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내건축에 있어서 사상체질에 따른 한국인의 색채선호에 관한 연구

        한기증,이특구,Han, Gi-jeung,Lee, Teuk-koo 사상체질의학회 1998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0 No.2

        This thesis on the basis of the "Sasang"(the four classification by the physical constitution) that becomes the focus of the public interest in Korea intends to grasp a color image and serve basic materials for the color usage in the interior design planning. It tri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onstitution and color. The color planning for experiment plans to be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color. Analysis result on color and color image to patterns of interior color shows that the physical constitution in measure difference is bigger than sex among the many image evaluation items. Therefore, the interior color preference of Korean is bright hue and tint such as warm and cool colo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종합병원 외래진료부의 시지각정보전달체계와 진로인지에 관한 연구

        한기증(Gi Jeung Ha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최근 병원은 대형화 및 복합화로 인한 공간구조와 진료순환체계의 복잡한 경로로 진로인지에 대해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에 이용자들은 병원 환경 내에서 빈로인지로 인한 심리적 불안, 혼돈, 스트레스 등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종합병원 외래진료부의 진로인지 계획에 필요한 객관적인 요소에 대한 현황파악 및 분석을 통하여 진로인지 계획시 활용이 가능한 시지각정보전달체계의 적용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진로인지에 대한 관련문헌 자료조사와 10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평면분석, 현장조사를 통한 시지각정보전달체계에 대한 현황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 등을 통계처리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외래진료부를 대상으로 외래진료의 절차에 따른 사인 및 색채의 시지각적 전달요소의 특성을 살피고, 이들 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모델을 개발하여 조사대상 병원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진로인지 계획시 적용가능한 체크리스트와 색채코드를 제안하였으며, 시지각정보전달체계에 대한 진로인지의 중요한 요소인 안내전달체계와 색채전달체계에 대해 정리하여 제언하고 있다. Recently, hospital patients experience anxiety, confusion, and stress about wayfinding as the spacial layout and treatment circulatory system of hospitals have become complicated due to their oversized and complex structure. As a part of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pplicable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system to the wayfinding plann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wayfinding planning of O.P.D in general hospital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dopted were literature review in wayfinding cognition, plan analysis of ten general hospitals, analysis of the system of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through a field study, and analysis of surveys conducted to support the results. The analysis of O.P.D in general hospitals was conducted by the evaluation criteria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elements of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of signage and col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hecklist and color codes was suggested, which are applicable to the wayfinding planning. The signage system and color system which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visual-perceptual inform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 노인요양시설의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미국 O`Connor woods를 중심으로-

        한기증 ( Han Gi Jeung )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3 디자인과학연구 Vol.6 No.2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의 진입은 사회의 주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정치적, 경제적 주요 이슈가 될 것이며, 주거 문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공통 현상이며 국민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이 되면 많은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게 되는데 거주 환경은 노인에게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공간디자이너는 노인의 행태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사항들을 공간디자인 시 적용해야 한다. 적용될 사항들을 필자가 인테리어 레노베이션에 부분적으로 참여한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0`Connor Woods(은퇴자를 위한 지속보호시설)의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디자인 구성의 기본 원칙을 살펴보았고 향후 노인요양시설 계획 시 공간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실내공간은 노인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사회적 환경을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대응적인 아이디어와 보편화되어야 할 사항들을 디자인에 적용해야 한다. 거주공간 단위, 즉 실내의 각 실(Unit)을 디자인할 때는 유니버샬디자인(Universal Design)과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시설 (Barrier Free Design)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시설 내외부의 쾌적한 거주 환경의 서버를 제공함은 노인들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다.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 Through the interior renovation of the O`Connor Woods, a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California, U.S. - The aging Population has become a major political and economic issue as the number of the aged people increase. It is also influencing how homes are built. The situation is more or less the same,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the United Sates. The public interest in senior citizen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Most of the aged people spend a lot of time indoors, According we need study more how we can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for the age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aged should be considered when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make plan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 have examined the basic principles of the design home for the elderly by studying interior renovation of the O`Conner Woods, a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California, U.S., which I joined in the first half of 2003. And I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interior design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The Interior space provides each person with privacy, the social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se factors when we design an elderly care facility. The design should be universal and barrier-free. This is because the facility for the aged should provide users, with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 도시 환경색채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 1 동을 중심으로 -

        한기증(Gi Jeung Han)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1 디자인과학연구 Vol.4 No.1

        도시경관과 도시환경은 도시를 구성하는 자연과 건축물을 포함한 인공 구조물 등의 형태와 색채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형태는 색채보다 우위에 있지만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은 경제적 공학적, 사회적 문제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고 관리가 어렵다. 그러므로 도시환경개선을 위해서는 형태에 앞서 색채요소를 검토하는 것이 관리 개선 차원에서 경제적 효율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심리적 , 생리적,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계획된 환경색채의 사용은 바람직한 도시경관을 만들어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이촌1동의 환경색채현황은 각기 다른 이름을 가진 아파트에 각기 다른 색채를 사용함으로서 색채가 범람하여 시각적으로 혼란스러움을 야기 시킨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소단지의 아파트군으로 형성된 지역적 특징을 고려하여 그룹핑(grouping)해서 색채계획을 블록 혹은 구덕별로 나누어서 하는 것이 요구된다 사용색채는 주조색과 보조색 혹은 강조색을 적용한다. 주조색(face color)은 우변의 자연 환경색과 조화로운 색채를 부여하여야 한다. 주조색의 단계적 색조 변화로 그룹핑 한곳을 구분할 경우 식별도 용이하고 변화와 통일감을 줄수 있다 적절한 보조색의 사용은 사람들에게 활기와 생명력을 불러일으킨다 수퍼그래픽, 아파트의 이름, 동표시 등도 유기적 관계 속에서 전체적인 이미지에 부합되게 색채, 형태, 크기 등이 디자인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환경색채는 분명한 목적과 계획아래 이루어졌을 때 쾌적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ity view and city environment are decided by color and the form of the artificial structure such as building that consists of the city. The form is more Important than color in the city view. Factors deciding the form are very complicated because we have to consider economical, engineering and social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he city environment, examination of color factors rather than form is more necessary. The proper use of environment color that makes use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nature can lead to a desirable city view. Environment color of Ichon-1dong in this study causes people confused since each apartments have no harmorized color. In order to Improve it, It is needed that color plan should be made by the block and area of apartment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small apartments. It is recommended that apartment color should be applied to face color, supplementary and emphasis color. Furthermore, face color should be harmonized with natural and environmental color. Incremental color change of face color by grouping can make people distingsh apartments easily and also give them a sense of unity The use of properly supplement color brings people to life. In conclusion, under the super graphic, apartment name and indication of the number by organic relations, color, form and size of apartment should be designed in harmonization with general image. When environmental color has explicit object and plan, the comfortable and beautiful environment would be mad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실버타운의 입지별 유형에 따른 공간구성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손재원,한기증,이특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1 의료·복지 건축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s and conditions of spacial composition according to location style of silver towns. The spacial composition of silver town used in 3 cas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location(the urban type, the sub-urban type and the resort type). The points of analysis are focused on the necessary spaces and selectable spaces related to location of silver towns. In conclusion, the urban and sub-urban silver towns should have the necessary spaces and selectable spaces through analysis of the spaces in healthcare facilities near at hand. The resort silver towns should be planned to harmony the functional spaces with building shapes because they consist of various spaces.

      • KCI등재

        의정부시 의료자원의 현황 및 수요에 관한 연구

        손재원,한기증,목대상,이특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0 의료·복지 건축 Vol.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helps the supplying medical resources through understand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medical resources and the territory of diagnosis in Uijongbu city. To achieve this goal, the statistical data related to the medical resources of Uijongbu city were analyzed ; the number of population, medical facility, beds for inpatients, medical personnels and so on.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 present conditions of medical resources are so insufficient in Uijongbu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ly, it should be added to the beds for inpatients. Secondly, it should be characterized by specialization of hospitals. Thirdly, it should be added to the herb medicine hos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