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주미 ( Kim Joo-mi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밀교미술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특정 작품을 고찰하고 논의하는데 그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다보니 밀교미술의 시대별 전개와 특징, 한국 밀교미술의 흐름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지를 전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밀교의 성립 배경과 밀교미술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고찰했다. 한편 불교계의 동향이 밀교미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고려하면서 한국의 밀교 수용과 밀교미술의 전개를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는 신라를 중심으로 신인비법(神人秘法)과 호국 관련 밀교미술, 신라적 만다라의 성립과 기존 존상의 밀교화, 사리탑 신앙과 탑에 봉안된 『다라니경』을 중심으로 밀교미술의 전개를 고찰했다. 고려시대의 밀교는 왕실의 밀교신앙, 총지종과 신인종의 성립, 밀교 의식 및 행사 등과 같은 불교계의 움직임을 통해 그 실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밀교미술의 전개는 고려불화, 라마교 양식의 불상, 『보협인다라니경(寶篋印陀羅尼經)』과 보협인탑(寶篋印塔), 밀교 의식구 등을 통해 살필 수 있었다. 조선시대는 국가의 숭유억불 정책에도 불구하고 조선 초에 왕실과 민간에서 밀교 관련 불사가 행해지고, 밀교 계통의 전적이 간행되면서 사리신앙과 사리장엄구의 조성이 이루어짐으로써 밀교미술의 전개가 이루어졌다. 또한 19세기 이후에 조선불화에 새롭게 등장하는 밀교 존상과 그 출현 배경을 살펴보았다. 한국 밀교미술의 어제와 오늘을 고찰하고 그 정체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사실상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번에 진행된 다소의 연구 성과가 한국 밀교미술의 성격과 흐름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초가 되었으면 한다. Existing studies and papers on esoteric art focused on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centering on specific works. As a result, it was not easy to grasp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by period and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se aspects and developed the thesis. To this end, first of all,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esotericism and the difference between esotericism and exoterism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of esoteric ar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soteric art were examined. On the other hand, while examining the acceptance of Esoteric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Esoteric art in Korea by age, I identified trends in the Buddhist world by period and focused on how they affected Esoteric art. Unified Silla centered on the Shinin technique(神人秘法) and esoteric arts related to national defense, the establishment of Silla-style mandalas(蔓茶羅) and the esotericism of existing statues(尊像), and the belief in stupas and the Darani Sutras(陀羅尼經) enshrined in the pagodas. It dealt with the development of esoteric art. In the Goryeo Dynasty, the royal family's esoteric beliefs and protective measures, the establishment of Chongjijong(摠持宗) and Shininjong(神印宗), and esoteric rituals and events were studied. In addition, based on this, I broadened my understanding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Lamaism Buddha statues, Bohyeopin Darani Sutra(寶篋印陀羅) and Bohyeopin Tower(寶篋印塔), and esoteric rituals that reflect esoteric beliefs and esoteric statues. In the Joseon Dynasty, even under the national policy of promo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ist affairs(佛事) related to Esoteric Buddhism were carried out in the royal family and the private sector, and books such as The Collection of Truths(眞言集) and Secret Buddhism(秘密敎) were published.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belief in sarira and the creation of a stele for relics, and also examined the relevance with esotericism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miracles(異蹟) and worldly oriented contents in the sarira stupa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tried to figure out the background of the esoteric Buddha newly appearing in Buddhist paintings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from Goryeo Buddhist paintings. It is not easy to consider the past and present of Korean esoteric art, but I tried to 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a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flow of Korean esoteric art.
박재현 ( Park Jae-hyeon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 선(禪)의 성격 규명 내지는 정체성 정립을 위해 그 역사와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에서 특히 고려시대 이후로 선(禪)의 역사는 불교의 역사와 다르지 않다. 한국 선에 대한 고찰은 한국불교의 역사와 특징을 규명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한국불교의 역사적 사실 관계 속에서 한국불교의 특징 내지는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노력은 여러 차례 있었다. 그리고 통불교, 호국(護國), 기복(祈福) 같은 개념들이 한국불교의 특징으로 자주 거론되었었지만 이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 역시 만만치 않았다. 현대 들어 한국 선은 이른바 ‘K-명상’이라는 이름으로 국내외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각종 ‘K-’시리즈로 나타나는 한류 현상의 일부일 수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K-명상’의 대두와 함께 한국 선의 특징과 정체성을 규명 내지는 정립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 역시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 선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조명하는 가운데 그 특징과 정체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 선에서는 동아시아 불교와 한국 불교에서 나타나는 현세 긍정적(this worldly character) 태도가 두드러진다. 이는 종교학 일반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세속화(secularization) 현상과도 관련된다. 통불교, 호국, 기복 같은 개념들 역시 현세 긍정적 태도가 시대상황에 따라 구체적으로 나타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현세 긍정적 태도는 종교적 가치의 훼손이라는 부정적 측면과 사회적 가치와 역할의 적극적 수용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 사이의 무게 중심 이동에 따라 향후 ‘K-명상’을 비롯한 한국 선의 정체성이 결정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eon(禪) in order to establish its identity. The history of Seon in Korea, especially since the Goryeo Dynasty, is not different from the history of Buddhism. The examination of Korean Seon is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define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and concepts such as ‘Unified Buddhism’, ‘Patriotism Buddhism’, and ‘Blessings Buddhism’ have been frequently invoked to characterize Korean Buddhism. However, there have also been a number of criticisms. In modern times, Korean Seon has seen a resurgence in popularity at home and abroad under the name of “K-meditation”. It is hard to deny that this phenomenon may be part of the Hallyu(韓流) phenomenon, which is manifested in various “K” serie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with the rise of ‘K-meditation’, we are faced with a situation where we ne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Se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Korean Seon while outlining its history. In Korean Seon, this worldly character is prominent. This i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secular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topic in religious studies. Concepts such as ‘Unified Buddhism’, ‘Patriotism Buddhism’, and ‘Blessings Buddhism’ are also examples of temporal his worldly character manifested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The temporal positive attitude has both a negative aspect - the erosion of religious values - and a positive aspect - the acceptance of social values and roles. The shift in the center of gravity between these two aspects will determine the identity of Korean Seon, including K-Meditation, in the future.
한진희 ( Han Jin-heui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조선 초기 불교탄압으로 밀교종파가 한국에서 역사에서 사라진지 5백여 년이 지난 이래 한국 밀교를 중흥한 종단인 진각종이 회당 손규상 대종사(1902~1963)에 의해 창종되었다. 그는 육자진언 옴마니반메훔을 염송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이후 그는 불교 교리에 입각하여 그의 깨달음을 정립해 나가게 된다. 종단 초기에 대종사는 『금강경』, 『유마경』, 『법화경』 등과 같은 일반적인 대승경전의 교리에 입각하여 그의 깨달음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나, 육자진언과 관련한 밀교 교리와의 연관성을 발견하고 그는 자신의 깨달음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밀교의 교리에 입각하여 깨달음을 정립해 나갔다. 그러나 종단 초기에는 밀교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그 교리 형태가 미완성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차츰 더 많은 밀교의 경전과 교리적인 자료를 통하여 대종사는 진각종 특유의 밀교교리를 수립해 나가게 되었고, 1957년 11월에 이르러 그는 종단이 밀교종으로서의 교리를 완성하였음을 선언하게 된다. 이 과정은 철저히 경전에 입각하면서도 다양한 교리를 무조건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자신의 수행체험과 증득을 통하여 취사선택하여 종단의 교리를 정립해 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종단은 최종적으로 밀교경전인 『대일경』, 『금강정경』, 『보리심론』, 『대승장엄보왕경』의 경전을 소의경전으로 채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종단의 밀교 교리를 정립하기에 이르게 된다. 본 논문은 대종사께서 종단의 교리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을 종단의 공식적인 역사서인 『교사(敎史)』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종단의 전적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채택된 종단의 소의경전(所依經典)에서 어떤 교리적 내용을 채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같은 시도를 통하여 진각종이 한국 밀교를 중흥한 종단으로서 어떤 교리적 특색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After esoteric sects disappeared from history in Korea due to the suppression of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Jingak sect, a sect that revived Esoteric Buddhism in Korea after more than 500 years, was created by Hoidang Sohn Gyu-sang(1902-1963). He achieved enlightenment by chanting the six-syllable mantra, Om Mani Padme Hum and afterwards he organized his enlightenment based on Buddhist doctrine. In the early days, he tried to express his enlightenment based on the doctrines of general Mahayana sutras such as Diamond-sutra, Vimalakirti-sutra, Lotus-sutra, but after discovering a connection with the esoteric doctrine related to the Six Mantras, Hoi-dang can best understand your enlightenment. He established his enlightenment based on the doctrine of esotericism that could be expressed, but in the beginn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some esoteric materials, the doctrinal aspects were not completed. However, gradually through more and more esoteric scriptures and doctrinal materials, Hoi-dang began to establish the unique esoteric doctrine of the Jingak sect and in November 1957, he declared that the sect had completed the doctrine as an esoteric sect. This process is thoroughly based on the scriptures, but it is established through self-perceived experience and verification without simply following theoretically. In this process, the sect finally adopted the esoteric scriptures as the chief textbooks of Jingak sect such as Maha-vairocana sutra(大日經), Vajraśekhara-sūtra(金剛頂經), Kāraņḍa-vyūha sūtra(大乘莊嚴寶王經), Bodhicitta-śastra(菩提心論) and based on thi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ll the doctrines of the sect.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e great master completes the doctrine of the sect based on 『敎史』, the historical material of the sect, through the history of various sects. Also,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kind of doctrinal content is contained in the finally adopted the chief textbooks of Jingak sect. Through such an attempt,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what
윤소희 ( Yoon Soh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중국과 한국에서는 불교의례율조를 ‘범패’라고 하는데 비해 일본에서는 ‘쇼묘(声明)’라고 한다. 본고에서 이에 대한 원인과 현상을 조사해 보니, 일본에서도 헤이안시기 초기까지는 의례율조를 ‘범패’라고 했음을 확인하였다. 飛鳥, 奈良 그리고 平安 초기까지는 진언이나 다라니에 관한 범어학을 ‘쇼묘’라고 하다가 헤이안 말기와 가마쿠라 초기에 이르러 모든 의례 율조를 ‘쇼묘’로 통칭하게 된 데에는 사이쵸와 구카이의 귀국 이후 일본 불교의례와 신행이 밀교화 된 것이 주요인이었다. 한국과 중국에서 주로 한문 가사를 늘여 지으며 ‘범패’라고 하는 것과 달리 일본의 쇼묘는 한문 뿐 아니라 범음도 늘여 짓는데 더하여 ‘밀의 작법의 음’이라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사이쵸 이후 천태밀교와 쇼묘는 엔닌(円仁)·엔친(円珍)·안넨(安然)을 통해 완성되었다. 특히 안넨의 悉曇學은 쇼묘 선율이론의 기반이 되었고, 悉曇聲調에서 ‘呂·律’ 음계와 樂理를 성립시켰다. 료닌(良源)은 이를 기반하여 梵音을 가사로 하는 讃을 지었고, 교넨(凝然)은 『声明源流記』에서 찬불율조를 모두 ‘쇼묘’로 통칭하였다. 덴다이쇼묘는 궁중 舞樂과 器樂이 수반되는 의례로 음악적 예술화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設壇과 행법은 밀의 작법 성격이 많고, 특정 악곡은 인가를 받아야만 唱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진언종도 황실과 관계가 있었지만 천태종에 비해서 종교적 의례에 더 충실했다. 신곤쇼묘의 실질적 개창자 간쵸(寛朝)는 쇼묘 학습과 설행에 삼중의 인증 제도를 두어 천태종 보다 더 엄격한 밀교전법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하여 오늘날까지도 인가받은 승려만이 진언을 주(呪)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에는 應酬僧, 한국에는 바깥채비와 같은 예승(藝僧)이 있는데 비해 일본에는 이러한 전문직승이 없다. 예승에 의한 범패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데에도 師資相承에 의한 밀법 전승의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In China and Korea, Buddhist chants are called ‘Beompae(梵唄)’, but in Japan it is called ‘Shomyo(声明)’.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difference through Japanese Buddhist history and ancient literature. As the result, I found that until the early Heian period, the Buddhist chant’s was called Beompae(梵唄), Shomyo was referring to pan-linguistics for learning the Shingon and Dharani in Sanskrit Siddhaṃ. But as time passed, the whole ritual music and Buddhist chanting was referred to as 'Shomyo'. the main factor in this was that Japanese Buddhism became Esotericization after the return of Saicho and Kukai who learned Esoteric Buddhism in China. Annen(安然), a disciple of Ennin(円仁), the progenitor of Tendai Shomyo, explained 'Lye(呂)' and '律(Ritsu)' in the tones of Sittan, and this became the basis for the theory of tone scale on shomyo and the royal court music.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nnen's teaching was the shomyo, and that the name ‘shomyo’ was influenced Annen's phonology of Sanskrit siddhaṃ on the Buddhist ritual and music. The actual progenitor of Shingonshomyo is Kancho(寛朝 916~998). Kancho placed a three-fold certification system in the shomyo learning process, so that even today, only authorized monks can practice the mantra. As the Tendai Shomyo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royal ceremonies, many artistic music melodies were made. Therefore, there are ceremonies accompanied by royal court music and dancing. In contrast, Shingon shomyo was more faithful to Esoteric ceremonies. so a strict accreditation system was placed on those who practice shomyo chanting and Buddhist ceremonies. As a result of this, there are not the acts as professional monks who popular Buddhist chanting singer as like the Yingchousēng(應酬僧) of China or the Bagattchaebi(바깥채비) of Kore in today’s Japanese Buddhism.
즉신성불(卽身成佛)의 의미와 원리에 대한 고찰 - 『대일경』과 『대일경소』를 중심으로 -
이중석 ( Lee Jung-seok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일반적으로 성불은 업장이 두터운 중생들로서는 지극히 어려운 일로서 삼겁이 지나야 성불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말은 곧 평범한 중생이 도달하기에는 불가능한 것이 성불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밀교에서는 이러한 생각은 중생들의 잘못된 생각임을 지적하면서 깨달음이 무엇인지에 대한 원초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즉신성불을 내세운다. 즉신성불은 진리의 상징이며 법계의 상징인 대일여래의 가지를 통하여 삼밀행을 완성할 때에 이루어진다. 말하자면 보리심을 발하고 삼밀행을 통하여 우리의 마음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들여다 볼 때에[여실지자심] 우주 법계의 본질을 통찰하게 되고 그 순간 즉신성불이 이루어진다고 설하고 있다. 중생의 자심의 실상이 보리이고 일체지지이며 아눗다라삼먁삼보리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중생의 마음의 실상이 법계이고 그것은 본불생인 법신의 세계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밀교에서는 수행의 궁극을 삼밀가지에 의한 대일여래와의 합일에 두고 있다. 즉 삼밀가지에 의하여 대일여래의 지혜를 획득할 때 그것이 곧 성불이며 보리를 완성하는 것이 된다. 대일여래, 즉 비로자나불의 법신과 합일하여 무상의 진리를 체득하고 성불에 이르기 위하여 밀교에서는 여러 가지 구체적인 수행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그것도 수겁에 걸치는 난행, 고행을 통한 성불이 아니라 진언문에 의한 삼밀행의 완성으로 비로자나불과 일체가 됨으로써 즉신성불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즉신성불에 이르는 구체적인 수행체계를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또한 밀교의 특색이며 수승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수행체계를 나타내는 것이 법신세계를 축약한 만다라의 관상법이며, 진언과 종자, 삼매야형의 상징성에 의지하여 법신의 세계를 파악하려는 삼밀행이다. 그 중에서도 밀교의 수행체계의 기본을 이루며, 또한 그 요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아자관과 오자엄신관, 그리고 오상성신관 등이 있다. 이러한 수행법은 곧 비로자나불의 법신세계를 즉각적으로, 그리고 전신적(全身的)으로 체득하여 즉신성불에 이르기 위한 밀교 독자의 수행법이다. 물론 밀교의 수행체계상에서는 이러한 관법을 행하기 위한 예비절차가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삼겁성불을 시간적 개념이 아니라 우리 마음의 무명의 두께로 파악하여 일시에 타파할 수 있는 대상으로 본 것은 밀교 만의 파격적인 통찰이며 그것을 타파하기 위한 방편이 대일여래의 가지에 의한 삼밀수행의 구체적인 수행법으로 설정되어 있다. 밀교의 삼밀수행을 통하여 100%의 즉신성불은 어렵더라도 몇 %의 즉신성불이라도 달성될 수 있다면 큰 성공이 아니겠는가? 밀교는 이론만이 아닌 실 수행을 통한 전신적인 체험을 중요시한다. 삼밀수행에 의하여 완벽한 성불은 아닐지라도 체험을 통하여 우주 법계의 비밀의 한 자락을 엿본 밀교가들은 즉신성불의 의미에 대해 더욱 공감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 논문에서 강조하는 것도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성불은 삼겁성불이 아니라 즉신성불이어야 하며 그것은 자력과 타력을 아우르는 삼밀가지 수행에 의하여 마음의 비밀을 깨트림으로써 조속히 도달되어 질 수 있다. Becoming a buddha is a very difficult task for people with thick karma,and so it is said that they can only do attaining buddhahood after 3 kalpas. This means that becoming a buddha is impossible for ordinary people to achieve. However, Esoteric Buddhists points out that these ideas are people's wrong ideas, and advocate the possibility of attaining Buddhahood while one is alive while asking a primal question of what enlightenment is. They say that attaining Buddhahood while still alive or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with this body is achieved when Tri-guhyani practice are completed with adhiṣṭhāna of Mahā Vairocana, a symbol of truth as well as Dharma dhātu itself. In other words, when we have a perfect insight into what our mind is by Tri-guhyani practice after swearing to complete bodhi, we get an insight into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dharma dhātu, and at that moment,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takes place. The actual image of one's mind is bodhicitta, wisdom of wisdom, and also anuttarasamyak-saṁbodhi. The reality of the mind of the people is Dharmadhātu itself and at the same time it is dharmakaya's dhātu without creation and extinction. But the foolish beings don't know this. Therefore, Esoteric Buddhism sets the final goal of practice asceticism to homogenize with Mahā Vairocana by Tri-guhyani practice with adhiṣṭhāna. In other words, when the wisdom of Mahā Vairocana is acquired by Tri-guhyani practice with adhiṣṭhāna to a practitioner, bodhi can be completed and Buddhahood can be attained immidately to him. In order to complete the anuttarasamyaksaṁbodhi in homogenization with Dharma kaya of Mahā Vairocana and achieve buddhahood, the Esoteric Budhism has prepared several specific systems of practice. Attaining buddhahood is a difficult thing that can be achieved after a very long time, but an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with this body can be achieved by homogenizing with Mahā Vairocana through completing Tri-guhyani practice. This is an unique method of esoteric buddhism for attaining buddhahood. In addition, it is also a characteristic and excellent point of Esoteric Buddhism that various and specific practice systems for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are presented. Representing such a practice system is many kinds of esoteric meditation using Mandala, which abbreviates Dharmakaya's dhātu, and the Tri-guhyani practice to grasp Dharma kaya's dhātu by relying on the symbolism of mantra, secret seed characters, and samaya symbols. Among them, secret practices such as Ah-meditation, meditation of magnifying body with 5 characters and meditation of changing 5 jṅāna kayas form the basis of the practice system of Esoteric Buddhism, and are also key to it. These practices are the unrivaled practices of Esoteric Buddhism for immi-diate achieving buddhahood through immediate and whole-body experiencing the Dharmakaya dhātu of Mahā Vairocana. Of course, various preliminary procedures for performing such meditation are set in the practice system of Esoteric Buddhism. However, it is the perspective of Esoteric Buddhists to grasp attaining buddhood after 3 kalpas as the thickness of the stupidity in our minds and see it as an object that can be broken at once. It is an unconventional insight only by Esoteric Buddhism, and the method to break it down is set to the Tri-guhyani practice by adhiṣṭhāna of Mahā Vairocana. Wouldn't it be a great success if you could achieve a few % of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while one is still alive through Esoteric Buddhism's Tri-guhyani practice? Although 100% of immidate attaining buddhahood is difficult. Esoteric Buddhism values the experience of the body and mind through actual practice as well as theor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be a perfect buddha by the Tri-guhyani practice, the Esoteric Buddhists, who have peeked at the secret of Dharmadhātu through experience, will be able to sympathize more with the meaning of immidate attaining buddahood while one is still alive. What I emphasize in this paper is that the buddhood we want to achieve is not obtained after 3 kalpas, but immidate ataining Buddhood while one is still alive. It can be reached quickly by breaking the secret of the mind by performing the Triguhyani practice with adhiṣṭhāna of Mahā Vairocana.
지혜경 ( Lucy Hyekyung Jee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2 No.-
본 논문은 일본 천태종의 수행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의 천태종은 태밀이라고 하는데, 태밀이란 천태종과 밀교의 수행이 함께 결합한 천태종이라는 의미이다. 천태종을 처음 일본에 전한 사이초(766-822)는 『법화경』과 밀교의 가르침이 일치한다고 보는 “원밀일치(圓密一致)”를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생각에서 『법화경』의 일승사상을 바탕으로 후학들에게 지관업(止觀業)과 차나업(遮那業)의 두 과정을 가르쳤다. 지관업에서는 지의의 『마하지관』의 이론과 수행을 가르쳤으며, 차나업에서는 『대일경』의 사상과 수행을 가르쳤다. 사이초의 후계자들은 당나라에 가서 밀교를 배워와서 태밀을 정립하게 된다. 태밀의 수행은 크게 현교와 밀교의 수행으로 나눈다. 현교의 수행이란 좀 더 많은 이들에게 개방되어 있는 수행법을 말하며, 밀교의 수행은 자격이 되는 수행자들에게만 특별히 전수되는 밀교의례와 관련된 수행을 말한다. 현교의 수행에는 천태지의의 수행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수행법과 여러 수행법이 결합된 수행법이 있다. 지의의 수행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수행법에는 사종삼매와 지관수행법 등이 있으며, 여러 수행법이 접목된 다양한 수행법들에는 일상근행(日常勤行)이 있다. 대부분의 수행은 출가자 중심이지만, 일상근행은 출가자와 일반신도들이 행하는 수행이다. 밀교의 수행에는 밀교의 전통수행인 사도가행(四度加行)과 신토의 자연숭배 사상이 결합된 카이호교[回峰行]가 있다. 이처럼 일본 천태종은 중국 천태종의 수행을 당시 유행했던 밀교와 결합하고, 나아가 다른 수행법들을 흡수하면서 수행법을 변화시켜왔다. 이러한 일본불교의 수행법은 다양한 불교의 가르침을 하나로 통합시켜보려는 사이초의 철학을 잘 계승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모든 수행법을 단순히 모아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비판적으로 볼 수도 있다. This article introduces Japanese Tendai practice. Japanese Tendai is also called Tamitsu because it combines esoteric Buddhist practice into its practice system. Saicho, the founder of Japanese Tendai argues that Esoteric Buddhist teaching and the teaching of lotus sutra are not so different and tried to synthesize other Buddhist teachings into the one vehicle philosophy. Therefore, he taught both Zhiyi’s philosophy and Vairocanābhisaṃbodhi Sūtra, an esoteric Buddhist scripture. Tamitsu’s practice consists of exoteric practice and esoteric practice. Exoteric practice is for ordinary people and contains Zhiyi’s four samadhi practices and daily practices called Gongyo. Esoteric practice is Shido-kegyō and kaihōgyō. Japanese Tendai practice has developed by combining various Buddhist school’s teachings, for example, using mantra and Amita buddha’s nembutsu. That shows those practices have succeeded well in Saicho’s idea of embracing all Buddhist teaching in one system. However, it can be criticized as an incomplete mixture.
방정란 ( Bang Jung-lan ) 한국밀교학회 2024 불교학밀교학연구 Vol.5 No.0
인도에서 금강승(Vajrayāna)이라는 후기밀교의 정체성이 확고하게 자리 잡은 이후, 밀교의 교리적 체계화가 정점에 이르는 10세기 전후로 많은 밀교사상가들은 인도불교 내의 여타 전통들과 비교해 만뜨라의 교리(Mantranaya, 진언이취)가 지니는 우월성을 주석이나 독립된 저작을 통해서 기술하고 있다. 본고는 인도는 물론 티베트에도 큰 영향을 미친 대성취자(mahāsiddha) 계보 중의 중요인물 중 한명인 아드바야바즈라(Advayavajra)가 전하는 밀교의 위상과 교의 해석을 그의 저작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의 후대 영향력을 증명하듯, 인도찬술문헌과 티베트역 혹은 티베트 사료에서 그는 마이뜨레야나타(Maitreyanātha), 마이뜨리빠(Maitrīpa), 마이뜨레야 굽따(Maitreyagupta), 아바두따(Avadhūta) 등의 수많은 이명으로 불린다. 그는 브라민 가문에서 태어나 정통 브라만교의 교리에 따라 교육을 받았고, 다양한 인도의 사상을 수학한다. 그러는 가운데 불교의 다양한 교리를 공부한 그는 불교 승려로서 출가하게 되고, 결국 밀교 전통 안에서 대성취자의 한 명으로서 수많은 저술을 남겼다. 이렇게 다양한 인도 종교의 교리를 두루 섭렵했던 그의 성장 배경은 저작 안에서도 그대로 드러나는데, 특히, 밀교의 교리를 설명할 때 불교뿐만이 아니라 힌두 전통의 다양한 경전과 논서들을 자유롭게 인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저작들은 그가 활동하던 시기의 사상가들이 바라본 불교와 비불교의 교의적 차별성에 대한 평가를 엿볼 수 있는 것은 물론, 그러한 평가를 바탕으로 밀교의 특별함을 어떻게 해설해 내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땃뜨바라뜨나발리(Tattvaratnāvalī)』라고 불리는 그의 저서를 통해 그가 어떤 방식으로 인도불교에 속한 제학파의 특징을 정리하고 그 속에서 진언이취 혹은 금강승이 지니는 위상을 천명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저작 속에서 인용되는 다양한 문헌적 전거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이는 우리에게 밀교 전통 내에서 특정한 해석 전통이 전승되어 오는 자취를 더듬어 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것이다. Once the later period of Tantric Buddhism solidified its identity as Vajrayāna in India, around the 10th century, when the systematization of esoteric doctrines reached its peak, many esoteric scholars described the superiority of the doctrine of mantras(Mantranaya) compared to other traditions within Indian Buddhism through commentaries or independent 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tranaya system, as presented by Advayavajra in his doxography, which aimed to highlight the unique and superior position of Mantranaya/Vajrayāna within the broader Buddhist landscape of his time. Since h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not only in India but also in Tibet, he is mentioned under numerous aliases in Indian hagiographical texts, Tibetan translations, and Tibetan historical records, such as Maitreyanatha, Maitrīpa, Maitreyagupta, and Avadhūta. Born into a Brahmin family, Advayavajra received education in orthodox Brahmanic doctrines but later converted to Buddhism and left behind numerous writings as an adept in the Tantric tradition. This diverse religious background is reflected in his works, as he freely cites various Hindu scriptures and treatises in addition to Buddhist texts when explaining esoteric doctrines. Therefore, his works offer insights into how Tantric commentators and thinkers evaluated the doctrinal differences between Buddhism and non-Buddhist traditions, and how they used those evaluations to explain the distinctiveness of Tantric Buddhism.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delves into Advayavajra´s seminal work, the Tattvaratnāvalī,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ilosophical schools he defines and organizes within Indian Buddhism. It specifically analyzes the doctrines of mantra(Mantranaya) within these schools. By meticulously examining the diverse textual references cited in this work, the paper unveils the trajectory of this interpretive tradition and its transmission across generations. This in-depth analysis sheds light on Advayavajra´s unique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Mantranaya and its significance within the broader Buddhist landscape.
정성준 ( Cheong Seong-joon ) 한국밀교학회 2024 불교학밀교학연구 Vol.5 No.0
본 논문에서 원정의 총지종 창종이 보이는 밀교사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원정은 총지종의 종명에 대해 조선초 총지종(摠持宗)과 독음을 같이 하여 한국밀교의 전승자로서 종단의 입지를 세웠다. 둘째, 원정은 소의경전으로서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大乘理趣六波羅蜜多經)』(이하 『이취육도경』)을 선정해 인도불교사에 보이듯 현교의 수학(修學) 후 밀교를 수행하는 인도불교 수행자체의 근간을 두어 인도 대승불교의 정통으로서 밀교의 시원을 분명히 했다. 셋째, 원정은 준제(准提)진언을 수용하여 『대승장엄보왕경(大乘莊嚴寶王經)』에서 나아간 전적과 사상, 수행체계를 고루 섭렵해 제시하였다. 불공삼장(不空三藏)의 『준제경(准提經)』과 도진의 『현밀원통성불심요집(顯密圓通成佛心要輯)』을 주요시하였다. 넷째, 원정의 준제진언수용과 참독은 총지종에 대해 한국불교 전승자로서 밀교종단의 입지를 세운 것을 평가할 수 있다. 원정의 법설 가운데 한국불교의 화엄, 천태, 정토, 선 등의 다양한 소재들을 엿볼 수 있으며, 특히 준제진언을 통해 조선시대 선사들이 참선과 준제진언을 함께 참알한 선밀쌍수(禪密雙修)의 가풍을 수용해 선과 밀교의 원융한 면모를 수용하였다. 다섯째, 원정은 불교에 대해 인물보다 불법이 지닌 보편진리를 우선시 했다. 그것은 석존의 입멸 후 인도교단이 교조주의나 율법주의, 성전주의를 벗어나 법(法)의 교단으로 나아가게 할 석존의 유시와도 일치하며, 법신비로자나여래가 보이는 보편원리의 정신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following summary is made regarding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Chongji Order in the history of Korean Esoteric Buddhism. Firstly, Wonjeong(苑淨) the founder of the Buddhist Chongji Order established the order´s position as a successor to Korean Esoteric Buddhism by combining the name of Chongji-jong (摠持宗). Secondly, Wonjeong designated the Daeseungichwiyukbaramildakyung(『大乘理趣六波羅蜜多經』) as a Prime Dependent Sutra of Buddhist Chongji Order which clearly demonstrated how Indic Mahayana Buddhism serves as a foundation for practicing Esoteric Buddhism after completing one´s academic studies in contemporary schools. Thirdly, Wonjeong incorporated teachings and practices from various sutras such as Daeseungjangeombowanggyung(『大乘莊嚴寶王經』) and important texts like Cundi Sutra(『准提經』) and Hyeonmilwontongsungbulsimyojip(『顯密圓通成佛心要輯』) so as to support his idea of adopting Cundi Mantra(准提眞言). Fourthly, Wonjeong established the position of Buddhist Chongji Order as a Korean Buddhism lineage holder through accepting the precepts and studying the true meaning regarding total practice both of Esoteric Buddhism and Exoteric Buddhism. Among Wonjeong´s teachings, it can be observed the various aspects of Korean Buddhism such as Hwaeom(華嚴), Cheontae(天台), Seon(禪,) and Pureland Buddhism(淨土) to integrate and succeed the traditions of Korean Buddhism. Also it is understood that Seon practitioners in the Joseon Dynasty embraced both meditation and precepts to support Parallel Practice of Seon and Exoteric Buddhism(禪密雙修), accommodating the integrated aspect of Seon and Esoteric Buddhism. Fifth, Wonjong prioritized universal truth held by Buddhist teachings over individuals. This aligns with Shakyamuni Buddha´s aspiration to overcome doctrinalism, legalism but support teaching-based principle and Dharma(法) which is evaluated to correspond with spirit of Vairocana Buddha that embodies universal principles.
고려시대 육자진언(六字眞言) 문물(文物)의 현황과 의의
엄기표 ( Eom Gi-pyo ) 한국밀교학회 2024 불교학밀교학연구 Vol.5 No.0
육자진언은 고대 인도에서 형성되었으며, 중앙아시아와 중국으로 전래하였다. 특히, 밀교가 발달한 티베트불교에서 체계적이고 중요한 신앙의 대상으로 발전하였다. 진언은 밀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육자진언은 가장 많이 신앙한 대표적인 진언이었다. 이러한 육자진언이 한반도에 전래한 시기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관련 기록 등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전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 고려시대 육자진언이 수록되거나 새겨진 문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고려시대 육자진언이 새겨진 문물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그러한 것을 통하여 육자진언의 전래 시기와 전개 과정, 육자진언 문물의 의의 등을 살펴보았다. 현재 고려시대 육자진언이 수록되거나 새겨진 문물은 종이로 된 다라니를 비롯하여 향완, 경갑, 금고, 상감청자, 묘지석, 동종, 기와 등 다양한 재질과 여러 유형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중에 편년이 확실한 문물로 보아 육자진언이 고려에 전래한 시기는 11세기경으로 추정되지만, 육자진언신앙이 보급된 것은 12세기 중엽부터로 보이며, 13세기대에 널리 확산하면서 본격적으로 신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육자진언 신앙은 고려 후기에 원나라 밀교의 영향을 받아 14세기대에 크게 성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당시 육자진언은 공양이나 공덕을 쌓기 위한 밀교의 중심적인 진언으로 인식되었으며,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된 통진언으로 인식되었다. 이처럼 육자진언이 수록되거나 새겨진 고려시대 문물은 고려시대 육자진언의 보급과 성행 등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The Sadākśari Mantra was formed in ancient India and passed down to Central Asia and China. In particular, Tibetan Buddhism, where esoteric Buddhism has developed, has developed into a systematic and important object of faith. The mantr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oteric Buddhism, and among them, the Sadākśari Mantra was the most religious. Although it is not clear when the Sadākśari Mantra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it is understood that it was introduc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based on related records.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texts that contain or engrave the Sadākśari Mantra of the Goryeo Dynasty. Accordingly, the text engraved with the Sadākśari Mantra of the Goryeo Dynasty was summarized in general, and through those, the tim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adākśari Mantra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adākśari Mantra were examined. Currently, the texts containing or inscribed with the Sadākśari Mantra of the Goryeo Dynasty are identified in various materials and types, including paper dharani, Hyangwan, Gyeonggap, Celadon, Cemetery stone, Bronze Bell and Tile. Among them, it is estimated that the Sadākśari Mantra was introduced to Goryeo around the 11th century, considering that the civilization of the Sadākśari Mantra was a definite period. It seems that the spread of the Sadākśari Mantra began in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and it seems that it was widely spread in the 13th century and was believed in earnest.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Sadākśari Mantra faith was greatly popular in the 14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of the Yuan Dynasty in the late Goryeo Dynasty. At that time, the Sadākśari Mantra was recognized as a central mantra of esoteric Buddhism to build offerings or meritorious deeds. It was recognized as a transcendent mantra used in various fields. As such, the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which contains or is inscribed with the Sadākśari Mantra, is a useful material for grasping the development of the Sadākśari Mantra in the Goryeo Dynasty, such as its spread and prevalence.
김치온 ( Kim Chi-on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본 논문은 지(jñāna)와 혜(prajñā)의 논의로부터 시작해서 일체지, 일체종지, 밀교의 일체지지의 성립과정과 그 내용들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prajñā, mati, dhi라고 하는 혜(慧)는 ‘알아가는’, ‘되어가는’ ‘간택하는’ 진행적 실천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jñāna(智)는 혜에 의해 알아내어야 할, 알아낸, 간택된, 성취된, 되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일체지에 있어서, 『밀린다왕문경』은 세존이 모든 것을 아는 지혜는 경주(傾注, āvajjana)에 의한 것이라고 하고 있으며, 유부는 일체를 일시에 아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응하여 무엇이든 의락(意樂)에 맡기어 아는 능력(ābhoga-mātreṇa; icchā-mātreṇa)이 일체지자의 지(智)의 내용으로 거론되고 있다. 반면에 대중부는 일찰나에 마음과 상응하는 반야에 의하여 일체법을 안다고 하여, prajñā를 초월적 지혜로서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대승의 반야교학에서는 prajñā의 진행적, 과정적, 실천적인 성격이 pāramitā와 결합하여 prajñāpāramitā가 되고, 다시 prajñāpāramitā는 일체지(sarvajñā)를 낳는다고 하고 있다. 또한 도혜, 도종혜, 일체지, 일체종지로 분류하기도 하고 일체지, 도종지, 일체종지로 분류하기도 한다. 대승경론에서도 일체지지라는 용어가 나오기는 하나, 일체지지를 일체지와 일체종지로 나누면서 일체지는 근본지로, 일체종지는 후득지로 하거나, 규기의 경우는 일체지를 무분별지, 일체지지를 후득지로 규정하고 있다. 중기밀교에서 일체지지는 ‘일체여래의 일체지지’라고 하여 비로자나여래의 본증인 자내증의 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일행은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 일체지지를 지 가운데 지라고 하여, 일체종지를 포함하는 일체종지를 넘어선 지로서 최상승의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보리심, 즉 백정신심(白淨信心)을 인으로 하여 대비심으로 만행을 원만히 하고 지극히 하여 이루어진 일체지지의 결과를 방편이라고 하였다. 담적은 『금강정경대교왕경사기』에서 일체지지는 법계체성지로서 총체적으로 오지를 갖추고 있으며 진여라고 규정한다. 결국 진행적, 과정적, 실천적인 성격을 지닌 prajñā가 pāramitā와 결합하여 prajñāpāramitā가 되고, 다시 prajñāpāramitā는 일체지(sarvajñā) 등 삼종지를 낳는 것으로 나아간다. 더 나아가 밀교의 일체지지는 지 가운데 지라고 하여 반야경 계통의 삼종지(三種智)는 물론 유식교학의 사종지(四種智)까지도 포섭하는 비로자나불의 법계체성지로 성립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contents of the Sarvajñajñāna for esoteric Buddhism. First of all, prajñā(慧) can be said to be a progressive practical thing that is ‘getting to know’, ‘becoming’, and ‘choosing’. It can be seen that jñāna(智) is something that should be found out, figured out, chosen, accomplished, and done by prajñā(慧). 『Milindawangyeong』 says that Buddha's wisdom in knowing everything is due to āvajjana(傾注). Sarvāstivāda(說一切有部) says that Buddha's wisdom in knowing everything is the ability to know anything according to his will in response to needs. On the other hand, the Mahāsāṃghika(大衆部) says that in a moment, it knows the all dharma by prajñā corresponding to the mind. In Mahāyāna's Prajñā studies, wisdom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wisdom or four types of wisdom. In Mahāyāna, sarvajña-jñāna is divided into sarvajñā and all kinds of jñāna. In addition, sarvajñā is the fundamental-jñāna, all kinds of jñāna is the posterior-jñāna, or in the case of K'uei-chi(窺基), sarvajñā is nirvikalpa-jñāna, and sarvajña-jñāna is the posterior-jñāna. In the medium-term esoteric Buddhism, sarvajña-jñāna was called the sarvajñajñāna of all Tathāgatas. It could be seen that it was the content that Vairocana Buddha himself had acquired. Yī-xíng(一行) interprets the sarvajña-jñāna as the jñāna among jñāna. It includes all kinds of jñāna and is beyond all kinds of jñāna. Tán-jì(曇寂) says that sarvajña-jñāna is the jñāna as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universe(法界體性智) and has five-jñānas overall. Eventually, prajñā, which has progressive, process,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combines with pāramitā to become prajñāpāramitā, and again, prajñāpāramitā leads to three kinds of jñāna, including sarvajña. Furthermore, it can be seen that the sarvajña-jñāna of esoteric Buddhism has been established as the jñāna as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universe(法界體性智) of Vairocana Buddha, which embraces not only the three kinds of jñāna of the Mahāyāna's Prajñā studies, but also the four kinds of jñāna of vijñ̃aptimātra-va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