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초기의 向化倭人과 李藝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07 한일관계사연구 Vol.28 No.-

        본고는 조선시대 한일관계에서 특이한 존재인 向化倭人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유형 및 정치?사회?경제적 대우, 그리고 향화왜인과 이예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조선초기 향화왜인의 발생배경은 조선의 왜구대책과 토지나 식량의 부족으로 인한 생활고 때문이었다. 특히 조선초기의 향화왜인은 투항한 왜구가 많았다. 이는 조선의 왜구대책에 따라 왜구가 평화적인 통교자로 변질되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 후 향화왜인은 대마도주의 사신, 표류인을 송환한 자, 倭僧, 三浦 恒居倭人 등으로 확대되었다. 조선전기 향화왜인은 항왜, 구류왜인과 포로, 스스로 향화하거나 도망쳐 온 자, 송환된 피로인을 따라 온 자, 왜승, 대마도주의 사송왜인, 삼포항거왜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조선초기 향화왜인 중에는 왜구로 투항하여 조선의 관직을 제수받은 자들이 많았다. 그 중 일부는 대마도로 돌아가서 후에 통교자로서 도항하였다. 이는 이후 일본에 거주하는 왜인에게 관직을 제수하는 배경이 되었다. 향화왜인에 대한 조선의 사회?경제적 조치는 관직의 제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조선에서는 관직을 제수받지 못한 향화왜인을 각 지방에 분치하여 식량과 토지, 의복, 집 등을 하사하였다. 그리고 그들이 조선에 정착할 수 있도록 일정기간 동안 田租, 賦役, 軍役을 면제해주었다. 반면에 관직을 제수받은 향화왜인에게는 관직에 상응하는 祿俸과 衣服, 집, 노비 등을 지급하였다. 또한 이들 중의 일부에게는 姓名과 貫鄕을 하사하였다. 한편, 『성종실록』 6년 6월 신사조에 李從實에 대해 그를 향화왜인 이예의 아들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이예가 향화왜인이라는 사실을 나타내는 유일한 기록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이예가 활동하던 시기의 기록과 그의 졸기 등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잘못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오히려 조선초기 한일관계에서 이예의 역할이 매우 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사료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Japanese naturalized to the early Choson dynasty. What was the background for the naturalization? Which types of the naturalized Japanese were there? How were they treated in the political and social and economic aspect? Was Lee Ye really one of the naturalized Japanese? Those questions will be discussed. The naturalization of the Japanese in early Choson occurred from some counter plans of the government for Japanese pirates or their hard living such as the shortage of land and foods. Especially there were many surrendered pirates among the naturalized Japanese in the early times. This reflects the transition from the pirates to the peaceful negotiators according to the counter plans of Choson. Afterwards Japanese naturalization was expanded to the envoys from Tsushima, officials to dispatch drifters, monks and the Japanese residing in the three ports. The types of the naturalized Japanese in the early Choson dynasty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groups of the surrendered, the detained, captives, the naturalized of one’s own accord, fugitives, escorts to dispatch drifters, monks, envoys from Tsushima, and the Japanese residing in the three ports. Some of them were pirates and, after surrendering, even gained the posts in the Choson government. And some people returned to Tsushima, and crossed the sea again as the negotiators. This became a beginning for appointing the men residing in Japan to the government. The hospitality to the naturalized Japanese was different in the social and economic respect according to whether they got the posts from the government or not. Those who didn’t get the posts were scattered into various districts, and received food, land, clothes, and houses. And they were exempted, for the settlement, from land taxes, compulsory labor, and military service during a certain period. On the other hand, those who got the posts received stipends, clothes, houses and slaves in proportion to their posts. Some of them even got their own names and clans. And Songjong Annals records Lee Jongsil as a son of Lee Ye, one of the naturalized Japanese. But this is false because any other documents could not be found about it, and even his obituary in the annals did not narrate such an important matter. In my view, the record reveals that Lee Ye played a great part for the relations between Choson and Japan in the early stage.

      • KCI등재후보

        壬辰倭亂 직전의 국내정세와 韓日關係

        한문종(Han Moon-J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인 16세기는 士林들이 중앙정계의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東西分黨이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농업생산력의 증대와 상품유통이 활발해지면서 地方場市가 발달하고 대외무역도 활발하게 행하여졌다. 그러나 농장의 확대로 농민층이 몰락하고 貢納ㆍ軍役制의 폐단으로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졌다. 게다가 삼포왜란 이후 왜구의 침입이 급증하면서 조선의 사회는 인심이 흉흉하고 나라의 기강이 해이해졌다. 또한 군역제의 동요가 나타나면서 국방체제의 근간인 鎭管體制도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국왕사를 사칭한 위사는 일본의 혼란한 국내사정과 조선정부의 일본에 대한 정보부족 그리고 일본국왕사에 대한 우대 등을 배경으로 1470년부터 나타났으며, 삼포왜란을 전후하여 변질되었다. 삼포왜란 이전의 위사는 막부장군의 측근이나 일본본토의 호족들이 주로 파견하였다. 그러나 삼포왜란 이후에는 대마도주가 조선과의 통교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위사를 파견하였다. 그 결과 국왕사를 사칭한 僞使가 급증하였다. 三浦倭亂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여 備邊司를 설치하고 군사제도를 制勝方略 體制로 개편하는 한편 板屋船을 건조하는 등의 노력을 강구하였다. 또한 임진왜란 직전에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무능한 守令을 교체하고 경상ㆍ전라도의 성곽을 수축하기도 하였으나 형식적인 면에 그쳤고, 이는 오히려 백성들의 원망만 샀다. 임진왜란 초기 일본의 침입에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하고 官軍이 일본군에게 패배한 요인은, 정치ㆍ사회ㆍ경제적인 변화로 인한 민심의 이반과 국가기강의 해이, 일본의 국내정세에 대한 정보의 부족, 조선군의 전술과 무기가 일본군에 비해 부족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의병의 활동과 이순신을 중심으로 한수군의 승리 그리고 새로운 무기와 전술의 개발 등을 통해서 초전의 패배를 극복하고 일본군을 물리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Choson's domestic situation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just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Wae-Ran. It closely examines the causes of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impostor envoys who falsely presented themselves as those of Japanese “King”, the true identities of these fraudulent ambassadors, and the defensive system of Choson government against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reason why the government army of Choson was fatally defeated by Japanese army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Wae-Ran. Before the outbreak of the Imjin Waeran, the livelihood of the peasantry in Choson was getting worse, owing to the expansion of large estates. And they were getting poor, owing to the inefficient systems of the tribute tax and the military service. Moreover, because the raids of Japanese pirate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Sam-Po-Wae-Ran, Choson's people felt fear of them and Chonson's society became more and more unstable. The garrison command system, which was the basis of the national defence, was also shaken because the military service system of Choson did not work efficiently. In this kind of situation, Choson government couldn't be ready to keep off any attack of Japan in spite of predicting Japanese invasion. To sum up, the social unstability of Chonso was one of the major reasons why the regular troops of Choson suffered a severe defe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e-Ran.

      • KCI등재

        조선의 남방지역과 일본에 대한 경계인식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조선초기 다양한 왜구대책의 실시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왜인통제책의 하나인 포소의 제한으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형성되어 갔다. 그러나 고려말 조선초에 실시된 해금정책과 일부 섬에 대한 "공도화"는 이러한 인식의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서남해안의 섬에 주민들이 몰래 들어가 거주하면서 조선에서는 남쪽 해양에 대한 경계인식이 점차 확산되어 갔다. 1423년(세종 5) 폐쇄되었던 삼포의 개항으로 왜인들이 고기잡이 할 수 있는 지역도 부산포·내이포 등처로 제한되었다. 왜인들은 여러 차례 포소의 추가 개항을 요구하였지만 거절당하자 대신에 경상도 연해어장의 확대를 요구하였다. 그 결과 1435년 10월에 울산의 개운포지역까지 어장을 확대해주었다. 그 후에도 대마도에서는 전라도 남해 연안의 어장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조선에서는 많은 의견 대립이 있었으나 1443년(세종 25) 고 초도에서의 고기잡이를 허용하였다. 그러나 그곳이 조선의 땅임을 확인하는 의미로 왜인들에게 漁稅를 징수하였으며, 또한 정해진 지역 이외의 곳을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자는 적왜로 간주하여 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그 결과 조선에서 남방지역에 대한 경계인식이 확립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조선초에는 대마도를 왜구의 소굴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대마도정벌을 계기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조선에서는 "대마번병의식"과 "대마속주의식"이 일반화되었으며, "對馬區分意識"도 나타났다. 이러한 조선의 대마인식은 대마도를 조선중심의 외교질서 즉 기미관계의 외교체제 속에 편입시키는 정신적인 기반이 되었으며, 이후 대일외교 체제의 형성과 전개과정에서 커다란 변화와 영향을 주었다. 또한 대마도가 영토적으로는 일본에 속하였지만 정치·외교적으로는 조선의 국가질서 속에 편입되어 있는 "양속관계"가 성립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조선후기에 들어서 "대마번병의식"과 "대마속주의식"은 점차 약화되어 갔지만, "대마구분의식"은 전기보다 성화되어 갔다. 한편, 조선의 일본 또는 일본인에 대한 인식은 양국관계의 전개와 밀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국"·"일본인"은 주로 양국간의 관계가 우호적이고 평화적일 때 긍정적인 인식을 하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었다. 반면에 "왜국"·"왜인"·"왜노"는 양국간의 갈등과 대립이 있을 때 부정적인 인식을 하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왜인을 이적시하거나 야만시하는 표현인 "倭奴"는 선조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조선을 침략한 일본에 대한 적대감의 표현이었다. 또한 일본 본주의 왜인과는 달리 대마도의 왜인을 부정적으로 지칭할 때에는 "島倭"·"島夷"·"小醜"등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0 No.-

        『한일관계사연구』(1~58)에 수록된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성과와 특징을 정리하였다. 먼저 고려후기 한일관계사는 왜구 문제가 주요한 연구 주제였다. 그러나 아직도 이 주제에 대해서는 한일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있다. 한편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과 상호인식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었다. 따라서 고려후기 한일관계사 연구는 앞으로 왜구의 주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좁히고, 연구주제를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는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서 행하여 졌다. 이 때문에 다른 시기에 비해 연구가 많지 않았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특징은 李藝와 金誠一등 외교 인물과 해동제국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러나 조일간의 무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하여지 않았으며, 제도사적인 면에 치우친 한계가 있었다. 倭人의 統制와 接待, 向化・受職・受圖書倭人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행하여졌다. 그러나 주로 한국 측의 자료만을 가지고 연구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삼포왜란 이후의 한일관계는 임진왜란의 발발 배경과 通交違反者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를 연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일 학자 간에 견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동 연구가 필요하며, 양국의 사료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연구의 시각을 동아시아 세계로 확대하고, 女眞・琉球등 주변의 여러 나라와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일관계 특징을 보다 더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Japan relations studies from the late Kory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Korea-Japan Historical Review” (vol. 1 to 58)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late Koryo period, Japanese pirates was a major research topic. But,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among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on this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udy on the Japanese conquest of the Mongol Yuan and Koryo Allied Forces and their mutual perception. Therefore, the study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Koryo dynasty needs to narrow the gap of perception of the identity of Japanese pirates and to diversify the subjects of the study. Next, the study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conducted by a small number of scholars. Because of thi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compared to other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n Korea-Japan relations of this period are that the research on diplomatic characters such as Lee Yeh and Kim Sung Il and the book entitled “Haedongjegukgi” we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ven that has been limited to institutional aspects. The issue of controlling and hosting Japanese, naturalized Japanese problems, and the grant of government posts and books to Japanese have been studied so far.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studying mainly data from the Korean sid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fter the Japanese riots at three ports in 1510 is a very important topic for studying the backgroun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violators of friendly relation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 In order to revitalize Korea-Japan affiliate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many researchers can study various sub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f opin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joint research is necessary and objectivity of research should be enhanc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ata of both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 Japan relations more clearly by expanding the viewpoint of research into the East Asian world and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i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urchen and Ryukyu island.

      • KCI등재

        『海東諸國紀』의 倭人接待規定과 朝日關係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09 한일관계사연구 Vol.34 No.-

        조선초기부터 다양한 왜구대책을 실시한 결과 태종 9년을 전후하여 왜구의 침입은 감소한 반면 통교왜인은 증가하였다. 조선에서는 통교자의 증가에 따른 치안?경제상의 부담과 왜구문제에 대한 자신감, 일본의 국내 정세에 대한 지식의 확대 등을 배경으로 조선에서는 서계?도서?문인 등의 왜인통제책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서 통교왜인이 포소에 도착한 이후부터 일본으로 돌아갈 때까지의 왜인접대에 관한 규정을 정비하기 시작하였다. 왜인접대규정은 세종 20년(1438)부터 세종 25년(1443)까지의 시기에 집중적으로 정비되었다. 이 시기는 조선이 대마도와 문인제도, 계해약조를 정약한 시기이다. 특히 문인제도와 계해약조는 조선의 강력한 왜인통체책이 되었으며, 대마도를 조선의 외교질서 속에 편입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같이 왜인접대규정은 왜인통제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정비되었다. 그 후 왜인접대규정은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이나 미비점을 보완하여 성종초에 제도적으로 완비되었다. 그 결과 왜인접대규정은 『해동제국기』의 「조빙응접기」에 집대성되어 왜인접대 시에 典範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왜인접대규정을 강력한 시행하여 재정적 부담을 줄이려는 조선정부의 의도와 조선으로부터 많은 미두를 지급받고, 무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왜인들의 의도가 부딪치면서 결국 삼포왜란이 일어났다. 그 후 양국관계는 단절과 회복이 반복되면서 점차 쇠퇴해갔다. 그러나 왜인 접대규정에 관한 논의는 계속되었으며, 접대규정의 많은 항목은 조선후기까지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왜인접대규정은 왜인통제책과 더불어 양국의 외교관계를 지속시키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였다는 점에서 조선전기 한일관계사에서 가지는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Choson government have carried out a variety of policies to check Japanese Pirates from the early period of National Foundation. As a result of that, Japanese traders increased greatly whereas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decreased around the 9th year of King Taejong" reign. Bu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Japanese traders, the new problems such as the public security and the adverse current of trades occurred. So Chonson government began to revise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treatment for Japanese trader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ovisions were mainly revised from the 20th year of King Sejong" reign to the 25th year of the King. In the same period Choson also made Munin System and concluded Gyehae treaty with Japan. These two systems contributed to control Japanese thoroughly and to incorporate Tsushima into the foreign order of Choson. The provisions of treatment for Japanese were completed in the early period of King Seongjong by supplementing defects as they revealed some problems in the process of enforcement. Since then, the provisions were included in the Chobingeungjeopgi of Haedongjegukgi and became a typical model of the treatment of Japanese. Chonson government continued to try to economize expenditure carrying out the provisions of treatment to Japanese thoroughly whereas Japanese wanted to maximize profits in trades with Choson. Interests between two countries were at last clashed and Sampowaeran broke out as a result of that. After that, the relations of two were getting worse while repeating severance and recovery of diplomatic relations. In spite of that, two countries did not give up discussions about the provisions completely and so many articles of the provisions were maintained until the late Choson. In short, the significance of the provisions lies in that they have worked as a main factor to keep up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oson and Japanese in the first half period of Cho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