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국어대사전"을 이용한 시소러스 구축

        한상길,Han, Sangkil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Collecting terms in thesaurus construction work is the most difficult. A dictionary is thesaurus can be used as an excellent term acquisition. Reflect faithfully the provisions of Korean literary "Standard Korean Dictionary" is a standard dictionary of the Korea.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is simply the definition of entry, as well as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term because it contains a systematic, it can be used to build a thesaurus. In this study,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has the relevant information using a variety of terms, it is defined as the thesaurus term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the term, equal relationships and hierarchical set of relationships, the use of qualifiers, North Korean issues, the issue presented in thesaurus construction, and suggest ways to solve the problem. 시소러스 작성에 있어서 가장 현실적인 어려움은 용어의 수집에 있다. 용어사전 뿐만 아니라 어휘사전도 시소러스의 중요한 용어 수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어문 규정을 충실히 반영한 우리나라의 대표사전이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은 단순히 표제어에 대한 용어 정의뿐만 아니라 해당 용어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담고 있기 때문에, 이를 시소러스 사전 구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국어대사전"이 갖고 있는 다양한 용어관계 정보를 시소러스 용어관계로 정의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용어의 분리, 동등관계와 계층관계의 설정, 한정어의 사용, 북한어 관계 등 시소러스 구축에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 청허 휴정의 수행론

        한상길(Sangkil Ha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0 불교와 사회 Vol.12 No.2

        청허 휴정은 숭유억불의 어려운 시대에서 수행의 가풍을 정립하고, 평생 동안 수행과 전법에 진력하였다. 청허가 이룩한 수행의 가풍은 조선불교의 나아갈 바를 제시하였고, 그의 회상에서 한국불교의 법통이 정립되기에 이르렀다. 여기에 임진왜란의 위기에서 민족을 구한 의승장으로서의 위업은 마침내 그를 우리 역사의 위대한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하였다. 이 글은 청허의 수행론에 관한 연구이다. 『선가귀감』 등의 저술이 그의 수행에 관한 ‘이론서’, ‘지침서’라고 한다면, 문집은 ‘일기’라고 해도 무방하다. 이 일상의 일기에서 여러 수행에 관한 진솔한 이야기를 찾아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문집에 나타난 이야기들은 간혹 그가 저술에서 제창한 선수행론과 다르기도 한다. 정확히 말하면 달라 보인다. 즉, 이론과 실재에 차이가 있어 보인다. 일상의 하루하루에서 제자를 제접하고, 선객과 문답하며, 염불을 행하는 수행자의 모습에 수행론이라 이름 붙이고, 이를 선수행, 교학수행, 염불수행, 의례수행의 넷으로 구분하였다. 청허의 일생은 선사로서의 수행의 여정이었다. 그런데 그는 삶의 곳곳에서 선수행은 물론 교학, 염불, 정토, 다라니, 의례 등 다양한 수행의 궤적을 남겼다. 이 글은 선사 청허에게 나타난 이러한 여러 수행론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수행의 방편문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염불과 정토, 다라니와 의례 등의 여러 수행을 인연에 따라 적용하였다. 두류산 내은적암에서는 염불수행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수행한 일도 있었다. 두 번째는 교화의 일환이었다는 점이다. 제자를 지도하고 가르치기 위해 선수행만을 고집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즉, 제자를 올바르게 교화하기 위해서는 참선이나 염불, 교학과 송주(誦呪) 등 그 어떤 수행도 중요하지 않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청허는 이처럼 수행의 궁극적 목적은 깨달음이지만, 이 깨달음은 중생구제, 즉 교화의 길에서 완성된다는 가르침을 여실히 실천하였다. During the difficult times of the Joseon Dynasty, Cheong-heo Hugh-jeong (1520-1604) established the style of Seon practice and devoted his life to performing and practicing the Buddhism. His methods of practice Joseon Buddhism presented a way forward, and his teachings established a tradition of performing Korean Buddhism. In addition, his feat of saving the nation from the crisi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finally established him as a great figure in our history.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theory of the practice of Cheong-heo. If his writings, Seon-ga Gugam are called ‘theories’ and ‘guidelines’ on his practice, it is safe to say that the writing collections, Cheong-heo Dang-Jip is a ‘diary’. I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diary by looking for honest stories about various practice. To this end, the story of his practice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eon practice, sutra practice, chanting practice, and ritual practice. As a result, two aspects of understanding were found. The first is that it is a bangpyeon (expedient method). Accordingly, various practices such as chanting practice, darani practice, and ritual practice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ir karmic relations. The second is that it was part of teaching. Attention is drawn to the fact that he did not only insist on seon practice to guide and teach monks.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operly educate the disciples, any practice, such as meditation, sutra studies and chanting, is not important. Master Cheong-heo practiced the lesson that although the ultimate purpose of practice was to realize, this realization was completed in the path of the restoration of the peoples.

      • KCI등재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학습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권인아(Kwon inah),한상길(Han sangk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and to identify the direct effects and the mediated effects of each variabl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20 December 2017 to 10 January 2018 for 688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used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s a major research result, first, the motivation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was directly effective in self-efficacy and learning effectivenes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ed effect between learning effects by means of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self-efficacy and learning effectiveness. Third, it was found that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motivation for learning outcomes was directly effective in self-efficacy,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ir effective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full-medium potency between target orientation and learning effectiveness by means of self-efficacy. As a result, the method of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orporate education instructors requires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self-efficacy, along with the development and delivery of education programs considering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is activity-oriented rather than learning-oriented. 이 연구는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참여 동기, 자기효능감, 학습효과성 간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각 변인 간 직접효과 및 매개효과 규명이 그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기업교육 강사를 대상으로 2018년 1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수집한 설문지 688부를 SPSS 22.0 와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분석 후 그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교육 강사의 활동지향형 학습참여 동기는 자기효능감과 학습 효과성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학습효과성에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지향형 학습참여 동기는 자기효 능감과 학습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가 없음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목표지향형 학습참여 동기도 자기효능감에는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효과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매개효과 없음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목표지향형 학습동기와 학습효과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남으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효과성 향상 방안으로는 그들의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지향성 보다는 활동지향성 임을 감안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과 함께 자기효능감 고취를 위한 학습전략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불교 기우제 연구

        한상길 ( Han¸ Sang-ki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이 글은 불교의 기우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기우제에 대한 고찰은 한국불교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불교가 국가와 사회의 요청에 어떻게 부응하였는가를 살펴보는 의미있는 소재가 될 수 있다. 한국불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기우제는 지금까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기우제가 가진 기본적인 특성에서 비롯된다. 즉 기우제는 가뭄이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단기간에 비정기적, 단발적으로 개설하였다.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불교만의 고유성이나 차별성을 드러내는 의례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의례로 정착하지 못하였다. 불교 기우제는 한국불교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맥락을 같이한다. 고려시대까지 불교의 성행 시기에는 기우제가 중시되면서 다양한 명칭으로 사찰은 물론 궁궐에서도 개설되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오직 사찰에서만 가능하였다. 그것도 신하들의 반대를 물리치고서야 진행할 수 있었다. 불교의례는 사상과 신앙 등 종교의 본질을 행위로 표출할 때 생명력을 지닌다. 그런데 기우제는 이러한 종교의 본질과 기능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였고, 결국 한국불교사의 한 전통으로만 남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ituals for rain of Korean Buddhism. The study of rituals for rain can be a meaningful material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Korean Buddhism and to examine how Buddhism responded to the requests of the state and society.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Korean Buddhism, rituals for rain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The reason arises from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rituals for rain. In other words, the rituals for rain was carried out irregularly and singlely in a short period of time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drought.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it was not established as a Buddhist rituals because it was not a rituals that revealed the uniqueness or differentiation of Buddhism. The Buddhist rituals for rain is in line with the historical proces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reign of Buddhism until the Goryeo Dynasty, the rituals of rain was held in various places, including temples and palaces. However, it was only possible in templ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also possible to proceed only after defeating opposition from bureaucrats. Buddhist rituals are vital when expressing the essence of religion, such as thought and faith, as acts. However, the rituals for rain did not have the essence and function of this religion, and ended up as a tradition of Korean Buddhist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