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인경술(印經術)의 전통과 전승 연구

        한홍익 ( Han¸ Hong-i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해인사 수다라장(修多羅藏)과 법보전(法寶殿)에 소장된 고려대장경판의 인경은 매우 복잡한 절차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쉽게 추진될 수 없는 대작불사(大作佛事)이다. 해인사에서 마지막으로 행한 공식적인 인경은 지난 1968년 12월로서 이때 대장경판 전체를 13질(帙)을 인경하였다. 현재 인경에 대한 방법과 도구 등은 해인사와 특정인에 의해 전승되고 있지만, 매우 특이하고 귀중한 무형유산이라 할 수 있다. 해인사에 전승되어 온 대장경판 인경에 대해 그 역사성과 인경 방법 및 그 과정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제Ⅱ장에서는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인경술의 전통과 고유성에 대해 정리하였다. 인경 방법 및 도구 등에 대한 기록이 전해지거나 그 과정을 정리한 바가 없었기 때문에 해인사에 전승되어 온 인경술을 중심으로 준비물, 준비 과정, 절차, 방법 등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인경불사에 참여한 인경공(印經工)의 구술과 인경 과정을 찍은 사진을 같이 제시하여 인경술 기록을 체계화 하는데 노력하였다. 그리고 해인사 인경 불사의 역사성과 독창성을 보다 다각도로 파악하기 위해 일본과 중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목판 인경 방법을 상호 비교·검토하였다. 『고려대장경』 인경 방법과 도구 등에 대해서는 현재 해인사 사하촌에 거주하는 인경공 사이에 전해오는 내용을 구술로 정리하였다. 인경 방법과 그 과정은 글로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해인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진을 적극 활용하여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Ⅲ장에서는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인경술의 전승과 기록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인사 『고려대장경』 인경술의 독창성을 이해하기 위해 일본과 중국의 인경 방법을 비교하면서 일본과 중국의 인경 관련 자료는 현지 방문 및 전문가 도움을 통해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지난 700여 년간 해인사에서 전승되어 온 고려대장경판 인경술의 전통과 고유성, 인경 방법 및 도구, 전승에 대해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gyeong(woodblock printings), one of the Buddhist services, requires very complicated processes and procedures from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Sudarajang and Beoppojeon of Haeinsa Temple. Therefore it isn’t an easy buddhist service. The last official In-gyeong was implemented in Haeinsa, in December, 1968. At that time, the 13th print edition was completed of the entire Tripitaka Koreana. Currently, methods and tools of In-gyeong have been handed down by Haeinsa and specific people, which is why it is so unique and precious intangible asset. This study is about historical value, method, and process of In-gyeong passed down by Haeins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as follows; in Chapter II summarizes the tradition and uniqueness of In-gyeong sul(Woodblock printings Techniques) in the Tripitaka Koreana of Haeinsa Temple. ince records of Ingyeong methods and tools were handed down or the process was not organized, preparations, procedures, and methods were classified by category, focusing on Ingyeong techniqu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o Haeinsa Temple. He tried to systematize the records of In-gyeong by presenting pictures of the oral and In-gyeong processes of In-gyeong Buddhist temples in the past.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originality of the In-gyeong Buddhist work in Haeinsa Temple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the woodblock In-gyeong method conducted in Japan and China was compared and reviewed. Regarding In-gyeong’s methods and tools of the Tripitaka Koreana, experts' oral tradition has been documented in Haeinsa Sahachon. As there is a limit to document In-gyeong’s methods and processes, In-gyeong related pictures of Haeinsa have been used for better understanding. in Chapter Ⅲ examines the transmission and documentation of In-gyeongsul in the Goryeo Daejanggyeong Plate of Haeinsa Temp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ality of In-gyeongsul, Haeinsa Temple, the Korean Tripitaka Koreana, we compared Japanese and Chinese in-gyeong methods, and obtained materials related to Japanese and Chinese in-gyeong through local visits and expert help.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understand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the traditions, uniqueness, methods, tools, and transmission of the Goryeo Daejanggyeong Plate, In-gyeongsul, which have been handed down in Haeinsa Temple over the past 700 years.

      • 『남양선생시집』 간행과 『고려대장경』 조성사업

        최연주 ( Choi Yeon-joo ),전진이 ( Jun Jin-yi ),한홍익 ( Han Hong-ik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남양선생시집』은 고려 무인집권기에 문신관료였던 백분화의 시집이다. 그는 스스로 參禪居士라 할 정도로 禪法을 좋아하였다. 이 시집은 백분화의 장남인 희심이 간행을 주도하였다.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희심은 부친이 생전에 남긴 시 2백여 首를 수습해 上下卷으로 편찬하고, 제목과 서문을 이규보 아들인 이함에게 의뢰하였다. 백분화는 이규보보다 나이가 10살 적었지만 일찍 出仕하였다. 최씨정권과 밀착되었던 백분화는 이규보의 출사를 위해 다방면으로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이는 두 사람이 주고 받은 詩와 이규보가 지은 백분화의 묘지명을 통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사람의 관계는 아들인 희심과 이함에게 자연스럽게 이어져 시집의 제목과 서문 작성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남양선생시집』은 『고려대장경』 조성사업이 마무리된 직후인 고종 36년(1249)에 간행되었다. 시집에서 惠堅과 孝眞이라는 각수가 조사되었는데, 이들은 『고려대장경』 판각에 참여한 각수이다. 시집 간행이 『고려대장경』 판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남양선생시집』 간행 과정을 검토해 보면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간행과 유사한 점이 많다. 그렇다면 『고려대장경』 조성사업의 체계를 활용하여 분사대장도감(이하 분사도감으로 약칭함)에서 『남양선생시집』을 간행하였을 개연성이 매우 높다. 『Namyang Seonsaeng Sijib』(『南陽先生詩集』) is a collection of Beak Bunhwa(白賁華) in a period of the Choi military regime. He had continuously interchanged with the Buddhist community including reputed monks. 『Namyang Seonsaeng Sijib』 was published by monk Huisim(希諗), the eldest son of Beak Bunhwa. Twenty-five years after the death of his father, Huisim had collected scattered poems and compiled them into two volumes. Yi Ham(李涵), the son of Yi Gyubo(李奎報), wrote the preface of it. Likewise, Yi Gyubo wrote the epitaph of Beak Bunhwa. Beak Bunhwa and Yi Gyubo were deeply involved in politics and literature. To sum up this causality, these two families had a quite friendly relationship. Meanwhile, 『Namyang Seonsaeng Sijib』 was released immediately after the engraving of 『Tripitaka Koreana』. Hyegyeon(惠堅) and Hyojin(孝眞), engravers who participated in the engraving 『Tripitaka Koreana』, undertook repeatedly the editing of 『Namyang Seonsaeng Sijib』. It shows that publication of 『Namyang Seonsaeng Sijib』 and engraving of 『Tripitaka Koreana』 are closely linked. Beak Bunhwa and Yi Gyubo are politicians who cooperated with the Choi military regime. As 『Donggukyisanggukjip』(『東國李相國集』), the collection of Yi Gyubo, was produced in Bunsadogam(分司都監) with the support of King Gojong and the Choi military regime, it is highly likely that 『Namyang Seonsaeng Sijib』 was produced in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