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올림픽 헌장을 중심으로 한 올림피즘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대한 규범적 고찰

        한희원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0 스포츠와 법 Vol.13 No.1

        Baron Pierre de Coubertin who in 1894 established the Olympic Movement, is recognised as the father of modern Olympism in other words father of modern Olympic Games. He modernized ancient Greek ideals and launched them to the rest of the world through the staging of a modern Olympic Games and its spirits is embodied as Olympism in current Olympic Charter. Today, the Olympic festival celebrates the ideals which remain at the heart of Olympism across the whole world. According to Olympic Charter, by blending sport with culture and education, and international politics Olympism promotes a way of life based o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body, will and mind, the joy found in effort, the educational value of being a good role model, respect for universal ethics including non-discrimination and respect for other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deal, Olympism uses sport to promot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people as an essential step in building a peaceful society that places a high value on human dignity. For the fulfil of Olympism,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IOC) was created. Essentially, from the legal point of view the IOC is a non government organization based in Lausanne, Switzerland. The IOC organizes the modern Olympic Games held in Summer and Winter, every four years. The IOC is a parent organization intended to localize administration and authority for the Games, as well as to provide a single supreme legal entity which owns copyrights, trademarks, and other intangible properties associated with the Olympic games. There are other organizations which the IOC coordinates as well, which are collectively called the Olympic Movement. One of the most important organ of Olympic Movement is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NOCs) which has the attribute as the branch of IOC in separate countries. Nowadays National Olympic Committees are the national constituents of the worldwide Olympic movement, however recognition about its norm value is usually insufficient among even sports related persons and sport organizations as well. Subject to the controls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National Olympic Committees are responsible for organizing their people's of separate Nations participation in the Olympic Games. Considering all these legal aspects and issues based on the current Olympic Charter, this paper exams the function and mission of IOC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bout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IOC and the right model of NOC which must preserve its own autonomy in its own country. 오늘날 올림픽은 스포츠와 교육 문화를 어울러 올림피즘을 고양하는 인류 축제의 장이다. 기본적으로 올림피즘은 육체와 정신과 마음의 균형 잡힌 발전, 노력의 결실로 체득하는 환희, 타에 모범이 되는 것의 교육적인 가치, 인내, 관용, 단결, 우정, 평등 그리고 타인에 대한 공경을 통한 범 윤리정신에 터 잡은 생활철학이다. 이러한 올림피즘에 기초한 올림픽은 오늘날 전 세계 인류의 평화의 축제로 전개되고 있고 향후에도 그러할 것이다. 하지만 올림픽 주관기구인 국제 올림픽위원회(IOC)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고, IOC의 개별국가에의 지부(支部)라고 할 수 있는 국가올림픽위원회(NOC)에 대한 이해는 올림픽 헌장에 터 잡은 규범적 사고가 아니라, 올림픽 경기가 선사하는 환희와 감격 그리고 감동의 현장에 대한 사실상의 느낌이 현실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IOC를 최대의 국제기구인 국제연합(UN)과 연계하자는 일부의 논의가 있었던 것처럼, 인류가 고안한 아이디어 가운데 전 세계 평화와 안전에 이바지하는 바가 그 어떤 방법보다 지대한 스포츠, 구체적으로는 올림픽 운동과 그 기본 기구에 대한 규범적인 이해는 글로벌 세계질서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불가결한 문제라고 할 것이다. 본고를 통해 2010년 현재의 올림픽 헌장을 중심으로 한 IOC의 모습을 소개함으로써, 올림픽 정신을 바탕으로 한 올림픽의 규범적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한국올림픽위원회(KOC)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한 개선방향의 단초로 이바지하며, 대한민국 체육계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반 논의 그리고 스포츠 법학의 발전을 위한 법규범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이버 전쟁에 대한 법적 규율에 관한 연구

        한희원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3

        오늘날 사이버 안보는 국가안보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사이버 안보 는 단적으로 사이버 공격의 충격으로부터의 국가안전의 확보이다. SNS 등 눈부신 의사소통 과학기술의 발달로 국가안보의 핵심으로 부 상한 사이버 안보는 정확한 개념 정의에서 출발한다. 사이버 전쟁과 사이버 테러리즘은 대표적으로 사이버 안보를 위협하는 사이버 공격이 다. 사이버 전쟁은 사이버공간에서 전쟁 수준의 무력 공격이다. 이론적 으로는 사이버 공격을 받은 국가가 비례적인 무력 사용으로 물리적으 로 군사적 대응을 촉발할 수 있는 사이버 공격이다. 반면에 사이버 테 러는 사이버공간에서 이념적ㆍ종교적ㆍ정치적 목적으로 극도의 공포심 을 초래하려는 파괴적 활동이다. 이외에도 사이버 범죄도 사이버 안보 를 위협하는 사이버 공격에 포괄된다. 그들 사이버 전사, 사이버 테러 리스트, 사이버 범죄자의 목표는 다르다. 사이버 전쟁은 궁극적으로는 대상 국가의 전복을 목표로 한다. 사이 버 테러리스트는 정치적ㆍ이념적ㆍ종교적 목표를 추구하여 극도의 공 포심을 야기하여 대상국가의 정책을 변경하려는 의도로 사이버공간에 서 다양한 공격을 감행하는 테러분자이다. 반면에 사이버 범죄를 자행 하는 사이버 활동가들은 단순한 즐거움 또는 범죄 철학, 정치적, 금전 적 이유로 사이버 공격을 하는 개인들이다. 어떤 수준의 사이버 공격 이 사이버 전쟁인지, 사이버 테러인지 아니면 사이버 범죄인지를 판단 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은 아직 없다. 또한 사이버공간에서 국가간 관 계를 규제하기 위한 국제적 법적 구속력이 있는 법제나 수단도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현실적으로 사이버 전사, 사이버 테러리스트, 사이버 범죄자 등의 각 범주 내에서 다양한 행위자의 의도 및 방법은 중복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기가 대응 옵션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고는 사이버 안보의 위험성이 점증하는 현실에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법치적 접근의 현실과 미래 과제를 살펴보고 졸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Cyber-attacks have become increasingly common in recent years. As a result, some have suggested that cyber-attacks should be treated as acts of war. Cybersecurity is, in short, securing national security from the impact of cyber attacks. Cybersecurity starts with an accurate conceptual definition of related terms. This Article examines how existing law may be applied— and adapted and amended—to meet the distinctive challenge posed by cyber-attacks. It begins by clarifying what cyber-attacks are and how they already are regulated by existing bodies of law, including the law of war, international treaties, and domestic criminal law. Cyber warfare is a war-level armed attack in cyberspace. Cyberwar ultimately aims to overthrow the target country. Cyber terrorists are terrorists who carry out various attacks in cyberspace with the intention of changing the policy of the target country by causing extreme fear in pursuit of political, ideological, and religious goals. On the other hand, cyber activists who commit cybercrime are individuals who engage in cyberattacks for simple pleasures or criminal philosophy, political, and financial reasons. There are no clear criteria yet to determine what level of cyberattacks are cyber warfare, cyber terrorism, or cybercrime. In addition, there are no international legally binding laws or means yet in place to regulate relations between countries in cyberspace. In reality, the intentions and methods of various actors within each category of cyber attacks are not only overlapping, but also various motives complicate response options. From these point of view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ality and future challenges of the rule of law approach to cyber attacks in the reality of the increasing risk of cybersecurity and to present poor opinions.

      • KCI등재

        인공지능(AI)기반의 치명적 자율무기에 대한 법적·윤리적 쟁점 기초연구

        한희원 한국국가정보학회 2019 국가정보연구 Vol.12 No.1

        "The enormous advances made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over the past years have led to mounting fears and debates on the future warfare. Especially lethal autonomous weapons(LAWs) which can select both the target and means of attack autonomously without decision of human being are in the center of the debate. The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eployment of lethal autonomous weapon systems(LAWs) is actively under running throughout the military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The legal community is also have increasing interest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has already emerged as an issu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the topic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gun to appear in legal papers. Most of them are papers dealing with issues related to self-driving car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owever, issues surrounding autonomous weapons system ba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re important and immediate. For that reasons, this paper is mainly focused on the military advantage to be gained from current and future systems, the risks and potential benefits inherent and the ethics of their use. Ongoing discussions at different multilateral fora on the definition of ‘Lethal Autonomous Weapons Systems(LAWS) are focused on a preemptive ban on LAWs on one hand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dual use of technology on the other. Those who advocate for a pre-emptive and thorough ban on LAWs argue that such weapon systems are not able to comply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distinction and precaution which is the main principle of the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IHL). Considering the dual use of robot technology and already existing degree of autonomy in current warfare, what is essential is to engage in meaningful deliberations to arrive at common understandings on compliance of LAWs with the principles of IHL and IHRL ahead of their deployment in future conflicts. Like previous technological revolutions, artificial intelligence surely poses new challenges for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particularly regarding accountability and the legal regulations governing the use of force. As seriously discussed in the U.S. Congress, artificial intelligence is undoubtedly a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that directly affects national security. It is clear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I) will have a profound impact on future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and therefore national security issues. The real issue is tha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deadly autonomous weapons based on dazzling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raises a variety of ethical and legal issues. Such legal and ethical issues arise not just as theoretical material but as ethical issues at the national security level of sovereignty. Most significantly, will it allow the development of lethal autonomous weapons? What restrictions would be placed if allowed? How will artificial intelligence change future wars? How will lethal autonomous weapons (LAWs) affect military balance with rivals? Is there any possibility of an international ethical dispute? In reality, the CIA, which goes by the hands of the world's secret hands, is said to have already hired artificial intelligence spies.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NSA), nicknamed the ear of the Earth, admitted that it is operating by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gather information and analyze information. China and Russia, which have a serious impact on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are also known to be racing fiercely. From all those point of vies, this thesis suggests and emphases to rethink lethal autonomous weapons,‘s pros and cons considering legal and ethical point of views." "인공지능은 미래 과학기술문명의 정점을 이룰 것으로 제3의 종으로도 예견된다. 제4차산업혁명의 핵심 주제이다. 그 결과 법학계의 관심도 증대하고 있고 법률논문에도 인공지능 주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대개는 자율주행차와 지적재산권 관련 쟁점을 다루는 수준이다. 그러나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인공지능 기술이 국가안보 수호를 목표로 하는 신기술 무기체계로 응용되는 경우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치명적 자율무기(LAWs) 쟁점이다. 그동안 미국 의회에서 심각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의심할 여지없이 인공지능(AI)은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과학기술 분야이다. 따라서 인공지능(AI)은 미래의 국가정보활동 그러므로 국가안보 쟁점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임이 명백하다. 그 현실적인 쟁점으로 치명적 자율무기가 우리 앞에 성큼 다가왔다. 눈부시게 발전하는 인공지능에 기반을 둔 치명적 자율무기 같은 신기술 출현은 다양한 윤리적ㆍ법적 쟁점을 제기 한다. 그러한 법윤리적 쟁점은 단순한 이론적 흥미가 아니다. 주권국가 차원의 안전과 안보 윤리이슈로 대두된다. 가장 크게는 과연 치명적 자율무기 개발을 허용할 것인가? 허용한다고 하는 경우에는 어떤 제한을 둘 것인가? 인공지능(AI)이 미래 전쟁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치명적 자율무기(LAWs)는 경쟁국들과의 군사적 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국제 윤리적 논쟁 소지는 없는가? 등이다. 현실적으로 세계 비밀의 손으로 통하는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이미 인공지능 스파이(AI-Spy)를 고용하였다고 한다. 지구의 귀라는 별칭을 갖는 펜타곤의 국가안보국(NSA)은 정보수집과 정보분석에 인공지능을 도입하여 운용중임을 시인했다.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국과 러시아 또한 맹렬히 질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국가안보와 국제안보의 현실 상황에서 목전의 쟁점으로 제기되는 치명적 자율무기에 대한 법적ㆍ윤리적 쟁점을 검토하는 것은 국가정보기구의 당연한 책무일 것이다. 이에 본고는 인공지능 기반 무기체계에 대한 국가정보기구의 활동이 정당성을 갖추는데 필수적 전제인 법윤리 인식의 기초 자료로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사이버 경제간첩 현황과 미국 경제간첩법의 교훈

        한희원 한국국가정보학회 2018 국가정보연구 Vol.11 No.2

        Through human history, Where there is a society, there is competition. And where there is competition, there was a spy. In the post-Cold War era, the most intense competition on going in modern society is in the economy sector. Even in today's era of brilliant technological advances, Governments do mobilize their own intelligence agencies or develop diverse economic friendly forces to secure economic intelligence. Among the various economic intelligence activities, industrial espionage is the one that directly threatens national security or threatens corporate Survival. Economic espionage is foreign power-sponsored or coordinated intelligence activity directed at the competitive government or some corporations, establishments, or persons, designed to unlawfully or clandestinely influence sensitive economic policy decisions or to unlawfully obtain sensitive financial, trade, or economic policy information; proprietary economic information; or critical technologies. This theft, through open and clandestine methods, can provide foreign entities with vital proprietary economic information at a fraction of the true cost of its research and development, causing significant economic losses. For that reasons, Industrial espionage causes direct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or threatens the survival of businesses. Cyberspace remains a preferred operational domain for a wide range of industrial espionage threat actors, from adversarial nation-states, to commercial enterprises operating under state influence, to sponsored activities conducted by proxy hacker groups. Next-gener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the Internet-of-Things (IoT) will introduce new vulnerabilities to U.S. networks for which the cybersecurity community remains largely unprepared. Building an effective response will require understanding economic espionage as a worldwide, multi-vector threat to the integrity of the U.S. economy and global trade. From all those point of vies, this thesis suggests and emphases to rethink its pros and cons and make a agreed rules through United Nation System. In those circumstances This thesis presents the gravity and increasing phenomenon of cyber economic espionage, and provides an overview of the U.S. Economic Espionage Act at the center of its response, referring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cyber economic initiative reported to Congress in 2018. The cyber-economic espionage force will have no reason to exclude the Republic of Korea alone.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contribute to cyber national policy and information activities by raising our measures including the enactment of the Basic Law on Cyber Security. 인류 역사적으로 사회(社會)가 있는 곳에 경쟁(競爭)이 있었다. 그리고 경쟁이 있는 곳에 스파이가 있었다. 냉전 이후 현대사회에서 가장 치열한 경쟁이 전개되는 곳이 경제영역이다. 이에 눈부신 과학 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각국 정부는 자국의 공식적인 정보기구를 동원하거나 아니면 다양한 우호세력을 확보하여 경제정보(經濟情報) 활동을 전개한다. 다양한 경제정보 활동 가운데 일국의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을 초래하거나 기업의 존망을 위협하는 것이 산업스파이다. 본 논문은 미국 정보공동체가 2018년도에 미국 의회에 보고한 사이버 경제간첩의 현황을 참조하여 현대사회에서 사이버 경제간첩의 위중함과 더욱 활발해지는 현상을 제시하고 그 대처의 중심에 있는 미국 경제간첩법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더불어서 사이버 경제간첩 세력은 대한민국만을 예외로 둘 아무런 이유가 없을 것으로, 현실에서 막강한 저력을 발휘하고 정보수사공동체의 주요무기로 기능하는 미국 경제간첩법을 본받아 가칭 사이버안전 기본법 제정을 비롯한 우리의 대책(對策)을 제기하여 사이버 국가안정책과 정보활동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성 분석

        한희원,이희원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7명이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프로그램이 시작하기 전과 후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각각 측정한 뒤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 종료 후 6개월의 기간이 지난 뒤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간 관리에 대한 지속성 여부와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추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를 보였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의 긍정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세부 요소 중에서 자기조절효능 영역에서는 유의하게 긍정적 변화를 보였지만, 과제난이도와 자신감에서는 유의한 수준에서의 긍정적 변화가 없었다. 즉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은 자기조절효능감을 향상시켜서 학업 지연의 문제를 극복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면담을 통하여 참가자들은 시간 관리의 정도와 방법에는 차이를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시간 관리를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시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여 생활에 활력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on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were involved in the program. SPSS was used to measure items such as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fficacy whic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the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Then after six months, they were asked whether or not they conducted time-management and what impact the program had their life. As a resul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ppeared in the participants. Regarding self-esteem after the training, significantly positive improvement appeared, and regarding academic self-efficacy after the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improvement in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three sub-facto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ly positive improvements in self-confidence and task-difficulty among three sub-factors. After six month,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practice time-management in different degrees and they perceived the necessity of time-management through the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We expect to solve the problem of academic procrastination through the time-management strategy program.

      • 인간정보의 의의와 중요성의 재조명

        한희원 한국국가정보학회 2015 국가정보연구 Vol.8 No.1

        HUMINT is a syllabic abbreviation of the words HUMan INTelligence. It refers to intelligence gathering by means of interpersonal contact, as opposed to the more technical intelligence gathering disciplines such as SIGINT, IMINT and MASINT. HUMINT can provide several kinds of information. It can provide observations during travel or other events from travelers, refugees, escaped friendly POWs, etc. It can provide data on things about which the subject has specific knowledge, which can be another human subject, or, in the case of defectors and spies, sensitive information to which they had access. Finally, it can provide informa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networks of interest. However, good intelligence management begins with the proper determination of what needs to be known. For that reason, evaluation of HUMINT is essential, because many of the wide variety of sources are of doubtful reliability. HUMINT is both a source of positive intelligence, but also of information of strong counterintelligence value. Espionage is inherently clandestine, and the legitimate holder of the information may change plans or take other countermeasures once it is known that the information is in unauthorized hands. HUMINT is in a constant battle with counterintelligence, and the relationship can become very blurry, as one side tries to “turn”agents of the other into reporting to the other side. From all these points of view, this article introduces the basic concept of HUMINT and its dual aspect of character and various practical issues derived from the espionage field.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sake of national security through national intelligence is right understanding on the HUMINT and openness of mind about the real work and achievement of intelligence field which is one of the purpose of this thesis. 전 서울시청 공무원 류자강에 대한 간첩 사건 문제가 2014년 대한민국을 뒤 흔들었고국가정보원을 혼돈상태로 몰아넣었다. 검찰의 국정원에 대한 수사 과정에서 블랙요원을포함한 정보요원들의 신상이 국회의원과 검찰에 의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단적으로 인간정보활동에 대한 불신과 참사를 가져왔다. 류자강 사건에 등장하는 협조자나 국정원 직원들이 모두 인간 정보요원, 즉 휴민트이다. 정보의 세계에서 사람의 가치는 매우중요하다. 정보의 핵심인 상대세력의 의도와 능력은 과학기술 장비로는 파악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미국 CIA는 2005년 국가비밀부를 창설했다. 이에 본고는 인간정보요원의 문제를 학문적으로 고찰하여 상식 수준의 이해를 바로잡고 또한 인간정보에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불변의 가치를 가지는 인간정보 활동이 위축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미국 CIA 국가비밀부의 창설사례를 제시하여 인간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지휘부가 우리의 휴민트 정보체계에 대해서도 교훈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함도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AI)의 법인격 주체성의 논리적 기틀에 대한 기초 연구

        한희원 중앙법학회 2018 中央法學 Vol.20 No.3

        Generally speaking, a moral agent is a human being who has the ability to discern right from wrong and to be held accountable for his or her own actions owing to so called reason or rationality. For that reason moral agents have a moral responsibility not to cause unjustified harm to anyone in a society. However the newly emerging field of smart machine ethics is concerned with adding an ethical dimension to machines. So called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intelligence demonstrated by machines, in contrast to the natural intelligence displayed by humans and other animals. As technology advances, some activities, once deemed as “human-only”, are performed by machines or artificial agents. As they accomplish more and more complex tasks, something more than complex computational capabilities are needed for artificial agents: some minimal moral capacities to decide about moral and ethics matters. Ultimately, the concept of an artificial moral actor or agent(AMA) emerged which requires ethics and new law. But can artificial intelligence agents consciously or really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Anyway Sophia,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who is recognized as the most humane robot, received citizenship in Saudi Arabia in 2017 and was invited to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ECOSOC) for a panel. Nowaday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have already begun to live together with human beings. And then what is the reality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Is consciousness the only distinction standard between animals, machines and humans? From a human-centered point of view, no matter how machine may be looks like or work similarly a human be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can’t and should not be given moral subjectivity as inanimate objects because without consciousness nothing can be moral agent. However regarding to the consciousness, lots of opinions are based on the viewpoint of human control and supervision, and directly from the viewpoint of robot slaves which derive from the viewpoint of homo sapiens, in other words anthropocentrically. And then, is Homo sapiens the ultimate conqueror of the earth? What is essence of human consciousness and life? What is the basis and content of artificial moral agent(AMA)? Does it impossible to appear super artificial intelligence, ie Robo-Sapien as a Third Species? The ultimate goal of machine ethics, I believe, is to create a machine that itself follows an ideal ethical principle or set of ethic principles like theory of utilitarianism as well as consequentialism and virtue theory, etc. Those questions a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a model of artificial normative agency that accommodates some crucial social competencies that human being expect from artificial moral agents. And I tried to discuss the ultimate question of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 sapiens and Robo-Safian will be located. Today's remarkabl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may develop a third species in some day after technical singularities. Addition that in this paper, I want to share some legal and ethical issues about the ultimate reality of artificial moral agents(AMA), as well as the problems of legal education in artificial intelligence era for the discussion and leading study in the field of legal philosophy. 미래 과학기술문명의 정점을 이룰 것으로, 제4차산업혁명의 쟁점으로도 이미 등장한 인공지능(AI)에 대해 법학계의 관심도 증대하고 있고, 법률논문에도 인공지능 주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물론 대개는 자율주행차와 지적재산권 관련 쟁점을 다루는 논문이다. 그러나 법학이 인공지능(AI)과 관련되어 원초적인 역할을 다하려면 인공지능의 궁극적인 모습인 인공적 도덕행위자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고 그것은 결국 인공지능(AI)의 법인격주체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적 도덕행위자 논쟁이 결국 법규범과 도덕윤리에 기초한 것임을 인식해야하고, 호모 사피엔스의 고유한 특성으로 말해지는 영혼, 의식, 자유의지에 대한 이해가 따라야한다. 이미 가장 인간다운 인공지능 로봇으로 평가되는 소피아(Sophia)가 2017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시민권을 발급받았고 유엔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토론자로 초청받았다. 인공지능은 이미 인간 생활 전반으로 파고들며 인간과의 동거를 시작했다. 과연 인공지능 로봇의 궁극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인간 중심적인 시각에서는 아무리 인공지능이라고 하더라도 로봇은 창의성이나 감각, 궁극적으로는 생명과 의식이 없는 무생물로 분류될 것이다. 본고의 문제의식의 출발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의식을 사물과 인간을 분별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보는 한 그것이 법학이건, 철학이건 공학이나 경제학의 관점에서건 호모 사피엔스 중심적 관점에서 인간의 통제와 감독대상, 직설적으로는 로봇노예의 시각에 입각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포스트휴머니즘, 사이보그 인간, 강인공지능의 담론은 모두 인간 중심적 한계에 있다. 그러나 오늘날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은 기술적 특이점 이후에 등장할 제3의 종(種) 논쟁을 유발한다. 이에 본고는 법조문의 천착을 주된 관심사로 하는 법학에는 매우 생소하게 보일 수 있는데, 인공적 도덕행위자(Artificial Moral Agent)의 궁극적 실체와 함께 그에 따른 법적ㆍ윤리적 쟁점을 고찰하고자한다.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의 법학교육에 대한 고민을 살핀다. 본고는 호모 사피엔스가 궁극적인 지구의 정복자이고 완결자일까? 의식이나 생명이란 과연 무엇인가? 단적으로 인간이외에 인공적 도덕행위자(AMA)를 인정할 근거와 그 내용은 무엇일까? 제3의 종으로서 인공지능 로보-사피엔스는 출현할 것인가? 그럴 경우에 호모사피엔스와 로보 사피엔스의 관계는 어떻게 위치 지을 것인가? 그 경우에 법과 윤리는 과연 무엇을 해야 하고 할 수 있는가? 라고 하는 질문들에 대한 고찰로 법학 담론의 외연확대에 일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