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와 성별에 따른 건강행태 분석

        함현진,손영경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와 성별에 따른 건강행태의 차이를 분석하여 발달장애인의 건강불평등 해소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2022)>이고 연구대상은 조사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1,768명이다. 분석을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건강행태에 관한 생애주기와 성별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흡연, 음주, 스트레스 문제는 생애주기와 성별의 주효과가 모두 유의미하였고, 과체중은 생애주기에 따라, 성(性) 문제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주효가가 있었다. 둘째, 흡연, 음주, 과체중, 성문제, 스트레스 문제의 모든건강행태에서 생애주기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건강관련 교육 및 복지 지원 시 청소년기 남성의 성문제, 성인기 이후 남성의 흡연, 성인기 이후 여성의 스트레스, 노년기 남성의 음주, 노년기 여성의 과체중 문제에 관한 우선적 고려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resolving health inequal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nd gender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alysis data is a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22),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768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wo-way ANOVA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for analysis, and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life cycle and gender for each health risk factor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ly, smoking, drinking, and stress problems had main effects of significant life cycle and genders, and overweight had significant effects by life cycle and sex problems by genders. Secondly,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ife cycle and genders was significant in all health risk factors such as smoking, drinking, overweight, sexual and stress problems. Based on study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prio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sex problems in adolescent men, men’s smoking in adulthood, women’ stress in adulthood, men’s drinking in senescence, and women’s overweight when we support the health and health of people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KOPPITZ-2를 적용한 발달장애아동의 BGT-2 반응과 지적능력과의 관계

        함현진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KOPPITZ-2를 적용하여 발달장애아동의 BGT-2의 반응(발달적 지표 총점, 정서적 지표 수, 소요시간, 도형 회상 수)을 분석하고, 지적능력과 BGT-2 반응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시의 발달장애아동 34명에게 K-WISC-Ⅲ와 BGT-2를 실시하였고, 일원분산분석과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장애아동의 BGT-2 발달적 지표 총점과 정서적 지표의 총점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고, 발달적 지표의 총점과 도형회상 수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지적능력에 따른 차이를 나타낸 발달적 지표는 11, 22, 27이고, 정서적 지표는 4, 5이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지적능력과 발달적 지표 총점, 도형회상 수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었고, 지적능력과 정서적 지표 수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반면 소요시간은 상관이 없었다. 따라서 KOPPITZ-2의 발달적 채점방법은 발달장애아동의 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지적 능력을 추정하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PPITZ-2 for the BGT-2 responses(total score of developmental indicator, the number of emotional indicator, the time required, the number of recal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GT-2 responses and intellige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34 subjects were assessed using K-WISC-Ⅲ and BGT-2.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chi-square 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 of developmental indicator and the number of emotional indicator. Bu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score of developmental indicator and the number of recal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intelligence in 11, 22, 27 of developmental indicators and 4, 5 of emotional indicator. 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total score of developmental indicator and the number of recall, where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the number of emotional indicator.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telligence and the time required. Therefore KOPPITZ-2 for the BGT-2 might be useful assessment tool to underst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and to estimate intellig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심리적 소진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함현진,조미영,조연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심리적 소진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94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셀프리더십은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소진은 보통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셀프리더십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심리적 소진과 셀프리더십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전략과 심리적 소진은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행동 지도전략을 증진하고 심리적 소진을 감소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이루어지길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and the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self-leadership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4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and self-leadership were more than mid and psychological burnout was less than mid.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and self-leadership.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self-leadership. Third,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and psychological burnou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self-leader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various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and reduce the psychological burnout should be developed, and effects of those programs should be verified.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

        함현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employment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4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2nd wave 4th survey of the 2019 Employment Panel Survey for the Disabled, and a hierarchical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gative effects employment, and family employment support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strengthening the negativ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employment.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reflecting the needs of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necessity of employment support policies, and strengthening trust with the state and local communit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과 취업의 관계에서 가족취업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발달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9년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4차 조사 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394명이고, 가설검증을 위해 위계적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차별경험은 취업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가족취업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여 차별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부적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달장애인 가족의 요구를 반영한 근무환경개선과 취업지원정책의 필요성, 국가 및 지역사회와의 신뢰감 강화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진로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함현진(Hyun Jin Ham)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2 사회융합연구 Vol.6 No.5

        본 연구는 다문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준비성 간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준비를 위한 정책적·학문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제8차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에 참여한 다문화 고등학생 1,197명이다.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성취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성취동기는 진로준비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진로준비성 간의 관계에서 성취동기는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점검하고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실제적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들을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preparation perceived by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to make policy and academic suggestions for career prepar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97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8th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urvey (MAPS). For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achievement motivation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Third, achievement motivation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career preparation perceiv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asures were proposed to check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develop practical programs for positive interaction, as well as to inspire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함현진(Ham, Hyun Jin),송성숙(Song, Seong Suk)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지연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 D대학교 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Google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학업적 지연행동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SNS 중독경향성은 학업적 지연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학업적 실패내성과 부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학업적 지연행동과 학업적 실패내성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지연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SNS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학업적 상황에서 건전하게 SNS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i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university student. A Google survey was conducted on 204 students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has been verified through three stages of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NS addiction pronenes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addi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etween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Second, it showed that academic procrastination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o prevent SNS addiction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healthy use SNS in academic circumstances.

      • 복합 전시판매공간 개념의 ‘D’사 공간 계획안

        함현진(Hamn, Hyun-Jin),김문덕(Kim, Moon-Duc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1

        The spending pattern of modern day consumers are increasingly involved in information and new cultures due to both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advancement and higher standards of living. In addition, the commercial space itself like retail stores, office interior spac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terms of marketing and tools to deliver goods and services to consumers more effectively. However, most interior spaces are not fully serving the needs of their consumers partially due to outdated creativity and poor management.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R&D) is planned to assist in maximizing the use of interior design space that can deliver best experiences and inform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to consumers. In addition, R&D center will help maximizing corporate profit in the coming years.

      • KCI등재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함현진(Hyun Jin Ha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을 분석하여 각 집단의 반응특성과 KOPPITZ-2를 통한 집단의 분류정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일반아동 46명, 지적장애아동 35명, 영재아동 33명의 총 114명으로, 일반아동은 군집표집 하였고, 지적장애아동과 영재아동은 목적표집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검사자 및 채점자 훈련과 KOPPITZ-2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KOPPITZ-2 반응 차이를 분석하였고, 단계적 판별분석을 통해 집단에 대한 분류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OPPITZ-2의 발달지표총점, 정서지표총점, 반응시간은 일반 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KOPPITZ-2는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에 대하여 79.8%의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지표총점이 분류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PPITZ-2 response of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to verif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groups through the response nature of each group and KOPPITZ-2.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4 children including 46 ordinary children, 35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33 gifted children. Ordinary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cluster sampling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examiner and rater training and KOPPITZ-2 test were carried out for the study. The KOPPITZ-2 respons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through the one-way ANOVA an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n the group was verified through th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emotional index total score of KOPPITZ-2, and reaction time. Second, KOPPITZ-2 showe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79.8% for the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particularly it was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made a lot of contributions to the clas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