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력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현 주소와 시사점

        한재범 ( Jaebum Han ),김효정 ( Hyoje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초등학교 경력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두 곳에서 경력교사 네 명과 교감 두 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이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그 경험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현상학적인 방법을 통해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경력교사들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경험의 본질은 1) 심리적 안정감, 2) 반복되는 일상, 3) 부담감의 증가, 4) 울타리를 넘어 서로 구조화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전문적학습공동체 목적에 대한 교사들 간의 이해를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적학습공동체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행정적인 업무의 부담이 줄어야 한다. 셋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넘어서 학교 밖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ved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LC).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how experienced teachers experience their PLC,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e researchers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of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wo vice principals. The result showed the meanings of shared teacher experiences and their structures: 1) feeling psychological comfort; 2) undertaking everyday routines; 3) elevating pressure; 4) broadening boundaries toward between schools. There ar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LC. First, teachers should have the shared understanding about the purpose of PLC. Second,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PLC experiences, reducing administrative tasks are required. Finally, there is a need for PLC between schools to promote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대한 근로자 인식 연구: 산림산업을 중심으로

        한재범 ( Jaebum Han ),오춘식 ( Chunshik Oh ),신윤호 ( Yunho Shin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급격한 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산림일자리의 변화 및 미래 수요를 분석하고 미래 산림분야 일자리 정책 개발을 위한 실천전략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산림청 산하 교육기관에서 교육훈련에 참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환경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이 산림일자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산림분야 직업 혹은 일자리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인구감소 및 기술의 변화를 꼽고 있으며, 특히 기술적 발전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준비는 거의 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 및 사회환경 변화로 인해 산림 일자리의 변화양상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교육지원체계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산업 근로자들의 인식 수준에 대한 기술적 분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근로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변화 요인들 간 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여 보다 면밀하게 일자리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nges in forest jobs and future demands and to propose action strategies for developing future job policies in the forest sect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rest workers’ perception of uncertainty caused by environmental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analysis, forest workers perceived that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changing jobs in the forest sector.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forest jobs were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but there was little preparation for i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al system necessary for forest worker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relying on a descriptive analysis of forest workers’ perception,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nges in forest jobs by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workers’ percep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s.

      • KCI등재

        다문화교육정책 실행의 일관성 분석: 다문화이해교육을 중심으로

        한재범 ( Jaebum Han ),김효정 ( Hyojeo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정책 실행의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문화이해교육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최근 3년간 정부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문서를 분석하고 그 중에서 다문화 이해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한 단위학교에서의 다문화이해교육 실행 내용 분석을 위해 초등학교 세 곳에서 총 여섯 명의 교사들과 면담을 통해 그들의 다문화이해교육과 관련된 경험을 파악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들은 Fullan 과 Quinn(2016)의 정책 일관성을 위한 필요요소를 활용하여, 정책방향성 확립, 협력문화 조성, 책무성 보장, 심화학습의 네 가지의 요소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1) 정책 방향의 제한적인 전달, (2) 다문화이해교육을 위한 협력, (3) 완성하기 힘든 퍼즐, (4) 모든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하여 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교육정책에 대해 능동적인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각자의 의미부여(sense-making)과정을 통해 다문화이해교육을 실행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지금까지 느슨한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조직에서 살펴보기 힘들었던 정책의 일관성을 위한 조직의 재결합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이해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정책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정확한 이해와 다문화교사효능감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herence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policie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meet the aim of this study, we reviewed three years of recent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lso, we interviewed six teacher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to understand their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e used the coherence framework by Fullan and Quinn (2016): focusing direction, cultivating collaborative cultures, securing accountability, and deepening learning. As a result, we constructed the implemen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into four categories: (1)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e policies, (2)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3) the hard puzzle, (4) efforts to promote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tudents. In conclusion, teachers showed their own understandings and collaboration towards educational policies and implemente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their own sense-making processes, which led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loosely-coupled organization which was not easy to be observed in school organization.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eacher common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 teacher efficac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 KCI우수등재

        다전공 선택 요인 및 다전공자 대학생활 실태 분석

        이희숙(Lee, Heesook),한재범(Han, Jaebu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이 연구는 다전공 선택 요인 및 다전공자의 대학생활 실태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중 가장 최근 자료인 2019년 자료를 분석에 주로 활용하고 지난 10년간의 GOMS 자료를 활용하여 다전공 추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간 4년제 대학생의 20%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부침 없이 다전공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전공을 선택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전공은 인문, 사회, 자연계열 순이고 다전공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전공은 경상, 인문, 사회, 공학계열 순이었다. 동일계열 내 다전공 비율은 34.3%였고 다전공의 선택에 있어서 소위 문, 이과를 넘나드는 선택을 가장 많이 한 경우는 자연계열이 주전공인 경우였다. 10년 전에 비해 공학계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고 경상계열에 대한 선호도는 지속적으로 가장 높았다. 다전공 선택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일수록, 서울소재 대학에 재학 중일수록 다전공 선택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문계열 학생들이 타 전공계열 보다 다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고 본인의 주전공을 다시 선택하지 않겠다고 응답할 경우 다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다전공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음으로 다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를 분석한 결과, 다전공을 이수한 학생들은 단일전공 학생들에 비해 초과학기 선택의 비율이 높았고 졸업평점이 높았으며 대학에 대한 만족도와 대학프로그램 참여도도 높았다. 학비 마련을 장학금으로 충당하는 비율이 높았고 학자금 대출액은 낮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근 들어 대학혁신의 일환으로 대학에서 더욱 강조되고 있는 다전공 제도를 이수하는 학생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이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selection of multiple majors and their college life experience. For this study,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9 data were the main source of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Over the past decade, it was found that 20%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had chosen multiple majors. The ratios of students with multiple majors were the highest in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 that order, while the most popular fields for multiple majors were business,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engineering in that order. The preference for majoring in engineering has increased compared to 10 years ago, while the preference for business majors has consistently been the highest. The rate of selection of multiple major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Humanities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choose multiple majors than those in other colleges. Students who responded that, if they had to do it over again, they would not have chosen their major were more likely to prefer multiple majors. Also, the higher thei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choose multiple majors. In terms of the university life of students with multiple majors, they had a higher rate of enrollment for extra semesters, a higher grade point average (GPA),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universities, and greater participation in university programs. Students with multiple majors had a high rate of covering tuition with scholarships and a low amount of student loa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understand students completing multiple majors, a phenomenon that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universities as part of university innovation in recent years.

      • KCI등재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교사리더십 관계에 대한 탐색적 사례 연구

        김효정(Hyojeong Kim),한재범(Jaebum H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본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사리더십 대해 살펴보고,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교사리더십의 관계에 대해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로는 교사들은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는지, 교사리더십을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활발한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과 교사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제도적 환경은 어떠해야 하는가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내 두 곳의 초등학교 교사들 9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하여 리더십을개발함과 동시에 리더십을 발휘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발하게 운영하는 사례를 보여주었다. 또한, 교사들이 전문성을 향상하고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정책적인 환경의 중요성도 살펴볼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eacher leadership experience throughou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CL)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LC and teacher leadership. In order to meet the aim of this paper, the researchers set the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teacher experiences in their PLC? Are teachers experience teacher leadership in their communities? And what are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teachers to experience positive PLC and teacher leadership?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ers interviewed 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 participants promote teacher leadership in thei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well as manage their communities by their leadership. Also, teacher interviews indicated limited political circumstances to promote teacher leadership. Finally, required institutional support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leadership were discussed.

      • KCI등재

        산림산업 및 미래 산림 일자리 수요분석

        오춘식 ( Chun-shik Oh ),신윤호 ( Yunho Shinn ),한재범 ( Jaebum Han ),이건남 ( Gunnam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산림분야의 산업 및 미래 유망 일자리별 미래 수요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산림산업 특수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산림분야 일자리 현황 및 미래 유망 일자리를 분석하였고, 산림분야 산업 및 일자리별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수요를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투입재 산업 및 원물생산업은 노동시장 및 기술수요, 사회적 관심과 지위, 정부 및 민간 투자규모, 인력양성지원 시스템 네 영역 모두 인력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가공업, 유통업, 소비관련산업, 지원서비스업은 네 영역 모두 대체로 인력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림 분야 미래 유망 일자리는 노동시장 및 기술수요, 사회적 관심과 지위, 정부 및 민간 투자규모, 인력양성지원 시스템 네 영역 모두 인력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산림분야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uture demand for each forest sector industry and promising future jobs in the forest sector. To this end, based on the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forest industry, the current forestry jobs and promising jobs were analyzed, and the scenario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dict future demands. First, labor demands in inputs and raw materials industries may be negatively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 labor market and technology demand, social interest and status, government and private investment scale,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pport system. On the other hands, labor demands in the processing, distribution, consumer-related industries and support services industries may be positively affected by all four factors. Second, promising jobs in the forest sector were expected to be affected by all four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a policy was proposed to expand jobs in the forest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