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사공동체가 중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희진,양정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교사공동체가 중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 1차년 자료를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생배경변수로 가정소득, 부모의 최종학력, 형제·자매 총수, 그리고 부모의 교육기대수준 등이 학생의 수학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교변수인 남녀공학 여부, 학교 평균 SES, 학교규모, 학교위치가 학생의 수학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교사공동체는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별도로 교사공동체 지표만을 투입하여 학생의 수학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교사공동체 지표 중에서 공유된 책임의 경우는 학생의 수학성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교사 의사참여는 학생의 수학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사공동체는 이전의 선행연구와 다르게 우리나라에서는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공동체의 지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공유된 책임 등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교사공동체 지표가 어느 정도 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ffects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such as family income, parents' final education, and parents expect the student performance, co-education school, the average SES, school size, school loc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Unlike previous studies, the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factors have a in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Apart from this, according to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model, shared responsi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However teachers' decision participation have a evil influence on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the teachers communit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of the other countries that do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However, among the teachers community factors, shared responsibility for student achievement have influence o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 KCI등재

        오진(誤診): 의료윤리와 의료법에 선행하는 인식론 문제

        한희진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2

        Succeeding to Claude Bernard(1813∼1878)’s physicochemical reductionism and determinism as well as Pierre Louis(1787∼1872)’s statistical and stochastic methodology, Evidence-Based Medicine(EBM) attempted to improve the diagnostic certainty of contemporary medicine. Nevertheless, EBM was not able to diminish significantly the frequency of diagnostic errors. As the patient’s security and rights are emphasized in Western Europe and the U.S., malpractice suits involving misdiagnosis are rapidly increasing and ethical controversies over this fundamental problem of medicine are spreading all over the society. In consideration of such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EBM this paper is focusing on misdiagnosis where the uncertainty of medicine is most obvious. After analyzing the reasons why EBM does still not guarantee to avoid misdiagnosis, the indispensable and positive function of clinical intuition in clinical decision-making is revealed. Then, the paper argues that the cognitive limits of doctors and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medicine require an epistemological examination prior to the ethical and legal discussions. In other words, the philosophy of medicin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malpractice suits and ethical debates concerning misdiagnosis as it may contribute to a better resolution of these delicate issues.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EBM)은 클로드 베르나르의 물리화학적 환원론 및 결정론과 피에르 루이의 통계적 및 확률적 방법론을 계승하여 현대의학에서 진단의 확실성을 증대하고자 했지만 진단의 오류를 현격하게 감소시키지는 못했다. 최근에 환자의 안전과 권리가 강조되면서 서유럽과 미국에서는 오진을 둘러싼 의료소송이 급증하고 의료윤리 논쟁이 사회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근거중심의학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의학의 불확실성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오진(misdiagnosis) 문제에 주목한다. 먼저 본 논문은 근거중심의학이 여전히 오진을 피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임상결정에서 임상통찰의 필수적이고 긍정적인 기능을 밝힌다. 이어서 의사의 인지적 한계와 의학의 방법론적 문제를 인식론의 차원에서 검토하는 의철학(Philosophy of Medicine) 연구가 윤리적이거나 법적인 논의보다 선행해야만 오진과 관련된 의료윤리나 의료소송의 민감한 문제를 올바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EU 기후변화 대응과 자동차산업 - 전기자동차 배터리분야에서 한국과 협력에 주는 시사점

        한희진,안상욱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1 EU연구 Vol.- No.57

        The EU has led the global climate change response. The EU's goal of achiev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20 compared to 1990 was achieved in 2014. However, the EU's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transport sector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EU has adopted initiatives to achieve greenhouse gas reduction from the transport sector. In 2011, the EU proposed a strategy in a white paper titled "Roadmap to a Single European Transport Area" to reduce fossil fuel vehicles in urban areas by 50% by 2030 and phase out by 2050. The EU also proposed the deployment of an adequate number of public-accessible urban charging stations by December 31, 2020 to ensure a sta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environment through “the Directive 2014/94/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October 2014". As a result, despite the economic recession in 2020 due to the COVID-19, the sales of electric vehicles in the EU surged. The sales of BEV and PHEV in Europe in 2020 surpassed those of China, making Europe the largest market of electric vehicles in the world. Compared to 2019, the sales of BEV and PHEV in Europe grew by 137%.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EU's electric vehicle market, the EU relies on Asian companies for the supply of batteries, a key component of electric vehicles. Therefore, EU automakers such as Renault Group expanded their partnership with South Korean battery makers such as LG Energy Solution (Former LG Chem’s Battery Business). On the other hand, the EU has adopted its strategy to expand production of batteries in the EU. EU는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을 주도하였다. 1990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을 2020년까지 달성하겠다는 EU의 목표는 2014년에 달성되었다. 그러나 운송분야에서 EU의 온실가스 배출감축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EU는운송분야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기 위한 아젠다를 지속적으로 제시하였다. 2011년 EU는 “단일 유럽 교통지역 로드맵 (Roadmap to a Single European Transport Area)”의 제목의 백서를 통해서, 도심에서재래식연료 사용 차량을 2030년까지 50% 수준으로 감소, 2050년까지는완전 퇴출(phase out)하는 전략 제시하였다. 또한 EU는 2014년 “대체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침 (Directive 2014/94/EU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2 October 2014 on the deployment of 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을 통해서 안정적인 전기자동차 충전환경 보장을 위해서 2020년 12월 31일까지 대중이 접근 가능한 적절한수의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확보하여 도시/도심 밀집지역 및 기타 인구 밀집지역에서 전기자동차의 통행을 보장해야한다고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서 COVID-19확산을 세계경계가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유럽에서 전기자동차 판매는 급증하였다. 2020년 유럽 내 전기자동차와 충전식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는 중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규모로 부상하였다. 2019년대비 2020년 유럽내 전기자동차와 충전식 하이브리드자동차 판매는137% 성장을 기록하였다. EU의 전기자동차 시장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의 핵심부품인 배터리의 EU생산은 미미하였다. 따라서르노자동차 그룹과 같은 EU자동차 기업은 LG화학(현재 LG에너지솔류션)과 같은 한국의 배터리 생산기업과 제휴를 확대하였다. 반면에 EU는배터리의 EU내 생산확대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에너지전환과 지방정부의 역할: 문재인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한희진,Han, Hee-Jin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0 No.1

        In December 2017,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nounced a major policy shift away from nuclear and coal, committing itself to the vision of creating a society where renewable sources account for 20% of its electricity generation by 2030. This energy transition involves not just a technical transition from conventional energy sources to renewable energy but also active participation of multiple stakeholders in the energy governance. While energy policy making has long been domin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with the aim of managing the supply for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Moon administration aims to diffuse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across various actors in society. Among those a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s that local governments play in energy transition. Despite deepening local autonomy since 1995,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remained policy targets or recipients in the energy policy domain. This article discusses how such a traditional role has evolved under the new administration's energy transition policy and examines what challenges and limitations local governments face in creating a more decentralized energy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국내 영유아교사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희진,양정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he resilience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s, we selected 44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List from 2010 to 2017. The criteria of analysis are the journal types, research year,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nd keyword based on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We used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word cloud method as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wo journals were published in 2010, and the largest number of journals were published in 2015 and 2017. Second, 39 out of 44 papers were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3 qualitative research and 1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Finally, the trend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are as follows: 21 out of 44 papers on the analysis of resilience effectiveness analysis, and 14 on resilience as parameter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 tres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o conduct a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resilience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회복탄력성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탐색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2017년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44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기준과 분석방법은연구동향과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분석기준은 선행연구의 기준 틀을 검토 및 활용하여학회지, 연구 시기,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 주제, 키워드를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방법과 워드클라우드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을 통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술지와 연구시기별 학술지 현황을 보면, 2010년에 2편이 게재되었으며, 2015년과 2017년에는 가장 많은 11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두 번째로 연구방법과 관련한 동향 분석 결과를 보면, 분석대상 논문 44편 중에서 39편이 양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질적연구는 3편 그리고 혼합연구와 문헌연구는 각각 1편씩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와 관련한 동향을 보면, 회복탄력성 효과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전체 44편의 논문 중에서 21편이며, 직무만족이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매개변수로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는 14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영유아교사 회복탄력성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China, An Upstream Hegemon: A Destabilizer for the Governance of the Mekong River?

        한희진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17 Pacific Focus Vol.32 No.1

        Transboundary rivers have remained one of the sources of contention and cooperation among states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Mekong is one such river along which China and five Southeast Asian countries have organized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lives. Studies examining the water politics of this river have argued that the lack of a comprehensive institution to govern this regional common pool resource and the growing power asymmetry between China, an upstream riparian state, and its Southeast Asian neighbors dampen the prospect for an effective governance of the river. Particularly, the economic rise of China and its concomitant increase in demand for energy and water resources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negative impacts that this would have on the downstream countries. Examination of recent developments regarding the Mekong River suggests, however, that China has adopted a more collaborative approach by engaging in joint development projects and exchang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via existing sub-regional and regional multilateral bodies since the early 2000s. The study concludes that this growing evidence of cooper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ina’s policy towards the Mekong Riv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