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노인의 만성폐쇄성폐질환과 헤모글로빈 농도의 상관관계

        조형준,허율강,김대환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1

        This study determines the difference in prevalence of anemia and hemoglobin concentration betwee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control groups in the elderly. Moreover,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revalence of anemia and hemoglob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COPD in the elderly. Medical records of 8150 participants who answered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conducted in 2016 were reviewed, and a total of 694 participants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PD and control groups. Laboratory studies on hemoglobin, hematocrit, red blood cell concentration and prevalence of anemia were collected. Subgroup analysis was also conduct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COP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rmined for the prevalence of anemia and hemoglobin concentration between both groups. Hemoglob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PD group.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tendency for decrease in the prevalence of anemia and increase in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as the severity of COPD increased. Our findings present specific data about the prevalence of anemia and hemoglobin concentra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COPD. Hence, we propose that occurrence of anemia in elderly patients with COPD requires further evaluation of the causes. 본 연구는 노인 인구에서 대조군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빈혈 유병률과 헤모글로빈 농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노인 인구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에 따른 빈혈 유병률과 헤모글로빈 농도를 조사하였다.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 년도(2016) 조사에 참여한 8150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총 694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대상자를 만성폐쇄성폐질환군과 비질환 대조군으로 분류하였고,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적혈구 농도 및 빈혈 유병 유무를 조사하였다. 만성폐쇄성폐질환군은 중증도에 따라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비질환 대조군과 만성폐쇄성폐질환군의 빈혈 유병률은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비질환 대조군에 비해 만성폐쇄성폐질환군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및 적혈구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으나,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빈혈 유병률은 감소하고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및 적혈구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빈혈 유병률 및 헤모글로빈 농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노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빈혈이 발생한다면 원인에 대한 추가적인 평가를 고려해 봐야 한다.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와 고감도 C-반응단백 농도의 상관관계

        마상혁,김기용,허율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the concentration of serum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The data of 24,269 people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6-2018) were analyzed. A total of 7,484 people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classified into a normal pulmonary function group and a COPD group according to the pulmonary function test. According to the ratio with the normal estimate of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the COPD group was classified as mild (FEV1≥80%), moderate (50%≤FEV1<80%) and severe (FEV1<50%). The hsCRP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and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oking. As the severity of COPD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hsCRP increased. In subgroup analy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in the smoker group. In the non-smoker group, the concentration of hsCRP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severity of COPD. According to this study, hsCRP is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COPD, and there is a more significant association in the non-smoker group. In managing COPD patients, hsCRP can be considered an index to evaluate the severity.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와 혈중 고감도 C-반응단백 농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2016~2018년) 조사에 참여한 24,269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7,484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폐기능검사 결과에 따라 폐기능 정상군과 만성폐쇄성폐질환군으로 분류되었다. 만성폐쇄성폐질환군은 1초간 노력성호기량(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의 정상 추정치와의 비율에 따라 경증군(FEV1≥80%), 중등증군(50%≤FEV1<80%) 및 중증(FEV1<50%)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에서의 고감도 C-반응단백 농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흡연유무에 따라 하위그룹을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고감도 C-반응단백의 농도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그룹 분석의 결과, 흡연군의 경우 각 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흡연군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가 심해짐에 따라 고감도 C-반응단백의 농도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고감도 C-반응단백이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와 연관이 있음을 보였으며, 특히 비흡연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군에서 더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보였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관리하는 과정에서, 고감도 C-반응단백은 중증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고려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노인인구에서의 당뇨병 유무에 따른 사구체여과율과 고감도 C-반응단백 농도의 상관관계

        김기용,마상혁,허율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and the concentration of serum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The data of 24,269 people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6-2018) were analyzed, and 4,018 people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GFR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CKD-EPI) equatio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GFR criteria suggested by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including Group 1: GFR (mL/min/1.73m2)<60, Group 2: 60≤GFR (mL/min/1.73m2)<90, and Group 3: 90≤GFR (mL/min/1.73m2). The hsCRP concentration in each group was investigated, and the same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subgroups according to diabetes. As the GFR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hsCRP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diabetic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1 and 2,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Groups 1 and 3. In the non-diabetic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GFR and hsCRP concentration. This study shows that hsCRP is associated with GFR, especially in the non-diabetic group. The hsCRP can be used as an auxiliary index to evaluate the GFR. A prospective study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GFR and hsCRP concentration is needed. 본 연구는 사구체여과율과 고감도 C-반응단백 농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2016~2018년) 조사에 참여한 24,269명의 데이터가 분석되었으며, 최종적으로 4,018명을 본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CKD-EPI(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공식에 따라 사구체여과율(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이 산출되었다. 이후 대상자는 KDIGO(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에서 제시한 사구체여과율의 기준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Group1: GFR(mL/min/1.73m2)<60, Group2: 60≤GFR(mL/min/1.73m2)<90, Group3: 90≤GFR(mL/min/1.73m2). 각 군의 고감도 C-반응단백 농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당뇨 유무에 따라 하위그룹을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사구체여과율이 높아짐에 따라 고감도 C-반응단백의 농도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당뇨군의 경우 Group1과 Group2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Group1과 Group3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당뇨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사구체여과율과 고감도 C-반응단백농도 사이의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고감도 C-반응단백이 사구체여과율과 연관이 있음을 보였으며, 특히 비당뇨군에서 더 유의한 연관이 있음을 보였다. 고감도 C-반응단백은 사구체여과율을 평가하는 보조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사구체여과율과 고감도 C-반응단백 농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보일 수 있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