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왕세정(王世貞) 호(號)의 독음(讀音) 문제와 "연구"와 "번역"의 결합

        허경진 ( Kyoung Jin Hur ),박경남 ( Kyeong Nam Park ) 연민학회 2011 연민학지 Vol.16 No.-

        본고는 ``감주``와 ``엄주``로 혼동을 보였던 ``감州``의 독음 문제를 하나의 사례로 삼아 엄밀한 번역을 위해서는 ``연구자``와 ``번역가``의 결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감州``는 왕세정의 號로 그동안 번역자들 사이에서 통일된 讀音으로 번역되지 못하고, ``감주``와 ``엄주``로 번역되어 왔는데, 본고는 그 사례를 수집?정리해서 도표로 제시한 후, 이를 연대별로 정리하면서 ``감州``에 대한 표기가 ``감주``에서 ``엄주``로 변화되는 추이를 살폈다. 또한 왕세정이 자신의 호인 ``감州``의 기원을 밝히고 있는 작품인 「감山園記」를 분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감州``를 ``엄주``로 읽는 것이 타당함을 확정할 수 있었다. 본고는 다만 ``감州``라는 하나의 용어에 대한 정확한 譯語를 찾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 것에 불과하지만, 이를 통해 정확하고 엄밀한 번역을 위해서는 조금 느리더라도 사전뿐 아니라 관련문헌까지를 세심하게 고찰하는 전문가적 학술 번역이 필요함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This essay is to review the separate reading pronunciations(讀音) matter of Wang Shi Zhen 王世貞`s adds names, and through that, put forward the needs of combination research with translation. ``감州`` is Wang Shi Zhen 王世貞`s adds names, it has not been translated as the same pronunciations among the translators. Some translated it as ``Gamju``(감주) and others translated it as ``Eomju``(엄주). In this article, after represented the research result in chart and rearranged in chronologically, we looked over the transition from ``Gamju``(감주) to ``Eomju``(엄주) in translated terms. Through analysis about Yanshanyuanqi 「감山園記」in which the origin of Wang Shi Zhen 王世貞`s adds names has been revealed, we could come to a definite decision that the separate reading pronunciations of ``감州`` is ``Eomju``(엄주). Even though this article showed one example to find the accurate translated words of ``감州``, we hope that it called translator`s attention to the need of professional academic translation that consider a related original text as well as the dictionary carefully.

      • KCI등재

        근대 조선인의 만주 기행문 생성 공간

        허경진(Hur, Kyoung-Jin),강혜종(Kang, Hye-Jong)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7 No.-

        근대 조선인들에게 만주 여행은 단순한 타국체험을 넘어 민족 공동체의 생존과 결부된 문제였다. 이들이 여행을 통해 체험한 만주의 ‘문화’는 전통적 가치와 근대적 가치, 개인의 실존의 문제와 민족의 존립 문제 등이 치열하게 공존하는 것이었다. 즉, 만주 기행문은 개화기ㆍ일제 강점기 조선 지식인들의 실천적 문화 해석의 여정을 담은 글이라고 볼 수 있다. 1920~30년대 근대 조선인의 만주 기행문은 때로는 식민지적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고, 때로는 일본의 대동아 공영권을 공고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기도 하였다. 또한 만주와 조선의 소식을 서로의 지역에 전하며 담론 형성을 촉진하는 문화교류 매체적 특징을 갖추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만주국 성립과 일제의 만주 이민정책 등의 전후로 정치적 영향관계나 여행 주체에 따라 조선인의 만주 여행과 기행문의 성격이 달라지는 지점들을 확인하고, 당시 만주의 문화와 여행자들의 만주 문화인식을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만주의 ‘문화공존’의 양상에 대한 몇 가지 장면에 주목하였다. 먼저, 오족협화(五族協和), 왕도낙토(王道樂土)의 제국주의적 의도가 반영된 ‘만주국’의 문화적 질서와 가치가 당시 박물관과 박람회를 통해 작자들에게 전달되고 해석되는 방식을 살폈다. 반면에 외인묘지를 마주대하는 시선에서는 만주의 문화 공존 메커니즘에 제국주의적 정치 논리나 문화적 계급의식 등으로 조직․포장된 이면의 모습이 포착되고, 인간의 실존적 고민과 성찰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것이 만주국 성립 전후로 기행문이 쓰인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는 점 등을 고찰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전통시기 동아시아의 공통 문자였던 한자를 이용한 전통적 문화교류 수단이었던 필담과 한시의 수창이 당시 만주 여행 과정에서 여전히 유용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1930년대 이전 만주 기행문을 구성하는 주요한 부분이었다고 판단하였다. 여행자들은 이러한 전통적 글쓰기를 통해 단순한 만주 ‘관광’에 머무르지 않고, 직접적으로 만주지 역의 사람들과 시대적 상황에 대한 정보나 인간적 정감을 나누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필담은 언어적 장벽을 넘어 세대와 성별을 아우르며 교류할 수 있는 문화적 수단이었고, 마치 시화(詩話)처럼 서술된 만주 기행문에서, 작자와 만주 현지에 거주하는 동지들의 애국심과 당시의 상황은 한시 작품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way of perceiving and exchanging cultures in Korean travelogues of Manchuria written in 1920's and 1930's. Manchuria had been the base of lives set up by Korean immigrants and the place for independence movement, so for Korean, travel to Manchuria was more than just travel because it was related with their nation's existence. The ‘cultures’ experienced by them through travel were the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values or the problem of personal and national existence. The Korean travelogues of Manchuria were some kind of report for news papers and magazines, so it arouse readers interests and make them have motive to experience Manchuria promoting the discourse of Manchuria. Also, the travelogues were functioning as a media to exchange cultures of Manchuria and Korea each other. Among many travelogues mainly covering about exotic scenery, Manchuria's modernization, Korean immigrants' lives in Manchuria, this paper focuses on several scenery to catch some features of Manchu culture mixed with various ethnic groups and showing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First, this paper considers museum and exposition as the media to convey Manchuguo(滿洲國, 1932~1945)'s cultural values imposed by Japanese government to travelers. And then it moves to the perspective to the cemetery of foreigners and explains that the descriptions of cemetery show hidden side of co-existence of Manchu cultures organized by imperialistic mechanism. Expeci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way of exchanging cultures through conversation by writing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composing Chinese classical poetry, Hanshi(漢詩). For example, Korean travelers shared their thoughts about international situation with Chinese soldier, realized the development of Chinese woman or felt a sense of closeness with children by writing using Chinese characters. And some traveler who went to Manchuria to see Korean immigrants' lives and find the way of improving their situation and his nation associated with people in Manchuria exchanging Chinese poetry. Therefore it proves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still useful means of exchanging cultures despite of modernization and the atmosphere of concentrating mother tongue. Traditional writing style was one of important feature of Korean travelogues of Manchuria in modern times, especially before 1930's.

      • KCI등재

        『東人詩話』를 통해 본 語와 意의 문제

        허경진(Hur, Kyoung-Jin),박순(Park, Soo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서거정의 『東人詩話』에서는 語와 意개념이 폭넓게 활용되면서 시에 대한 비평이 이루어졌다. 語와 意에 관한 인식은 오랜 연원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시화 비평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語.意개념을 드러내었는데, 『동인시화』에서는 전대 시화집들보다 더욱 풍부하게 語와 意를 활용한 비평을 보여준 것이다. 이처럼 語와 意가 비중 있게 쓰였다면 이것이 시 비평의 준거로써 어떻게 기능하였는지, 그 쓰임새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동인시화에 드러난 語와 意의 문제를 천착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동인시화』 속에서 語와 意가 쓰인 모든 예를 표를 통해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인시화』 속에서 語.意개념이 얼마나 많이,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조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語와 意가 쓰여 비평이 행해진 예들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여기에서는 보다 명확한 분석을 위해 '語가 쓰인 경우'와 '意가 쓰인 경우', 그리고 '語와 意가 함께 쓰인 경우'를 각각 구분하여 살폈다. 이렇게 면밀한 분석을 거친 후 『동인시화』에서 語와 意가 쓰인 양상을 정리하였다. 語의 경우는 言, 詞, 辭, 詞語가 통용되어 쓰였는데 이들은 '작자의 표현', '시어의 운용'(혹은 '표현 방식'), '시어'의 의미로 쓰였으며, 意의 경우는 '사상과 감정', '意象'이란 의미로 쓰였다. 한편 語와 意가 詞意, 語意, 言意의 형태로 한 단어처럼 쓰인 예가 있는데, 대부분 '말의 뜻', 즉意(사상과 감정)와 같은 의미로 쓰였으며, '말과 뜻(표현과 사상.감정)'의 의미로 쓰인 경우도 있다. 語와 意가 함께 쓰였지만 구분되어 나타나는 예도 있다. 이런 경우에 語는 '표현'의 의미로, 意는 '사상과 감정'의 의미로 각기 변별되어 쓰였다. In Seo Geo-Jung(徐居正)'s 『DongInSiHwa(東人詩話)』, Eo(語) and Eui(意) concept is used widely and the criticism of poetry is done. The history of recognition in Eo(語) and Eui(意) has been so long and these concepts revealed from the early stage in poetry criticism in Korea. In 『DongInSiHwa』, criticism using Eo(語) and Eui(意) apply more extensively compare with previous ones. Eo(語) and Eui(意) is used well with importance like this, it is necessary that we think about how it works as criticism standards and how it is used and expressed. So I start to scrutinize Eo(語) and Eui(意) in 『DongInSiHwa』 through this research. I suggest all the examples using Eo(語) and Eui(意) in 『DongInSiHwa』 through table which is the first research method. We are able to get a wide 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usage and the expression of Eo(語) and Eui(意) in 『DongInSiHwa』 how many times it is used and in which way it is shown. Then I make attempts to approach specifically checking examples of criticism using Eo(語) and Eui(意). I try to examine like these three, cases only using Eo(語), only using Eui(意) and using both. After these detailed analyzing, I explain aspects of Eo(語) and Eui(意) in 『DongInSiHwa』 in brief. Eon(言), Sa(詞), Sa(辭), SaEo(詞語) also used together in the case of Eo(語) and these words mean 'writer's expression', 'application of poetic word(or the way to express)', or 'poetic word(詩語)'. The case of Eui(意) means 'thought and emotion', 'image(意象)'. Meanwhile, there is an example of Eo(語) and Eui(意) is used like one word, mostly it means 'word meaning' that is Eui(意, thought and emotion) or 'word and meaning(expression, thought and emotion)' sometimes. Also, there are some cases that Eo(語) and Eui(意) is used at the same time and reveal separately. In this case, Eo(語) means 'expression' and Eui(意) means 'thought and emotion' eac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그림과 찬으로 화폭 위에 남긴 朝ㆍ日 인사들의 교유

        허경진(Hur Kyoung-jin),김지인(Kim Jea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9 아시아문화연구 Vol.17 No.-

        Throughout Sinographic cultural sphere in wich people used, it was natural that a painting have a panegyric for it. Panegyrics mean certain words which are inspired by the paintings' theme, and are supposed to be combined with paintings on the canvas. So the panegyric explains and extends the meaning of the painting. A piece of work should be understanded as a combined structure of layered meanings- not just as a painting neither just as a phrase. When members of Joseon Tongshinsa and Japanese of Edo era met, they exchanged many paintings and panegyrics. when they make a piece of work together by attaching some panegyrics to each others paintings, they had to consider others taste, because although they shared Sinographic culture, their taste for a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xample, in Edo era Japan was a country of Samurais and merchants, while Joseon was a country of Confucian scholars and bureaucrats. People from Joseon thought being interested in material things are shallow, while Japanese of Edo era didn't think so. Painters and writers from each country knew they had different point of view, so tried to deal with this problem. And this study's first goal is to figure out how they considered each other's taste for art. Throughout Joseon Tongshinsa's 12 visits to Japan, many paintings with panegyrics had been exchanged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they have been studied well by previous studies done by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But in previous studies, any attempt to analyze those pieces of works in balance between literary and pictorial aspect hasn't made. A piece of work was only studied as a painting, without considering literary aspect of the piec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iterary aspect of works by studying panegyrics and how those works were made, and so to understand the pieces of work as a full text. And futhumore, how people with very different taste for art made pieces of work together.

      • KCI등재
      • KCI등재

        청나라 무역선의 일본 표류와『유방필어(遊房筆語)』

        허경진(Hur Kyoung-jin),최영화(Cui Ying-hu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6 No.-

        1780년, 중국 남경(南京)에서 출발하여 일본 나가사키(長崎)에 무역하러 떠난 중국 상선이 태풍을 만나 표류하여 일본 치쿠라(千倉)에 표착하였다. 당시 일본의 한학자(漢學者)인 이토 란덴(伊東藍田)이 표착지에 가서 중국선원들과 필담하며 표류사건의 전말을 상세히 기록하여 책을 남겼는데, 그것이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유방필어(遊房筆語)』이다. 원순호가 표류한 치쿠라(千倉) 해역은 나가사키에서 4천 여리 떨어진 곳으로 에도에 아주 근접해 있었다. 당시 중국 선박의 표류가 빈번했지만 대부분 일본의 서부 해역에 표류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에도 부근에까지 표류한 선박은 원순호가 유일하다. 선주 심경첨은 서적유통에 기여하였고, 부선주 방서원은 후지산을 그려 후대 일본 화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17세기 이래로 동아시아 각국이 폐쇠적인 대외정책을 표방함에 따라서 표류사건과 관련기록은 단순한 해상사고의 차원을 넘어서서, 당대 ‘동아시아세계질서’와 ‘문화적 교류상황’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중요한 창구로 작용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연장선에서 이토 란텐의 『유방필어(遊房筆語)』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In 1780, a Chinese merchant vessel that departed Nanjing for Nagasaki in Japan for trade encountered a typhoon and drifted ashore at Chikura in Japan. Itoh Lanten (伊東藍田), a Japanese scholar of the Chinese classics at the time went to the drift place and had a conversation with the Chinese sailors by writing. And He recorded a detailed history of the drift incident based on the conversation and his observation. Then he left it as a book, which is “Yubang Pileoh” to be considered in the present article. Chikura waters that Wonsun Ship drifted at was removed about 1,500㎞ from Nagasaki and very close to Edo. Although drift of Chinese ships were frequent at the time, most of them drifted at western waters of Japan, and Wonsun Ship was the only ship that actually drifted as far as Edo. Since 17th century, east Asian countries advocated closed foreign policies, records related to drift incidents acted as a major window that allowed looking into east Asian global order and status of cultural exchange beyond a mere dimension of incident at sea. Thus , objective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illuminate Itoh Lanten’s “Yubang Pileoh” along this line of extension.

      • KCI등재후보

        18-19세기 한중 교류척독집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

        허경진(Hur, Kyoung-jin),김영선(Kim, Young-see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조공(朝貢) 관계를 맺고도, 조선 문인들은 청나라를 중화(中華로) 여기지 않았다. 그랬기에 연행(燕行) 초기에는 기록을 별로 남기지 않았으며, 북경(北京)에 가서도 그곳 지식인들과 한시를 주고받거나 필담(筆談)을 나누지 않았다. 1765년의 홍대용(洪大容), 김재행(金在行)이나 1780년의 박지원(朴趾源)에 와서야 청나라 지식인들과 필담을 나누거나 면지를 주고받게 되었다. 청나리를 배우자고 하는 북학파(北學派)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한중 문화교류 연구자료로 연행록을 주로 이용했지만, 연행록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1회적인 기록일 뿐만 아니라, 귀국한 뒤에 혼자 기록한 일방적인 기록이다. 그에 비해서 척독 (尺牘, 편지)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여러 차례 주고받을 수 있는 기록인데다, 두 사람이 주고받는 쌍방적인 기록이다 두 나라지식인의 상호 인식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지금까지는 척독집이 한 권 발견될 때마다 그 자료를 소개하는 논문을 썼지만, 우리 팀에서 30여 종의 척독집을 수집하고 보니, 전체 내용을 입력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인 연구방법임을 알게 되었다 이 과정은 둘로 나뉘어진다. 1차 과정은 척독집을 사진 찍어 이미지 데이터를 만들고 한문 원문을 입력한 다음 한글로 번역하여, 기계가 읽고 판독할 수 있는 디지털 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2차 과정은 이 자료들을 의미있는 정보단위(entity) 별로 구분하고, 그 단위간 조직적 연계를 통하여 자료의 내용을 고도로 구조화하여, 도서관기록관박물관의 기능을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복합시설인 라키비움(Larchiveum)까지 구축하는 과정이다. 이 논문에서 시도하는 라커비움 개념은 한중 교류척독집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서간문, 한일 통신사기록 둥에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이다. The Korean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did not recognize the Qing Dynasty as the legitimate Middle Kingdom. although the Sino-Korean tribute relation was formed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They had left few logs of their travel to Beijing and they had been reluctant to exchange conversation or Chinese poems by writing with the Chinese intellectuals when in Beijing, until Hong Daeyong and Kim Jaehaeng visited Beijing in 1765 and Park Jiwon in 1780. The intellectuals in Joseon began exchanging written conversations and letters with the Chinese intellectuals and this initiated the school of Northern studies, or Bukhakpa, that studied advanced culture of the Qing dynasty. The Travel log of Special Envoys to Beijing, or Yeonhaengrok, has been mostly used for study on the Sino-Korea cultural exchanges, however, it is a log for one-time event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it is a document that was written solely by the Korean envoy after he came back to Korea. On the other hand, given that letters are the archive of multiple exchanges between two people that are not constrained to time and space, the letter exchanges are an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the mutual recognition of the intellectuals of the two countries. Every time a collection of letter is found, a paper on the introduction of the book has been written, so far. However, we have foun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establish a database that all content of the letter collections that were found, as we had already collected 37 books of the letter exchange collections. This method has two steps--the first step is digitalization of data, creating image data of the books by taking photographs, making input of original text in Chinese letters, and translating it into Korean so that it would be read by machine; the second step is establishment of Larchiveum, a comprehensive service facility that integrates the functions of library, archive, and museum. In the second step, all data created in the first step are divided by the unit of the information entities that have each meaning and the units are systematically connected so that the content of the data would be highly structuralized. The concept of Larchiveum introduced in this paper is a new approach to study not only the collection of letter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but also the log of special envoys between Korea and Japan.

      • 댄스스포츠 활동 참여시 고려하는 마케팅믹스 요인에 따른 시장 세분화

        허경아(Kyoung-Ah Hur)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11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선택하게 되는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의 여러 요인들 중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되는 요소를 밝히고, 그 요소별 시장을 세분화(market segment) 하여 세분화된 시장들의 특성을 파악한 후 댄스스포츠 소비자들의 지속적임 참여를 유도하고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지역의 댄스스포츠 교실에 등록된 남?녀 회원을 중심으로 하여 댄스스포츠 경기 대회에 참여한 선수 및 관람자들도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 350부 중 317부를 최종 표본으로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요인들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a< .05로 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 및 결과를 토대로 요약하면 댄스스포츠는 남성(35.6%)보다 여성(64.6%)의 참여 비율이 높고 중년층 이후(40세 이후)의 참여도가 높으며 주로 문화센터나 동호회를 통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별로 보았을 때도 전반적으로 문화센터나 동호회를 통한 참여도가 높았으나 중소 도시 및 농어촌의 경우는 매체를 통한 경기 관람의 비율이 약간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댄스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소비자들은 가격, 접근성, 장소, 제품, 촉진, 서비스의 요인들 중 제품요인(흥미, 학습의 용이성, 인지도)을 스포츠 활동 참여시 고려하는 우선순위 요인으로 꼽았다. 이 6개의 요인들을 군집 분석한 결과 제품 및 장소, 인지도를 중요시하는 ‘세분시장 1’과 가격을 중시하는 ‘세분시장 2’로 구분되었는데, 50~59세의 연령층과 선수 및 사설학원 집단만이 가격을 중시하는 ‘세분시장 2’를 중시하는 그룹이었고 성별과 거주 지역에 관계없이 나머지 연령층과 다른 유형의 참가자들은 제품 및 장소, 인지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