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

        한동욱,김태영,주수민,김혜주,홍명기,백종인,반영운,Han, Dong Wook,Kim, Tae Young,Ju, Su Min,Kim, Hye Ju,Hong, Myung Gi,Baek, Jong In,Ban, Yong Un 한국지역학회 2018 지역연구 Vol.34 No.1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는 2006년 이래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도시 재생사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정성적인 방법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상업지역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에 있는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동인구, 공시지가 공실률을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지표로 선정하였다. 분석시점은 도시재생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2013년을 기점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이다. 분석결과, 첫째, 유동인구는 차츰 증가하다가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던 2014년에 약 65퍼센트의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공시지가는 도시재생이 시작한 2011-2012 시점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고 2015년까지 증가폭이 점차 줄어들면서 2015-2016년에는 미세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공실률은 꾸준한 하향곡선을 그리며 27퍼센트에서 12퍼센트로 약 15퍼센트포인트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상업지역의 도시재생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데서 학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began in 2006 and has actively proceeded for 10 years. Also, there are a lot of stud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have analyzed urban regeneration effects but have just focu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has intended to analyze the urban regeneration effects of Junang-Dong, a central business district in Cheong City, whe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undertaking, in the manner of quantitative analysis. To reach this objective, we selected such indicators as floating population, public land price, a and vacancy rate, and set analysis time span from 2011 to 2016, whe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actively operated.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As for floating population, population index grew gradually and showed an drastic increase of about 65 percent in 2014 when the project was active. 2) Public land price of Jungang-Dong has been showed the greatest increase from 2011 to 2012 when the city started to regenerate, and slight decrease from 2015 to 2016 with the gradual decrease until 2015. 3) In terms of vacancy rate, there has been declined about 15 percent from 27 percent to 12 percent, with a steady downward curve. This study has dedicated itself to analyzing the urban regeneration effects quantitatively especially in commercial business district.

      • 요통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요통의 심리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한동욱,박지환,김용건,Han Dong-Wook,Park Ji-Whan,Kim Yong-Gun 대한물리치료학회 2002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atient with low back pain on the psychologic Status. The Questionnaires was done for 312 persons with low back pain who live in Daejeon.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1st, June and 26th, July in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atient with low back pain on the psychologic Status were related age(p<0.01), education level(p<0.01), job(p<0.01), husband and wife existence(p<0.01), disease(p<0.01). 2. The influence of an item on Handler score was related the reason of pain(r=0.377, p<0.01), the site and pattern of pain(r=0.314, p<0.01), the influence of climate(r=0.370, p<0.01), the frequency of pain(r=0.396, p<0.01), the position of producible pain(r=0.411, p<0.01), one's desire(r=0.394, p<0.01), experience of pessimism(r=0.421, p<0.01).

      • 혀의 자세가 경추의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동욱,박민희,정연희,Han, Dong-Wook,Park, Min-Hee,Jeong, Yeon-Hee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3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1 No.1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ongue positions have effect on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Methods : 18 subjects, 20 to 25 years of ag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ongue positions were neutral position, anterior protrusion, posterior protrusion, superior protrusion, inferior protrusion, left side protrusion and right side protrusion. The neck movements were right side flexion, left side flexion, right rotation and left rotation.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measured by cervical range of motion instrument (CROM, C9266-49, USA). The changes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SPSSWIN (ver.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chosen as ${\alpha}$=0.05. Results : In the lateral flexion, the angle of left lateral flexion increased in anterior protrusion(p<0.05) and right side protrusion(p<0.05) significantly. In the rotation, the angle of right rotation increased in anterior protrusion(p<0.05), posterior protrusion (p<0.05), superior protrusion(p<0.05), inferior protrusion(p<0.05), and left side protrusion (p<0.05) significantly.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tongue positions affected some cervical movements.

      • KCI등재

        입학사정관 교육훈련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J대학 사례연구

        한동욱,Han, Dong-Woo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2 No.5

        입학사정관제는 그 본질 상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정성적인 형태의 다양한 평가요소를 대상으로 지원자의 정보를 주관적,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주된 내용을 이루므로, 무엇보다도 입학사정관이 다양한 전형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선발할 수 있는 전문가적 능력의 구비와 공정한 선발을 기할 수 있는 선발의 공정성 확보가 중요시 되는 제도이다. 그런데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성 강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J대학교 입학사정관 교육.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해 보았다. 그 결과 9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교육내용 및 주요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제시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The role of admissions officers is to evaluate the overall qualification of applicants, which consists of various qualitative and subjective metrics The core requirement of admissions officers is not only assessment of students' qualific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but also verification of the data stem from the various sources. The issue for fairness on selection is the crucial agenda for the whole process of university entrance. The educational program aimed on the enhancement the expertise of admissions officers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fair selection of whole evaluation process. In this paper we develope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admissions officers of J university. The 9 core dimensions of curriculum is presented to train admissions officers and the stepwise requirements of achieving each subject's goal are defined.

      • SCOPUSKCI등재

        미기록 귀화식물: Plantago aristata (Plantaginaceae)

        이정호,한동욱,이은주,박종욱,Lee, Jungho,Han, Dong Uk,Lee, Eun Ju,Park, Chong-Wook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5 식물 분류학회지 Vol.35 No.2

        절경이과의 Plantago aristata Michx.(국명신칭: 긴포꽃질경이)가 경기도 고양시 한강하구에 자라고 있는 것으로 처음 확인되었다. 이 귀화식물은 선형인 잎(길이 9-20 cm, 폭 5-8 mm), 긴 선형의 포(길이 약 2.5 cm), 큰 흰꽃(직경 4-6 mm)으로 다른 한반도 질경이속 식물들과 구별된다. 북미 원산인 본 종은 인근 국가인 일본과 중국에도 유입되어 퍼져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확증표본은 서울대학교 석엽표본관(SNU)에 소장하였다. We reported that an alien species of Plantaginaceae, Plantago aristata Michx. from North America, grows at the Han-River estuary in Go-Yang City, Kyunggi Province. This species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s in Korea by its linear leaves, cylindrical spikes with long linear bracts at base, and relatively large flowers of ca. 4-6 mm in diameter. We called the species as gin-po-ggot-jil-kyung-i as a local name. Plantago aristata is known to be very invasive and has been already introduced to Japan and Chin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효과적인 타이밍 학습을 위한 외적 주의초점 피드백의 제공시기 모색

        한동욱 ( Dong Wook Ha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학습단계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하여 효과적인 타이밍 학습을 위한 외적 주의초점 피드백의 제공시기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전연습단계에서 상대적 타이밍 및 절대적 타이밍 오차는 내적-외적, 외적-내적, 외적-외적 집단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세 개의 집단에 무선으로 할당된 연구대상자들이 유사한 타이밍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제시해 주며 집단 간 동질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사전연습단계 이후 실시한 습득단계에서는 세 집단 모두 운동학습 관련 선행 연구와 같이 전반적으로 수행 오차, 즉 상대적 타이밍 및 절대적 타이밍 오차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여 주고 있다(Park, Han, & Kim, 2011; Han, 2010). 한편 운동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파지 및 전이 단계에 대한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대한 분석 결과, 전이단계1과 2에서 상대적 타이밍 오차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내적-외적 주의초점 피드백을 받은 집단과 비교해서 외적-내적 주의초점 집단과 외적-외적 주의초점 집단에게서 새로운 과제에 대한 상대적 타이밍 학습이 효과적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파지단계에 있어서도 내적-외적 주의초점 집단보다 외적-내적 주의초점 및 외적-외적 주의초점 집단에 있어서 상대적 타이밍 학습 효과가 상대적 높게 나타난 경향성을 보였다. 주의초점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습득단계의 시작에서 종료까지 내적 주의초점 또는 외적 주의초점 전략과 같은 하나의 정보 또는 피드백 제시를 통해 두 개의 주의초점 전략 중 어떠한 방법이 효과적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많은 주의초점 연구결과들(Bell & Hardy, 2009; Freudenheim et al., 2010; Marchant et al, 2007; McNevin et al., 2003; Wulf & Su, 2007)은 수행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대상물에 주의초점을 유도하는 것이 학습자의 신체에 주의초점을 주는 것 보다 효과적이라는 제한동작가설을 지지해 준다. 즉 외적 주의초점은 운동 기술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의식적인 동작제어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자동동작제어 과정을 촉진시켜 운동기술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주요 관심 주제인 학습단계별 외적 주의초점의 적절한 제공시기를 찾는다면 선행 연구와 같이 연습 전반부와 후반부에 지속적으로 외적 주의초점 피드백을 주거나 전반부에는 외적 주의초점 그리고 후반부에는 내적 주의초점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절대적 타이밍 학습보다는 시간 구조의 학습 정도를 평가해 주는 상대적 타이밍 학습에 효과적이다. 전반부와 후반부에 주의초점을 달리한 학습 전략은 운동기술 현장에 있는 지도자에게 주는 유용한 기초정보가 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현장에 있는 지도자는 학습자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해서 팔이나 다리와 같은 신체의 위치나 속도 등과 같은 운동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Davids, Button, & Bennett, 2008). 즉 내적 주의 초점에 의한 지도 및 피드백 제시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여 학습자의 효과적인 폼을 만들기 위해 신체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거나 정보를 준다. 따라서 현장에 있는 지도자의 지도 특성을 반영하면서 효과적인 운동기술 학습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학습 전반부에 외적 주의초점에 의한 학습전략을 세우고 후반부에 내적 주의초점에 의해서 학습자의 신체 동작을 수정할 수 있는 학습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Hodges & Franks(2002)는 학습 초기에 너무 명시적이고 자세한 언어적 설명이 운동기술 학습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제시하였다. 이는 Wulf, McNevin, Fuchs, Ritter, & Toole(2000)이 제시한 비지각(nonawareness) 전략과 관련 있는 외적 주의초점 전략의 사용이 운동학습 초기에 효과적이며 과제에 대한 적응 및 학습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을 때 학습자의 신체에 대한 오류탐지에 대한 인식과 수정 정보가 제시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보여 진다. 지도자가 제시하는 언어적 정보는 학습자의 운동기술학습을 위해 동작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일 수 있는 정보적 제한요소(informative constraint)이다. 특히 정보적 제한요소로서 주의 초점을 고려한 언어적 정보는 학습자의 정보 탐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학습 변인이 될 수 있다(Davids et al., 2008). 이에 본 연구결과는 학습자의 효과적인 정보 탐색을 하기 위해 두 개의 학습단계에서 외적 주의초점을 제시한 언어적 피드백의 적절한 제공시기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학습초반에 내적 주의초점, 그리고 후반에 외적 주의초점을 유도한 언어적 피드백 보다 외적-내적과 같은 주의초점 전환을 주는 것이 시간구조 학습에 대한 외적-외적 주의초점 전략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면서 신체 동작의 오류 수정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 주의초점 연구는 운동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연령(Chivacowsky, Wulf, & Wally, 2010), 운동기술 수준(Wulf & Su, 2007), 장애 유무(Wulf, Landers, Lewthwaite, & Tollner, 2009)에 따라 외적 주의초점 전략의 효과성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운동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습단계를 고려했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에는 이러한 학습단계를 학습초기, 중기, 후기와 같이 더욱 세분화시켜 주의초점의 제공시기를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농구, 배구, 축구 등과 같은 실제 운동 종목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학습단계를 고려한 현장 연구도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good timing of an external focus feedback for effective timing learning.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seek for the learning effectiveness in the relative timing and the absolute timing presenting three focus-feedbacks, which consisted of internal (the first phase)-external (the second phase), external-internal, and external-internal focus feedback respectively on the first phase and the second phase of learning stage. Methods: Participants (N=30)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conditions, which differed in focus feedback type. They were asked to alternately depress the J and F keys on the keyboard to generate the goal pattern displayed on the screen as closely as possible. Results: No three group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errors at the pre-exercise session. The analysis, however, indicated main effects of the block on the relative and the absolute timing errors at the acquisition session. Also, two transfer sessions analysis indicated main effects of feedback types. Tukey HSD test indicated bigger relative timing errors for the internal-external group than two other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external-internal focus strategy than internal-external one produces similar learning effects as compared with external-external focus strategy on the relative timing structure in a new task.

      • KCI등재
      • KCI등재

        학령초기 여자아동을 위한 대근운동발달 검사의 상대적 중요도 연구: 난이도와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한 탐색

        한동욱 ( Dong Wook Han ),박동진 ( Dong Jin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난이도와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한 대근운동발달 구성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난이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실제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해 산출된 원점수와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를 고려한 가중치 점수를 비교 분석하는데 세부목표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뢰도를 나타내주는 일관성 검증, 상대적 중요도, 난이도의 가중치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동기술이 물체조작기술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난이도는 물체조작기술이 이동기술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동기술은 홉, 달리기, 갤롭, 립, 슬라이드, 멀리뛰기의 순으로 중요하며 물체조작기술은 받기, 던지기, 차기, 드리블, 굴리기, 치기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에 대한 결과, 이동기술은 홉, 립, 멀리뛰기, 갤롭, 슬라이드, 달리기 순으로 어려웠으며, 물체조작기술은 치기, 드리블, 차기, 받기, 던지기, 굴리기 순으로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분류 수준에서 상대적 중요도 결과, 홉 항목의 ‘땅에 닿지 않은 다리를 추진력을 얻기 위해 진자형태로 흔들어 힘차게 흔든다’가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고, 난이도는 제자리 드리블 항목의 ‘발의 움직임 없이 4회 연속 공을 드리블 한다’가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점수를 바탕으로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의 가중치점수를 적용한 분석 결과, 상대적 중요도, 원점수, 상대적 난이도 순으로 평균값이 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에 대한 정보는 학령초기 여자아동의 대근운동 능력을 검사 할 시 평가 목적에 맞게 세분화된 검사 방법을 제시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weighting for an effectiv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n young girls of early school age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Specifically, the professional group on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 was asked to complete the pairewise comparison survey on the relative weighting and index of difficulty. Also, Actual TGMD-2 (AT) was tested for comparing the raw data with data applying the relative weighting (RW) and the index of difficulty (RID). The Data on the consistency index, the relative weighting and index of difficulty were analyzed by using an AHP module in an Excel program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ocomotor skill was more important and easier than object control skill in large classification. Also, the young girls performed superior abilities of locomotor skill in comparison with object control skill in AT. Second, RW in middle classification were in order such as hop, run, gallop, leap, slide, horizontal jump at locomotor skill and catch, throw, kick, dribble, roll, strike at object control skill. RID, however, were in order such as hop, leap, horizontal jump, gallop, slide, run at locomotor skill and strike, dribble, kick, catch, roll at object control skill. Third, in RW and RID of performance criteria ``Nonsupport leg swings forward in pendular fashion to produce force`` at hop items was valued the highest and ``Maintains control of ball for four consecutive bounces without having to move the feet to retrieve it`` at dribble items was the hardest. Fourt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W and RI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partly. Fifth, the mean of AT data, RW data and RID data on TGMD-2 were high in order such as RW, AT, and RID. Finally, the results on RW and RID will serve as a fundamental information to support a specific strategy on an assessment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