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융합 기반 마이크로러닝 특성 만족도 연구

        한태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6

        This study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learning emerging by mobile learning and micro-contents in the e-learning fiel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application, to see if micro-learning could become a new learning type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learning were defined through preliminary literature analysis, the characteristic satisfaction was verified in the well-equipped micro-learning site, and any other technical functions were suggested through expert opinion gathering. It was suggested that the future technology of e-learning should be linked to technical functions such as learning analysi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micro-learning reflects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ll, it will become an effective learning type in the e-learning field and will greatly contribute to education, learning, and training for the new millennial. 본 연구는 최근 이러닝 분야에서 모바일 러닝과 마이크로콘텐츠에 의해 부상하고 있는 마이크로러닝의 특성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적용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마이크로러닝이 새로운 학습 형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전 문헌분석을 통해 마이크로러닝의 특성을 정의하고 잘 갖추어진 마이크로러닝 사이트에 대하여 특성 만족도를 실증 검증하고, 이 특성 이외에 어떤 다른 기술적 기능이 필요한가에 대하여도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러닝의 미래기술인 학습 분석이나 성과측정 등의 기술적 기능과 향후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마이크로러닝의 특성인 학습콘텐츠의 질적, 양적 수준, 학습콘텐츠에의 접근성, 모바일 기기 접근성, 동기부여 및 상호작용의 모든 면에서 특성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러닝은 그 기능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면 이러닝 분야에서 효과적인 학습 형태로 자리 잡을 것이며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교육과 학습 및 훈련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ggregated Ratio Imputation for e-Business Survey

        한태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2

        Business surveys typically collect responses on a large number of items for each unit sampled. However, a survey will rarely achieve a one hundred percent response rate on all the items. Some or all of the responses may be missing for a sample unit.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KEA) collect monthly survey data and they fail to get a response on the desired data items . One approach to dealing with this problem was touched in this study, so that the whole population is represented by just the respondents. As usual KEA survey data have a strong correlation among the monthly responses and hence we applied aggregated ratio imputation to this data set. Generally, an aggregate ratio impute is calculated by applying a ratio calculated from similarly behaved units to some existing data values for the unit requiring imputation. The most common example is to apply a growth factor to the value recorded by the unit on the variable of interest on the previous period, where the growth factor is estimated from the response of unit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pplying this approach for KEA data set we get a good performance and final results are shown in the conclusion part.

      • KCI등재
      • KCI등재

        저시력인의 장애유형별 스크린객체에 대한 웹접근성 선호 연구

        한태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6

        이러닝의 교육문화 환경개선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역할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에 우리나라는 장애인에 대한 정보접근에 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더욱이 저시력인을 포함한 시력장애인의 웹접근성과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부와 일반기업 등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시력장애인에 대한 상황을 면밀하게 살펴보려면 전맹인의 숫자보다 월등히 많은 저시력인에 대한 정보접근 실태와 특수성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저시력인을 중심으로 시력과 시야특성별로 스크린에 나타나는 웹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시력장애 웹접근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크린에 나타나는 웹콘텐츠의 사용편의성 및 접근성에 관하여 저시력인을 대상으로 인터뷰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사용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저시력인은 전맹인과 달리 스크린객체를 구별할 수 있는 지원도구를 사용하여 조금만 도움을 주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시력과 시야에 따른 스크린객체 선호도를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저시력인들의 웹접근성 제공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e-learning internationally. Korea is also making efforts to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aking laws about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Remedy of Right Act’ as well as establishing ‘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s 2.0’. There have also been many attempts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web contents for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such as providing assistive software and tools, by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low vision because the number of persons with low visio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blind persons. In this paper, we suggest ways of improving existing assistive software and tools for making persons with low vision more accessible to web contents, by analyzing preference about web contents on screen for persons with low vision, grouping by types of visual impairments: sight and vision.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n 50 persons with low vision about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web contents on screen, and analyzed results by types of use. We believe that our results will improve assistive software and tools further in access and use of web contents for persons with low vision.

      • KCI등재

        e-Learning QA 표준화 전략에 관한 연구

        한태인,김광명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3 No.2

        Many papers point out that the e-Lear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and the effect on other industries can be more powerful than any other business. Therefore, we think about social, cultural,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effect of the e-Learning in order to enlarge industry scale as well as educational performances. In many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various kinds of study have been performed for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because quality of the e-learning should operate on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and continuous market development of education industries.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has import function not only for learning contents reusability like a SCORM and metadata but also for learning system, solution and service operation, so activities for the quality assurance should consider of cultural and tactical approach when it is applied in the e-learning busines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ncept, domain and purpose of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Furthermore, this paper propose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in order to make the quality assurance standard model which is consist of 6 phase such as Environment Research, Needs Analysis, Framework, Metric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pre-studied worldwide quality control, management and assurance documents.

      • KCI등재
      • 아세안사이버대학교 공동활용 이러닝 교육과정 개발ㆍ운영 방안 연구

        한태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자료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한국과 아세안 국가 대학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일대일 오프라인 방식의 국제교류와 협력 방식을 넘어서서 이러닝을 활용한 대학 간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한국과 아세안 국가 대학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과 아세안 국가의 고등교육기관들이 인적 및 물적 자원 뿐 아니라 그동안 축적해 온 지적 자원들을 교환?활용함으로써 지식의 창조와 활용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교육 시장의 개방에 대비하여 한국을 비롯한 아세안 국가들의 고등교육의 질을 제고하고 국제협력을 통한 대학의 역량 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학 국제협력 네트워크로의 아세안사이버대학교의 시범운영- 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이에 대한 운영방안의 개발- 서로 다른 학사과정 운영 방법의 개발 주요 연구내용□ 학사운영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 이러닝 시스템 및 콘텐츠를 공동 활용하기 위해서 4개국에 대한 학사 및 학위, 과정운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과 및 과정의 운영 현황- 학점관리 및 학사관리 운영 현황- 현재 설치되어 있는 학과 및 과정 현황- 대학원 및 특별한 훈련과 현황- 학과별 학위 유형 및 주요 학과 과목□ 4개국의 CLMV 프로젝트에 관한 성향 조사 ˚ 4개국이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한 이러닝 시스템에 대한 그들의 경험이나 향후 운영과정, 방안 및 지원계획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러닝 경험 유무와 경험한 이러닝의 유형에 대한 조사- 콘텐츠 개발에 대한 교육부와 대학의 개발 의견- LMS의 사용 경험에 대한 조사- 콘텐츠 품질인증에 대한 의견- 상호 운영에 필요한 콘텐츠 개발언어나 서비스 계획- ACU에 바라는 사항 및 향후 지원 사항- 국가마다 가지고 있는 특별한 상황 등□ 대학용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조사˚ 이러닝센터의 시범 프로젝트 사이트를 풍성하고 다양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보유하고 있는 대학용으로 발굴이 가능한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KAIST의 정규과정, 단기과정, 컴퓨터 및 통신분야 및 한국어 관련- 사이버대학(SDU, 한양사이버, 경희사이버, 서울사이버)의 영어 교과과장- 문화체육관광부 영어 교과과정 콘텐츠- 국제사이버보건대학교 교과과정- 한국발명진흥회 파노라마, 익스피다잇 과정 및 WIPO 국제교육원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정책제언□ 우선 학사조정위원회(Steering Committee)의 설치 및 운영˚ 학사운영 시스템이 4개국 모두 다르고, 4개국 모두가 참여를 희망하며, 공동으로 과정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학사조정위원회는 꼭 필요하다. 또한 4개국 프로젝트는 향후 10개국의 아세안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한국, 일본, 중국의 대학과도 연계하기를 원하므로 학사조정위원회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LMS 및 콘텐츠 개발의 조건˚ 콘텐츠 및 LMS 개발 언어는 영어와 자국어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미 다른 선진국들과 개발해 본 경험이 많기 때문에 개발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더욱이 한국의 소프트웨어 개발능력 및 네트워크 활용 능력에 무게를 두고 있으므로 실수 없는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 예를 들면 Activity에 근거한 다양한 교수설계 기법의 도입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유형의 개발 콘텐츠 제작을 위해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많은 템플릿을 제공하여야 한다.□ 콘텐츠에 대한 품질인증 체제 구축˚ 모든 나라에서 개발된 콘텐츠는 아세안국가가 공동으로 활용해야 하므로 콘텐츠에 대한 품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공동으로 품질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 CLMV 이러닝 서비스의 다양화˚ CLMV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이번 파일럿 프로젝트는 내용이 풍부하고 다양해야 한다. 그러나 2012년까지는 4개국의 8개 과목을 비롯한 9개 과목을 계획 중이어서 공동 운영할 이러닝 사이트에 대한 풍부한 콘텐츠의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 및 학습 활동 다양화의 필요성을 위해 기존의 대학 이러닝 교과과정, KOCW 및 기타 교과과정의 발굴이 필요하다. □ 교육 및 기술전달 시스템의 구축˚ 또한 개발된 이러닝 시스템에 대한 안정적인 활용을 위해, 4개국의 개발자, 운용자, 관리자들에 대한 교육과 기술전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약 1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5 1. 연구의 배경 15 2. 연구의 필요성 17 제2절 연구 목적 18 제3절 연구 내용 20 제4절 연구방법 및 절차 21 제2장 CLMV 프로젝트 23 제1절 프로젝트의 개요 23 1. 내용 23 2. 목적 23 3. 대상 23 4. 기대효과 24 제2절 프로젝트 진행 상황 26 1. 수원국 분석 26 2. 타당성 분석 30 3. 계획 수립 32 제3장 교과과정 운영에 관한 사례조사 48 제1절 사이버대학의 교육과정 운영 사례 48 1. 전공 및 학과 개설 현황 48 2.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57 제2절 해외대학의 사이버교육 질 관리 사례 59 1. 해외대학의 사이버교육 질 관리 체제 59 2. 해외대학의 사이버교육 질 관리 현황 61 제3절 해외 사이버교육 질 관리 제도 분석 83 1. CHEA(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83 2. DETC(Distance Education Training Council) 85 제4장 4개국의 CLMV 프로젝트에 관한 성향 조사 89 제1절 캄보디아 89 1. 학과 및 과정의 운영 89 2. 학사관리 운영 90 3. 현재의 대학과 학과 90 4. 각 대학별 학위유형과 주요 과목 91 5. 이러닝에 관련된 경험과 계획 116 6. 콘텐츠 개발에 대한 의견 117 7. ACU에 바라거나 우리의 지원 사항 118 8. 특이 사항 119 제2절 라오스 119 1. 학과 및 과정의 운영 119 2. 학사관리 운영 120 3. 현재의 대학과 학과 121 4. 이러닝에 관련된 경험과 계획 121 5. 콘텐츠 개발에 대한 의견 124 6. ACU에 바라거나 우리의 지원 사항 124 7. 특이 사항 125 제3절 미얀마 126 1. 학과 및 과정의 운영 126 2. 학사관리 운영 126 3. 현재의 대학과 학과 127 4. 각 대학별 학위유형과 주요 과목 128 5. 이러닝에 관련된 경험과 계획 131 6. 콘텐츠 개발에 대한 의견 132 7. ACU에 바라거나 우리의 지원 사항 132 8. 특이 사항 133 제4절 베트남 134 1. 학과 및 과정의 운영 134 2. 학사관리 운영 134 3. 현재의 대학과 학과 135 4. 각 대학별 학위유형과 주요 과목 137 5. 이러닝에 관련된 경험과 계획 192 6. 콘텐츠 개발에 대한 의견 193 7. ACU에 바라거나 우리의 지원 사항 194 8. 특이 사항 195 제5장 한국의 대학 및 기관이 보유한 이러닝 콘텐츠 조사 196 제1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96 1. 경영학 관련 196 2. 컴퓨터 및 통신 분야 201 3. 한국어 관련 204 제2절 KAIST 205 1. 이러닝 콘텐츠의 유형 206 2. KAIST 이러닝 콘텐츠 목록 209 3. 카이스트 이러닝 콘텐츠의 사례 218 제3절 사이버대학 218 1. 이러닝 콘텐츠의 목록 218 제4절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포함) 238 제5절 국제사이버보건대학교 (ICUH, International Cyber Universtiu for Health) 239 1. 개요 239 2. 학기별 교육과정 240 3. APACPH(Asia-Pasipic Academic Consortium for Public Health) 242 제6절 한국발명진흥회 244 1. IP파노라마(PANORAMA) 244 2. ‘IP 익스피다잇’ 247 3. IP 익스피다잇 실전편 249 4. WIPO 국제교육원의 멀티미디어형 DL-101 250 제6장 결론 252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