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errite/varistor의 동시소성 거동에 대한 분체특성의 영향

        한익현,이용현,명성재,전명표,조정호,김병익,최덕균,Han, Ik-Hyun,Lee, Yong-Hyun,Myoung, Seong-Jae,Chun, Myoung-Pyo,Cho, Jeong-Ho,Kim, Byung-Ik,Choi, Duck-Kyun 한국결정성장학회 2007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17 No.2

        EMI filter와 같은 적층형 세라믹 제조 시 공정 상 많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특히 표면과 계면에서의 crack, camber, delamination 같은 결함이 없는 적층체를 얻기 위해 서로 다른 두 재료의 동시 소성에 의한 수축율 조절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ferrite의 분체 특성을 통해 varistor/ferrite의 동시소성 거동을 연구하였다. ferrite 분말을 각각 24시간, 48시간, 72시간 분쇄하여 varistor와 ferrite 각각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doctor blade법으로 green sheet를 제조하였다. 슬러리는 분말 55wt(%)에 binder solution 45wt(%)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Varistor와 ferrite green sheet는 $80 kg/cm^2$로 적층하여 $900^{\circ}C$, $1000^{\circ}C$에서 3시간 소결 하였다. 그 결과 분쇄시간과 소결온도 조절로 결함이 없는 동시 소성된 ferrite/varistor 적층체를 제조 할 수 있었다. A number of process problems should be solved in the multi-layered ceramic devices such as EMI filter.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control the sintering shrinkage in co-firing of different materials for obtaining defect-free samples such as crack, camber, and delamination which usually occur near the surface and interface.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powder properties of ferrite on the co-firing behavior of green ceramic layers composed of ferrite and varistor. Three kind of ferrite powder samples as a function of milling time (24, 48, and 72 hr) were prepared. Varistor and ferrite ceramic green sheet were made by means of doctor blade process using slurry (ceramic powder and binder solution). Here, slurry was prepared by mixing 55 wt% powder with 45wt% binder solution. Varistor and ferrite green sheets were laminated at $80 kg/cm^2$, and co-fired at $900^{\circ}C$ and $1000^{\circ}C$ for 3 hr. We obtained the camber-free and co-fired ferrite/varistor layer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milling time and sintering temperature.

      • KCI등재

        기초지방정부의 시민감사관 제도 도입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지방정부 정당구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익현(Han, IkHyu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시민감사관 제도의 도입에 관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주민참여제도에 관한 실증연구들과의 차별성을 위해, 지방정부 정당구도에 초점을 맞춘 정책확산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경쟁위험모형(competing risks models)을 구성하여 두 유형의 제도 도입 과정의 영향요인들을 구분하였다. 시민감사관 제도의 도입에 관한 통합콕스모형(pooled Cox model) 추정결과, 경쟁적인 정당구도는 제도의 도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쟁위험모형에 의한 추가분석 결과는 이 영향이 지방의회의 관여를 매개로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른 한편, 선행연구에서 부각된 수직적・수평적 확산 메커니즘은 시민감사관제의 도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규칙 제정에 의한 도입의 경우에는 정(+) 적인 지역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쟁위험모형에 의한 추가분석 결과는 도입과정에서 주도적인행위자의 차이에 따라 정책도입에 대한 영향요인이 달라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a civil audit system. The policy diffusion model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tical party effect, which is the main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doption of the civil-participatory institution. Competing-risks models are established to distinguish two different policy adoption processes: the enactment of local law and administrative rules. The pooled Cox model results indicate that a civil audit system is more likely to be introduced when political parties competing level is high. Also, the political party effect on policy adaptation is possibly mediated by the local council s involvement. On the other hand, vertical and horizontal diffusion mechanisms were not significantly effective. However, a positive regional effect reveals in the case of the adoption by administrative rules. Lastly, the results of additional analysis by the competing-risk model indicate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policy adoption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who is the leading actor in the policy process.

      • KCI우수등재

        코로나 19로 인한 보편적 재난지원금 지급정책의 확산 요인 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익현 ( Han Ikhyun ),김필 ( Kim Phil )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4

        본 연구는 코로나 19에 대응하여 기초자치단체들이 도입한 보편적 재난지원금 정책의 확산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기존 정책 확산 연구는 수십년에 걸친 장기간의 분석 시간을 가지는 반면, 코로나 19로 인한 심각한 경기침체와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약 4개월에 걸친 기초자치단체들의 재난지원금 도입은 확산 메커니즘을 시험해 볼 좋은 기회이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 8일부터 7월 15일까지 보편적 재난지원금 정책발표를 한 85개의 기초자치단체와 실제로 도입한 86개의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다. 정책확산모형을 사건사분석방법으로 추정하고, 정책발표와 조례제정 시점을 단계적으로 나누어 Heckman 표본선택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방압력에 기초한 지역적 효과는 초기에 보편적 재난지원금 지급정책의 도입가능성을 크게 높이지만 이후에는 효과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비선형성을 보였다. 둘째, 광범위한 대안의 탐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과거 유사정책도입 경험이 보편적 재난지원금 지급정책의 채택 확률을 높였다. 이는 내부 정책 학습이 경로의존적으로 작용하여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기초수준 지방자치단체의 단체장이나 지방의회가 직면한 경쟁 유인은 보편적 재난지원금 지급정책의 채택가능성을 높이거나 도입시점을 앞당기는 데 기여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policy diffusion of emergency relief funds introduced by South Korean local governments in response to COVID-19. In the face of a severe recession, the local governments’ adoption of emergency relief funds only took about four months, which provides an exceptional opportunity to test the diffusion mechanism. This study covers March 8 to July 15, 2020, using data collected from 85 local governments that announced policies for universal emergency relief funds (announcement) and 86 local governments that actually put them into practice (enactment). Using the event analysis method and the Heckman sample selection model, we uncovered robust patterns of emergency relief funds diffusion, yielding three key findings. First, we found that regional effects based on the emulation mechanism showed a nonlinearity that great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adopting the policy in the early stage, but gradually decreased the size of effect afterward. Second, the impetus for policy innovation can come from internal learning, while contributing components of previous policies can vary. In a situation where it is impossible to explore a wide range of alternatives, path-dependency can facilitate innovation. Third, the politically competitive environment surrounding elected public officials can contribute to the adoption of emergency relief funds diffusion or shorten the period of the adoption of emergency relief funds.

      • KCI등재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한익현(Ik-Hyun Han),은종환(Jonghwan Eun),이재완(Jae-Wa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소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동으로 조사한 ‘불량식품 근절 추진 공감도 여론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열로짓분석을 하였다. 그 분석 결과, 정책인지도는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양(+)의 효과를 나타내어, 정부가 추진하는 불량식품 근절정책을 잘 알고 있을수록 그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신뢰도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양(+)의 효과를 나타냈는데, 정부기관이 제공하는 정보를 더 신뢰할수록 그 정책의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민감성은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에 음(-)의 효과를 나타내어 불량식품의 범위를 넓게 정의할수록 그 정책의 효과성을 낮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불량식품 근절정책의 효과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정부신뢰 향상, 불량식품의 정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ness in food safety policy,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For this, we apply ordered logit analysis using 「The Survey on the Attitudes towards Food Safety Policy」data investiga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olicy literacy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sensitiv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perceived by consumers. This study imply that the government should give more information about policies and make an effort to gain trust on food safety policy.

      • KCI등재

        세라믹 패키지를 이용한 표면실장형 다이오드의 제작과 특성평가

        전명표,조상혁,한익현,조정호,김병익,유인기,Chun, Myoung-Pyo,Cho, Sang-Hyeok,Han, Ik-Hyun,Cho, Jeong-Ho,Kim, Byung-Ik,Yu, In-Ki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0 No.5

        Generally, a diode package consists of the synthetic resin that has good durability but low thermal conductivity. The surface mounted type fast recovery diode was fabricated by using ceramic package. Its main manufacture processes are composed of soldering, sillicon coating and side termination. And it has various advantages that diode is small, easy manufacture and fast cooling. The 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diode such as reverse recovery time, breakdown voltage, forward voltage, and leakage current were 5.28 ns, 1322 V, 1.08 V, $0.45\;{\mu}A$, respectively.

      • KCI우수등재

        정부신뢰와 참여: 제도적 혁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김필 ( Kim Phil ),한익현 ( Han Ikhyun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1

        지방정부는 참여제도 혁신을 통해 시민의 건설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모형(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적용하여 광역자치단체 수준에 서 측정된 반응적·교호적·통제적 참여제도의 혁신수준이 개인수준에서 정부신뢰와 참여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정부신뢰가 높은 집단이 참여에 적극적이었으며, 참여제도 혁신 자체는 참여와 유의한 관계를 갖지 않았다. 다만, 참여제도 혁신은 해당 제도에서 정부와 시민의 주도권에 따라 서로 다른 조절 효과를 보였다. 정부가 비교적 많은 주도권을 갖는 반응적·교호적 참여제도의 혁신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정부신뢰집단의 참여가, 주민이 상당한 주도권을 갖는 통제적 참여제도 혁신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정부비신뢰집단의 참여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지방정부가 어떤 참여제도 혁신을 유도하는가에 따라 정부신뢰와 참여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Declining trust in representative institutions calls for democratic innovations―mechanisms that can increase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different types of democratic innovation, this study applied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government and citizen participation. Citizens with trust in the government actively participated, while the innovation itself had no significant impact. Citizens who trust the government participated more when local governments achieved above-average innovations in a reactive/interactive participatory system.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reversed for local governments with above-average innovations in a controlling participatory system. In sum,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government and citizen particip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emocratic innovation the local government induces.

      • KCI등재

        항공승무원의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혜주 ( Hye-ju Park ),한익현 ( Ik Hyun Han ),이동명 ( Dong-myo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항공승무원을 대상으로 사회 및 정서지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 이러한 관계를 증권사 영업직 구성원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항공승무원 274부, 증권사 영업직 구성원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중 회귀분석방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승무원의 사회지능이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한 가설1은 증명되지 못했다. 둘째, 항공승무원의 정서지능의 성과에 대한 영향을 가정한 가설2는 증명되었다. 셋째, 항공승무원은 증권사 영업직 구성원과 비교하여, 사회지능보다는 정서지능이 성과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증명되었다. 넷째, 이상 연구결과에 따라 항공승무원 선발 및 교육에서 정서지능을 중요하게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soci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flight attendant`s performance, compared with retail sales employee in security company. For this, survey data has been gathered by 274 flight attendants and 233 retail sales employees in security company, and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1 that social intelligence would influence flight attendant`s performance was not supported, controlling expertis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 hypothesis2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effect on flight attendant`s performance was supported, controlling expertise and social intelligence. Third, the hypothesis3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more effect on flight attendant`s performance than social intelligence, compared with retail sales employees in security company. Fourth, the study suggest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selection and training for flight attendants.

      • KCI등재

        내부고발에 관한 인식유형 분석

        이시영(Lee, Siyoung),은종환(Eun, Jonghwan),한익현(Han, Ikhyun)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7 No.4

        내부고발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과 태도는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공익신고자 보호법」 제정 이후 민간부문 종사자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내부고발에 대한 단순한 긍정과 부정의 태도의 이면에 내재하는 심층적 인식유형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고발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가지 형태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 건전한 시민형, 내부배신자형, 기능주의형, 조직부적응자형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인식유형은 독립적으로 나타났으며 내부고발의 문제를 국가의 문제로 볼 것인지 조직내부의 문제로 볼 것인지와 내부고발을 긍정적으로 볼 것인지 부정적으로 볼 것인지에 따라 유형의 특성을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내부고발의 문제를 국가문제로 볼 것인지 내부문제로 볼 것인지가 중요한 인식의 갈림길이라는 것이며, 정책적으로는 내부고발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국가의 영역과 조직내부의 문제를 명확히 구분 짓는 정책적 추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Peopl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whistle-blowing is dive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in-depth exploration of such diverse perceptions on whistle-blowing and whistle-blowers. In order to reveal diverse perceptions hidden behind simple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 towards whistle-blowing, Q-methodology is applied. The result shows four different perception types on whistle-blowing: desirable citizen, inside-solution seeker, functionalist and organizational misfit. Each perception type is independent from others and shows different attitude on whether it sees whistle-blowing positively or negatively and whether whistle-blowing is a national issue or an inside problem of an organizat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an opinion on whether whistle-blowing is a national issue or no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diverse opinions on whistle-blowing. In terms of policy-making, this study shows the necessity of a clear division between problems that must be dealt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hose needed governmental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