are works of mourning for the community's responsibility for the unfamiliar and shocking social death, and for healing and memory.

      • KCI등재

        설화 속 아내 이야기를 통해 본 폭력과 혐오의 문제, 그리고 그 너머에 대한 고찰 - <선비들의 아내 자랑>, <남편과 자고도 죽은 헛열녀>, <아내를 뺏으려고 도적이 된 친구>를 중심으로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5 No.-

        본고는 <선비들의 아내 자랑>ㆍ<남편과 자고도 죽은 헛열녀>와 같이 이야기나 구연 과정에서 여성에 대한 혐오 발언이 강렬하게 표출되는 작품을 대상으로, 설화 속에서 혐오의 감정과 설득의 논리가 작동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향유층의 문제의식과 고민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두 설화에서 여성을 판단하게 된 주요 근거는 폭력 앞에 노출된 아내를 관찰하면서이다. 성폭력에 대응한 아내의 태도 여하로 여성 혹 규범을 일반화하거나 비난하는 것은 비논리적이고 무엇보다 비윤리적이지만, 오랫동안 문화적으로 맥락화되었던 혐오 발언과 감정이 표출되며 그 논리적ㆍ도덕적 허점을 채우고 있었다. 한편 두 이야기는 여성에 대한 폭력적 검증이나 혐오 발언을 거치면서도 향유층에 따라 일관된 의미와 감상으로만 전승되지는 않았다.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폭력과 고통당하는 타자와 마주한 주체는 혐오와 반성, 저항과 혐오를 넘나들며 윤리적 고민을 남기고 있다. <아내를 뺏으려고 도적이 된 친구>는 폭력보다 상호 존중하며 대화하는 관계가 상생과 기쁨임을 그려내어 문제의식을 발전시켰다고도 하겠지만, 전근대의 성ㆍ계급 인식에서 자유롭지 못하여 진정한 연대의 의미를 과제로 남겼다. 폭력과 혐오의 문제를 인지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게 연대하면서 혐오 그 너머를 적극적으로 상상하고 이야기해야 한다. 이야기 세계에서 선함과 의로움이 종국에는 감동을 주며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지만, 시대에 따른 지향과 구체적인 실천은 세태를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구성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studied the stories of <A man who boasts of his wife> and <A wife who committed suicide by husband's rape>. These stories were strongly showed hate speech against women. I looked at how the emotions and logic work for aversion to women in the stories. In addition, I considered the ethical attitudes of the people who handed down and enjoyed the stories. In these stories, the husband newly judged the woman by observing his wife being raped. His wife’s attitude in this situation is basis for criticizing women and society. It is illogical and very unethical way of thinking. Nonetheless, the aversion to women express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is stories supplements the illogical and unethical loopholes of the narrative. In these stories, the narrators conspired to violence and hatred against women, but they also resisted. Disgust to women and vice versa appeared at the same time. The reality of violence that destroys humanity and the problem of facing suffering others give an ethical challenges to the subject ‘I’. However, the story of <a man who became a thief to take away his friend's wife> sought to resolve ethical challenges through a relationship of mutual respect and dialogue rather than violence and disgust. However, this story could not overcome pre-modern gender and class perspective and have not achieved true solidarity. In order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violence and disgust and to find alternatives, we must actively imagine and communicate people in various ways. Because ethical judgments and practices in our lives are created by telling stor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위상과 과제에 대하여

        홍나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8 No.-

        This thesis examines the status and tasks of classical studies at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Therefore, I found the tendency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paper of classical literature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Through this, the planning theme selected and concentrated by the academic society showed good results, but I suggested that the researcher and research subject should be expanded further.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apers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account for about 15% of all papers. Despite relatively few classical research papers, topics such as women’s literature and women’s writing are ahead of other journals. Classical scholars were able to connect and discuss scholarly fields to study and theorize literary and cultural phenomena from classical to contemporary times. In other words,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i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has contributed to the generalization of theories through the history of female literature, literary phenomena and writing theories on our foundation. In the Korean Women’s Literature Association,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achieved intensive results by planning themes. Classical researchers extended the age and genre of research with feminist methodologies and themes, and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was a space that encouraged their research. Therefore, this challenge must be carried out by more researchers. This will enrich our literary research and ensure the significance of academic social practice. To this end, this Association should encourage future generations to study classics in feminism, continue long-term research such as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theories of women’s literature, and be interested in researching women’s culture materials and academic projects. As the population decreases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changes, it is difficult for future generations to continue research, hoping for academic support. In order to induce the participation of classical researchers, it is necessary to connect with applied scholars or to study the subjects in which classical and contemporary interests coexist. When communicating with related disciplines or conferences, the current literature following the classics will be better understood. Our original thoughts and feelings will also be grasped. It is hoped that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will continue its practical significance as an open field of study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classical, modern and genr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본고는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의 위상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해당 학술지인 『여성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고전문학 연구 논문의 경향과 의의를 도출하고, 선택 집중된 기획 연구의 성과에서 더 나아가 연구자와 연구 대상을 확장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여성문학연구』에서 고전문학 관련 논문은 전체의 15% 정도를 차지하지만, 여성문학사 서술이나 여성의 글쓰기와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집적된 연구들을 아우르며 연구 담론을 선도해가고 있었고, 고전문학 연구자들에 의한 학문 장의 연결은 고전부터 현대까지 문학·문화 현상들을 통시적으로 살피며 이론화하도록 했다. 즉 『여성문학연구』를 통한 고전문학 연구는 우리 토대에서 여성문학·문학 현상·글쓰기 이론을 사적으로 이으면서 보편화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었다.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문학 연구는 기획 주제로 선택되고 집중되면서 집약적인 성과를 이룰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여성주의라는 방법론과 주제가고전 연구자들에게 시대와 장르를 확장하도록 이끌었고, 『여성문학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독려하며 활발히 연구할 수 있는 장을 제공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도전과 시도가 보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 우리 문학 연구가 풍성해지고 사회적 실천 의의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고전을 공부하는 학문후속세대를 북돋우고, 문학사 및 문학이론과 같은 장기적 연구를 지속시키며, 여성문학 관련 연구 자료나 사업 현황에 관심을 갖고 연구 대상도 넓혀야한다. 인구감소와 연구 환경 변화에 따라 후속 세대들이 학술적 지원을 기대하면서 연구를 지속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고전 전공 연구자들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응용 학문 연구자들과 연계하거나 고전과 현대를 잇는 시기와 대상에 대하여 보다 전공을 넘나들며 관심을 모을 필요가 있다. 관련 학문·학회간 연계와 소통을 추진할 때, 고전에서 이어지는 현재의 문학과 문화가 더욱 입체적으로 구성되면서 우리들의 원형적 사고와 감정도 총체적으로 파악될 것이다. 한국여성문학학회에서 고전 연구 역시 지난 20년간의 성취에 더하여 여성주의 시각으로 고전과 현대, 장르의 경계를 확장하며 그 실천적 의의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17세기 이여순(李女順) 소문의 힘과 가부장 사회의 대응

        홍나래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이여순(李女順)은 조정 대신 이귀(李貴)의 딸로 일찍이 과부가 되었다가, 1614년 오언관(吳彦寬)이라는 남성과 불교 수행을 위해 가출한 후 체포되어 조정에 파란을 일으켰다. 그녀는 관련자들이 치죄되는 과정에서도 모호하게 사면되어 자수궁에 머물렀고, 이후 인조반정을 도왔다고 재평가 받는 등 복잡하게 해석되는 인물이다. 본고는 이여순 스캔들이 발생한 데에 독특한 개인만이 존재한 것이 아니라 17세기 초 여성들의 삶과 욕망이 뒷받침되었다고 보고, 생불(生佛)과 숨은 반정공신 사이의 거리는 그를 바라보는 담론 주체의 시각 차이임을 강조하면서, 인조반정 이후 기록에서 당대 문제적 여성 욕망이 어떻게 질서화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이여순은 당시에 기존의 가치관과 여성관을 뛰어넘어 자유롭게 수행하는 보살로 소문이 나 있었으며, 여성들은 그녀를 만나려고 정성을 쏟거나 수행에 동참하기까지 했다. 간통으로 몰린 이여순이 살아남고 영향력을 행사한 데에는 생불 소문을 퍼뜨리며 잠재적으로 연대한 여성들이 있었기 때문이었으니, 그녀의 소문은 그만큼 저항적이었다. 이러한 여성들은 내명부 고위층에서부터 사대부 첩실이나 공노비에 이르기까지 계급적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었으며, 여성 집단 특유의 친교를 바탕으로 종교적인 믿음, 경제적인 관계로 공고하게 맺어 있었다. 다만 인조반정 이후 기록은 이여순이 자수궁에서 항상 친정과 시가를 염려했다고 강조하면서 당대 여성공동체의 한계를 부각시키고 있는데, 이는 문화변동기에 다양하게 자신을 발현시키고자 한 여성들의 움직임을 배제하고 여성을 다시 가족 내 존재로 포섭하려고 한 가부장 사회의 의도가 강하게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본고는 17세기 초 이여순 스캔들을 통해 가부장 사회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던 여성들이 일과 신앙, 친목을 도모하던 공동체 속에서 여론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공동체적 자아를 발전시켰다고 재구하였다. 이러한 행동이 왕을 중심으로 한 권력적 암투로부터 자유롭지 못했고 대안적인 윤리로 발전되지 못했다 해도, 임란 이후 여성들이 기존 가치를 회의하면서 주체성에 대해 자각하고 변화를 추구한 과정이었음에 의의를 두었다. Lee yeo-soon was the widow whose father Lee Gyi(李貴) was the famous aristocrat in 17th century. In 1614(the 6th year of king GangHae), she broke away from home for execution of Buddhism with her male-friend O Eon-kwan(吳彦寬). And this incident caused for them to be arrested on a charge of adultery. Because of this scandal, Mr. O Eon-kwan was beaten to death in the process of the inquisition and Lee Gyi lost his position of government official, but Lee yeo-soon was favored with amnesty without any good reason then stayed in the Jasoo Palace(慈壽宮). After this, she was not only welcomed from royal concubines and court ladies, but also she was recognized as the hidden contributor to depose king GangHae(光海君). For these kinds of reason, the character of Lee yeo-soon came to be complicated. In this thesis, I found that this scandal is not individual incident, but representative incident containing the desire of women in 17th century. and also I found that th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of her characters(some people think of her as a living buddha, and some people think of her as a hidden contributor in political incident) make her a mysterious woman. Therefore I considered how the patriarchal society reordered the women's problematic desire after enthronement of a new king. The rumor of Lee yeo-soon was very resistant to patriarchy. At that time Lee yeo-soon was well known as the living Buddha who has surpassed the traditional values, and many women were eager to meet her, even some of them joined her practicing asceticism. I inferred the women who spread the rumor and believed in her could have an influence on the judgment of Lee yeo-soon scandal. The women's network was comprised of diverse class such as ladies of a court, nobleman's concubines, even slaves. They related intimately with religious belief and economic ties. But after the enthronement of a new king, the Joseon Society established patriarchal order to criticize the sisterhood and to record that Lee yeo-soon had been anxious for her father and her brother-in-law supporting them confidentially in the palace. This point of view intended to emphasize women's family identification excluding women's desire for identity on those days. Through Lee yeo-soon scandal, I reconstructed 17th century that the women could form public opinions in sisterhood and develope the communal self. These women's conduct had severe limits, for example they pursued power relying on the king and could not make ethical alternative. Nonetheless it was significant incident that the women in 17th century felt doubts about conventional value and attempted to change their lif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설화를 통해 본 기쁨의 윤리성 문제- 『청구야담』 소재 <勸痘神李生種德>, <憐樵童金生作月姥>를 중심으로 -

        홍나래 이화어문학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3 N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joy of literature narrat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tory of creating a happy life can be a political story, so this 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s still symbolic meanings. The most unhappy people come out of <Lee who made a dead child alive> and <Kim Woo-Hang who concluded matchmaking>. They are widows or poor men. The widow 's son is dead, and the poor man lives in shame. Their suffering comes from a fundamental question of life, such as “How should humans live?" and “What should human beings live for?” They are delighted as the pain is resolved, then thanks for everything and changed their attitude of life. The man(士) is an ethical subject and the main character of this story. He looked into the face of the painful person at first and listens to their story. It is the man’s actively approaches to their lives and emotions. The good behavior of the man changes the people around him. Also It saves painful people and changes society. In the world of narratives, Righteous anger condemns evil and restores social norms. These two stories, however, bring vitality to the community by saving people and giving them joy. Joy is a positive power. This power pulls the person away from personal desires and leads to enlightenment and emotion in the community. The awakening and the vigor comes from joy has the power to go beyond secular desires and order. 본고는 조선후기 문헌설화를 통해 당대 이야기 속 기쁨의 가치에 주목했다. 삶을 기쁘게 영위하는 것, 그렇게 살도록 만드는 이야기야말로 적극적인 정치적 의지를 담을 수 있으므로, 이를 살핌으로써 고전 해석의 현재적 의의도 되새기고자 했다. <죽은 아이를 살리게 한 이씨>와 <중매를 선 김우항>은 과부ㆍ몰락 양반 같은 인물들이 자식의 죽음ㆍ불명예스러운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 크게 기뻐하면서 삶의 자세를 바꾸게 된 이야기이다. 인물들에게 지극히 고통스러웠던 문제는 ‘인간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같이 삶의 근본적인 질문에 닿아 있었다. 그들은 고통이 해결되면서 느낀 충만하고 벅찬 감정을 통해 은혜를 베푼 이에게 귀의하거나 모든 일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생활하게 된다. 위의 이야기에서 선비들은 일상에서 고통 받는 이들의 기색을 먼저 살피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자 청하는데, 이는 그들의 삶과 감정에 자신을 부딪쳐 관계를 맺으려는 의지적인 태도이다. 선비가 평소 보인 선한 관심과 행동은 주위에서 도덕적 선택 상황을 맞아 고민하던 주변 사람들의 양심도 확인하면서, 고통 받던 이들의 삶을 함께 변화시킨다. 선비 역시 훗날 자신의 행위가 여러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기쁨이 되었는지 확인하게 되고, 이 사연을 전해들은 공동체는 그 감동을 소중한 경험으로 기억하게 된다. 설화 세계에서 선비들이 간통남녀를 처단하거나 억울하게 죽은 이의 한을 풀어주며 성공한 이야기들은 분노와 징치를 통해 윤리적 쾌감을 공유하면서 잃어버린 공동체의 규범을 회복하지만, 본고에서 살핀 이야기들은 소통을 통해 고통 받는 인간을 살리며 기쁨과 감사로 공동체에 활기를 더한다. 기쁨으로 인한 긍정적인 힘은 개인적ㆍ상대적인 행복과 쾌감에서 벗어나 공동체에 깨달음과 감동을 이끌어 내는데, 기쁨에서 비롯된 각성과 활기에는 세속적인 욕망과 질서를 거뜬히 뛰어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설화 속 하위계층의 주체화 문제 고찰―증여를 통한 관계의 재구성과 도덕적 정당화 방식―

        홍나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이야기들 중 트릭스터 유형인 <곰과 싸운 노귀찬>, 노비의 신분상승 유형인 <양반 행세한 최승선>, 보은담 유형인 <금비녀를 찾아준 선비>를 중심으로 하위계층 등장인물들이 양반들과 맺는 새로운 관계 정립의 문제에 주목하여, 이들의 도덕적 정체성과 인정, 신분 윤리에 대한 저항과 균열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현실에서 불가능해 보인 자신들의 욕망을 열렬히 좇다가, 결국 현실의 규범과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신화⋅영웅시대의 질서를 모방하거나 후하게 베풀거나 기도를 하면서 공동체의 근본적인 도덕 질서를 환기시키며 새로운 사회적 관계맺음을 시도하게 되었다. 신성하거나 초월적인 힘에 대한 믿음은 공동체에 두려우면서도 매혹적인 감정을 불러일으켜 이성을 넘어서는 판단의 근거로 작동하게 되는데, 신화적 폭력으로 인정투쟁을 벌인 노귀찬뿐만 아니라, 최승선과 서리 처에 나타난 초월적 증여에서도 체제전복적인 폭력⋅힘이 내재되어 있었다. 곧 하위계층 인물들은 폭력이나 선물, 축복을 통해 강렬하고 위협적으로 기존 신분질서와 규범을 흔들면서 기득권에 주체로의 인정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는 당대 하위계층이 기존 사회의 윤리⋅규범을 따르면서도 새로이 자신의 도덕적 위상을 세우며힘 있는 존재로 자기 삶을 전환시키길 강렬히 지향했기 때문이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ree types of sto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stories introduced three special characters, one is the trickster man who fought a bear, another is the lower class man who pretended a noble man, and the other is the woman who sincerely prayed for 25 years. I have noticed the problem of establishing a new social relationship between lower classes and noble man in these stories, therefore I examined what were their moral identity and how they could gain public recognition, even the characters were cracking their ethics of caste system in some ways. They fervently pursued their desires which seemed impossible in reality. In order to escape the norms of reality, they imitated mythic hero’s behavior or gave the gift generously which aroused the fundamental moral orders in community, and then tried to establish new social relations. People are afraid and attracted by divine or transcendent power, so the experience of divine or transcendent power makes the people judge beyond reason. The story showed mythical violence when the notorious man were fighting with great bear, the other stories showed hidden violence when lower class person tried to gift an immense wealth or powerful pray for high class person . I interpreted main action of these stories, that is lower class person threatened the social order through violence, gifts, and blessings. Because those days, the lower class people seemed to follow the ethics and norms of the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they seeked for new morality which make theirselves to become their own subjectivity of human-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