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브리드 대학도서관 환경에서의 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한지연,문성빈,Han, Jiyeon,Moon, Sung-Bee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0 정보관리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와 학생 이용자가 전통적인 형태의 물리적 도서관과 온라인 정보이용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도서관 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 의도 즉, 도서관 이용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 그룹이 가지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서관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사회심리학에서 빈번히 활용되는 행동-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계획행동이론(TPB)과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한 통합모형을 제안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에 대한 인식과 이용의도를 물리적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으로 나누어 각각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의 미래 전략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도서관으로 하여금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하고 균형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지, 주목, 그리고 협력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점을 주지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al inten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at universities to use academic libraries in a hybrid library environment where a traditional physical library is combined with a digital library that is centered on online information us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also analyzed in this study by utilizing a combined behavioural model which was based on TPB and TAM. This study identified users' intention to use academic libr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use environment,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bring a valuable meaning to library administrators for setting up the strategic plan for the future of academic libr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cademic libraries should strategically setup an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ting plan based on awareness, attention and cooperation, in order to survive as well as to accomplish balanced growth i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 KCI등재

        走向“救國”之路 - 以胡適的學術敎育觀爲切入-

        한지연 ( Jiyeon Han ) 한국중국학회 2016 中國學報 Vol.76 No.-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discuss about the way of national salvation with Hu Shi``s Scholarly &Education Ideal, and take as the breakthrough point. Hu Shi is widely recognized today as a key contributor to Chinese liberalism and language reform in his advocacy for the use of written vernacular Chinese. Especially to deserve to be mentioned, he is based on the theory of pragmatism & liberalism, devoted all one``s life to researches in Chinese Humanities and Education, tried to save the nation. According to this premise, in the main text, tried to discuss that Hu Shi how to use the his education ideal and scholarly ideal for national salvation. He profoundly consciousness to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here he believed that education is not only to our country, but also for an important factor to achieved emocracy, insisted on supply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tried to promote the modern university education system transformation. Above this, Hu Shi is selected to academic as the main ways and means for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dvocated cultural consciousness and tried to save the nation. I think Hu Shi``s Scholarly & Education Ideal will provide new insight and method of Hu Shi research

      • KCI등재

        돌체앤가바나 콜렉션에 나타난 맥시멀리즘 디자인 연구

        한지연 ( Han Jiy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현대패션에서 맥시멀리즘은 미니멀리즘이 추구하는 단순함의 시각적 굶주림으로부터 더 많은 볼거리와 풍부한 감성적 요소로 개인의 특성을 드러내는 자기표현의 출구가 되었다. 최근 패션에서 성행하는 맥시멀리즘 디자인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 문화 이해를 돕고, 패션산업에서 창의적 디자인 개발과 미래 트랜드 연구 개발을 위한 전문가적 지향점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서적과, 문헌 자료를 통해 맥시멀리즘의 이론적 배경과 맥시멀리즘 패션 트랜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고, 맥시멀리즘 패션의 대표브랜드인 돌체앤가바나 콜렉션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최신 트랜드 분석을 위해, 맥시멀리즘 디자인이 크게 부각되어 나타난 2016-2018년도 사이 발표된 돌체앤가바나 RTW콜렉션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내용은 돌체앤가바나 패션에 나타난 맥시멀리즘 디자인의 특징적 요소와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맥시멀리즘 디자인 표현 요소 특징은 실루엣, 질감, 문양으로 분류되었다. 실루엣에서는 아워글래스 스타일, 질감에서는 부드러운 소재, 문양에서는 복합 문양의 형태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맥시멀리즘 디자인 유형의 특징은 확대성, 장식성, 퓨전성, 환상성으로 분류되었고, 극강의 화려함을 표현하는 장식성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확대성은 의복의 형태를 극대화하여 표현하였고, 장식성은 장식적인 오브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퓨전성은 두가지 이상의 표현 요소를 혼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상성은 이미지의 차용을 통한 초현실주의적이고 유희적인 표현 특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 트랜드 연구에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맥시멀리즘 디자인의 표현 범위를 확장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을 기대한다. Maximalism in contemporary fashion, which has more attractive visual and richer emotional elements, has become an outlet for the self-expression that shows personal characteristic from the visual hunger of simplicity pursued by minimalism. Maximalism is popular in recent fashion. So this study can help to understand the consumer culture of the digital era and present Professional points for creative design and future trend research in fashion industry. As a research method, related books and docum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notion, and socio cultural background of maximalism. Then the characteristics of Dolce&Gabbana design, which is a representative brand of maximalism fashion, were analyz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Dolce & Gabbana RTW collection, which was released during the 2016-2018 period, when maximalism design was highlighted for the latest fashion trend analysis. The maximalism design of Dolce&Gabbana fashion was expressed by characteristic elements and 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ximalism design elements are classified into silhouette, texture, and pattern. Hour glass style silhouette, soft material texture, compound patter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each element. Second, Maximilian design types are classified as expandability, decoration, fusion, and fantasy. Decoration type which expressed maximal splendid styles showed the highest release frequency. The expandability expressed the maximizing form of clothing and the decoration showed remarkable decorative objects. The fusion type combined things together and the fantasy type appeared as a surrealistic and amusing expression feature through the borrowing imag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modern fashion trend research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expression range in maximalism design.

      • KCI등재

        청소년수련관 평가활용의 원인조건에 관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

        한지연(Han Ji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수련관 평가활용의 원인조건을 알아보고, 이들의 조합구조를 파악해 보는 것이다. 연구수행을 위해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경험이 있는 서울 · 경기지역의 29개 청소년수련관 실무자들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IBM SPSS ver. 23을 활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은 fsQCA 3.0 Window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청소년수련관 평가활용의 원인조건을 알아본 결과, 평가수용도, 지표의 타당성, 평가주체와의 의사소통, 평가위원에 대한 인식, 보상수준, 그리고 업무의 자율성이 필요조건으로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평가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건의 조합은 세 가지의 조합구조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조합구조는 원인조건들 중 지표의 타당성 변인을 제외한 다른 조건들이 모두 긍정적인 경우 평가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결과이다. 두 번째는 조직 내의 분위기가 다소 경직되어 있고, 기관을 평가했던 평가위원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었지만 실무자의 평가수용도가 높고 업무의 자율성과 보상이 보장되며, 지표가 타당함과 동시에 평가주체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다면 평가활용이 일어난다는 조합구조를 나타냈다. 세 번째 조합은 조직의 보상수준이 합리적이지 않고, 분위기가 다소 경직된 경우라도 실무자의 평가수용도가 높고, 업무의 자율성이 보장되며, 평가체계(지표의 타당성, 평가위원에 대한 인식, 평가주체와의 의사소통)가 긍정적으로 작용이 된다면 평가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경로가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평가수용도, 평가지표, 평가위원, 평가자료 등의 측면에서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의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conditions of evaluation of a youth center and to better understand their combined structure. A questionnaire survey of 247 practitioners in 29 youth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ith experience of comprehensive evaluation of youth center more than once was conducte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3, and fsQCA 3.0 Windows softwar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auses of evaluation of the youth center, all variables except for the support and care of the organization were verified as the cause of the evaluation. Next, the combination of the caus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evaluation utilization resulted in three combination structur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posed an improvement plan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in terms of evaluation acceptance, evaluation index, evaluation committee, and the evaluation data itself.

      • KCI등재

        정상 여성 노인의 발화세기 조건 간 구어호흡과 생명호흡의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한지연(Jiyeon Ha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2

        Purpose: Older group showed different adjustments in that speech mechanism of younger group in order to keep subglottal air pressure which was related loudnes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erodynamic analysis comparison of speech breathing at two vocal loudnesses (comfortable and louder) and life breathing in normal elderly females. Methods: A total of 15 female subjects with an average age of 64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produced two loudness conditions while PAS was measured. Measures included those related to speech breathing including sound pressure level (SPL), inspiratory volume of utterance initiation (IV), expiratory volume of utterance (EV), and breath group duration time (BGD) at a comfortable and loud voice level. Vital capacity (VC), maximum phonation time (MPT), and mean flow rate (MFR) were measured for life breath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vocal loudness.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PL, IV, EV, and BG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between life breathing and speech breathing at a comfortable level.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vocal loudness effects were demonstrated in SPL, IV and EV. Second, MPT were significant related with BGD.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ed that normal elderly females tended to use increased inspiratory and expiratory volume for louder speech. The clinical utility of MPT for assessing speech breathing is suggested because of the relation between MPT and BGD.

      • 팜므 파탈 이미지 연구 - 패션을 중심으로 -

        한지연(Han JiYeon),이인희(Lee InHee) 한국뷰티산업학회 2008 뷰티산업연구 Vol.3 No.1

        The Femme Fatale that we can find from a diversity of culture creates the own image through the repeated imitation, application, or variation and so forth. When it comes to the way of an image creation, We can not help neglecting the expression of Femme Fatale in a film, fashion, make-up and hair-style. In fact, Femme Fatale plays a pivotal role in the fields mentioned above. Therefore, in this treatise, I would like to study the images of Femme Fatale -that appeared in 19th paintings and reappear in the 20th century- from a point of aesthetic view Femme Fatale and social, cultural background of the one, and the consideration of Femme Fatale in fashion and hair-style. I analyzed the reappeared image of Femme Fatal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from theoretical background. The method of study : I studied this from the documents such as cultural history of beauty, art history, pictures and photographs related with beauty. I attached these visual materials for your easy understanding. Both exaggerated and natural hair styles exist in fashion, for example punk style, blade, voluminous hair styles using backcomb, straight and curly hair. I have analyzed the area in which the image of Femme Fatale reappears. But, I had a difficulty of finding not only the pictures of Femme Fatale in 19th century but alsoprecedent treatises dealing with hair-style related with the images. In addition, I admit that there is some deficiency in my study arising from a wide scope of the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we need to study more and continuously about other field such as fashion, make- up and so forth, In my opinion, if we study Femme Fatale in 21th century, We will have to focus on the more complicated trends. 현재 다양한 문화에 나타나고 있는 팜므 파탈은 반복적인 모방과 응용 및 변화를 통해 그 이미지를 생산해 내고 있는데 이러한 이미지 표현에 있어 영화, 패션, 메이크업, 헤어 스타일 등에서의 표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밖에 없다. 19세기 회화에 표현된 팜므 파탈이 20세기 재현되고 있는 이미지를 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팜므 파탈의 개념과 사회.문화적 배경, 19세기 패션에서 표현된 팜므 파탈을 고찰하였고,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팜므 파탈 이미지가 재현된 헤어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문헌 자료인 미용문화사 및 관련서적, 미술사 관련서적, 뷰티 관련 사진 자료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패션에서 표현된 헤어스타일은 과장된 스타일과 내추럴한 스타일이 공존하여 나타나고 있는데, 펑크스타일, 블레이드, 백콤으로 양감을 준 헤어스타일과 스트레이트와 컬러 헤어 등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을 연구하면서 팜므 파탈의 이미지가 재현되고 있는 부분을 연구 범위로 분석하 였으나, 분석 대상 시기의 사진 자료 및 이러한 이미지가 헤어스타일에 구체적으로 접목 시킨 선행 논문이 없는 관계로 연구가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으며, 분석 대상이 다소 광범위하게 설정됨으로서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팜 므 파탈의 이미지를 헤어스타일에 국한하여 표현하였으나, 헤어스타일 위주가 아닌 패션, 메이크업을 다룬 분야가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21세기에 관한 연 구는 보다 더 복합된 트렌드에 맞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부채비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지연(Jiyeon Han),하석태(Seoktae Ha),조성표(Seongpyo Cho) 한국국제회계학회 2020 국제회계연구 Vol.0 No.9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부채비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의 부채비율을 평가할 때 기업수명주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수명주기와 부채비율의 상호작용항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업수명주기는 Dickinson(2011)의 현금흐름패턴을 이용하여 기업의 수명주기를 구분하였고 기업가치는 기업의 주식수익률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에 따라 성숙기에 있는 기업의 부채비율은 다른 기업수명주기에 있는 기업의 부채비율보다 기업가치에 더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결과, 성숙기의 부채비율은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부채비율보다 기업가치에 더 긍정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기를 제외한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더미변수의 상호작용항으로 각각 포함한 분석에서는 도입기와 성장기의 부채비율이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부채비율보다 기업가치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기 기업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도입기와 성장기, 그리고 쇠퇴기의 부채비율이 성숙기의 부채비율보다 기업가치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성숙기의 부채비율이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부채비율보다 기업가치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기의 부채비율이 다른 기업수명주기의 부채비율보다 기업가치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채비율을 영업부채와 금융부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도입기의 영업부채와 금융부채는 다른 기업수명주기에 있는 기업보다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기는 금융부채에서만 다른 기업수명주기에 있는 기업보다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기는 영업부채와 금융부채가 다른 기업수명주기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쇠퇴기는 영업부채가 다른 수명주기에 비해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가치관련성이 부채비율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이상의 결과는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부채비율의 가치관련성이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부채비율의 가치관련성이 기업수명주기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이는 자본시장에서 부채비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기업수명주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debt ratio on firm value according to the corporate life cycle. Through this, we examine wheth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rporate life cycle when evaluating a company"s debt ratio. [Methodology]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between 2003 and 2017.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corporate life cycle and the debt ratio. The corporate life cycle was measured using Dickinson(2011)"s cash flow patterns, and the stock return measures the firm value. [Findings] The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other corporate life cycle, the debt ratio in the mature stage positively affects firm value, and compared to the other corporate life cycle, the debt ratio in the introduction and growth stages negatively affect firm value. These results also showed that compared to the mature, the debt ratio in the introduction stage, growth stage, and decline stage negatively affect firm value,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the debt ratio in the introduction stage on firm value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the debt ratio in the mature stage is clearer analyzed at market classification. An analysis of the debt ratio divided by operating and financial debt ratio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other corporate life cycle, the operating liabilities and financial debt ratios in the introduction stage negatively affect firm value, while the financial debt ratio in the growth stage negatively affects firm value. The mature stage showed that compared to the other corporate lift cycle, operating and financial debt ratios positively affect firm value, and the operating debt ratio in the decline stage negatively affect firm value compared to other life cycles. These analyses suggest that the value relevance of the corporate life cycle var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debt ratio. [Implications] This study means that because the value relevance of the debt ratio varies depending on the corporate life cycl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debt ratio"s information effects can work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rporate life cycle, which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rporate life cycle when using information about the debt ratio in the capital market.

      • KCI등재

        델포조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건축적 조형 특성 연구

        한지연 ( Han Jiye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패션과 건축은 오랜 기간 철학, 예술, 미학적 관점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심미적 구조와 공간을 만든다는 것은 두 분야가 공유하는 가장 가시적이고 논리적인 관계이다. 패션과 건축을 연결하는 많은 기법, 개념, 담론 중 패션 브랜드 디자인 분석을 통한 공통적 디자인 조형성 연구는 건축과 패션의 교착관계 연구 뿐 아니라 건축적 패션 조형의 창의적 비전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패션과 건축의 상관관계를 조명하고, 건축적 패션의 특징을 나타내는 대표적 브랜드인 델포조 컬렉션 디자인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조셉 폰트가 델포조를 이끈 2013~2018년도 사이 출시된 시즌 컬렉션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내용은 델포조 컬렉션에 나타난 건축적 조형 특성을 인체와의 공간성으로 보고, 이를 조형 요소와 조형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델포조 컬렉션의 건축적 조형 요소는 유기적인 곡선으로 스웰, 커브, 아크, 저트의 4가지 유형으로 드러났다. 델포조 디자인에서 유기적인 곡선은 입체적 구조를 나타내고 인체와의 공간성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으로 델포조 컬렉션의 건축적 조형 기법은 접기, 중첩, 주름, 오려내기의 기법으로 나타났다. 델포조 디자인은 접기 구조에 의한 조형성이 가장 큰 특징으로 드러났고, 입체 패턴을 통해 의복의 구조적 공간성을 구축하는 것이 표현 특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과 건축의 조형 공통성은 인체와의 공간 맥락화에 있음을 밝혔다. 연구의 자료는 현대 패션의 디자인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패션과 건축의 디자인 연계 가능성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Fashion and architecture have long exchanged impacts in terms of philosophy, art, and aesthetics. Making aesthetic structure and space to protect the human body is the most visible and logical relationship shared by the two fields. Of the many techniques, concepts, and discourses that connect fashion and architecture, studies of common design formativeness through the analysis of fashion brand designs can investigate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fashion and also present a creative vision of architectural fashion. As for research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fashion and architecture, focusing on literature reviews and analyzed the formativeness of the designs in Delpozo Collec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rand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fashion.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e seasonal collections released between 2013 and 2018, when Creative Director Josep Font led Delpozo. As for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he architectural formative characteristic in the Delpozo Collection was considered the spatiality with the human body, which was analyzed by formative elements and formative techniqu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chitectural formative element of the Delpozo Collection was an organic curve, which appeared in four types, including swell, curve, arc, and jut. In the Delpozo design, the organic curve represent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nd has a characteristic of forming spatiality with the human body. Next, architectural formative techniques for the Delpozo Collection included folding, layering, pleating and cut-out techniques. The formativeness by the folding structure wa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Delpozo design, and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space of clothes through three-dimensional patterns wer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e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ormative commonality of modern fashion and architecture is in spatial contextualization with the human body. The data in this study will be expected as a material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design mechanism of modern fashion and promoting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fashion design and architecture design.

      • KCI등재

        적자회피 기업에서 감사노력과 회계투명성의 관련성

        한지연(Jiyeon Han),정경철(Kyoung Chol Jung)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적자회피 기업에서 감사인의 노력이 높을 때 회계투명성이 낮아지는 효과를 완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적자회피 구간에 있는 기업은 회계투명성이 낮아질 수 있지만, 감사인의 특성(감사시간, 감사보수 등)에 대한 조절효과로 인해 회계투명성이 낮아지는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적자회피 구간에 있는 기업에서의 감사인의 노력(감사보수, 감사시간)이 증가할수록 회계투명성이 낮아지는 현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자회피 구간에 있는 기업에서의 감사인의 노력이 증가하는 경우, 적자회피 기업에 대한 감시 및 감독기능이 충분히 발휘됨으로써 회계기준 및 감사기준을 잘 준수하게 되어 회계투명성이 낮아지는 현상을 완화시켰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강건성의 일환으로 적자회피 구간을 좁은 구간부터 넓은 구간까지의 기업으로 분석한 경우에도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적자회피 기업에서 감사인의 노력에 따라 회계투명성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적자회피 구간에 있는 기업의 회계투명성 정도가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적자 위기에 처해있는 기업의 회계투명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감사인의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firms whether the effect of lowering accounting transparency was mitigated when the audit effort of the avoid losses firms was high. Firms in the avoid losses section may have lower accounting transparency, but the purpose is to confirm that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auditor's characteristics(audit time, audit fee) can alleviate the effect of lowering accounting transpar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onfirm that accounting transparency was alleviated as the audit effort (audit fee, audit time) of the avoid losses firms increas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audit efforts of the avoid losses firms alleviated the decrease in accounting transparency by complying with accounting and audit standards by fully exercising their monitoring and supervisory function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result was found when the deficit avoidance section was analyzed as a company from a narrow section to a wide section as part of robustness. This results imply that accounting transparency varies depending on the audit efforts of the avoid losses firms. Through this, it is contributing to the verification that the impact of the avoid losses firms on accounting transparency acts differently depending on audit time and audit fees. These results suggest changes in the audit environment in Korea to improve the accounting transparency of firms in the crisis of defic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