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방 십자 인대 손상 환자에서 KT 2000 슬관절계, Cybex 등속성 근력검사 및 Lysholm 점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하철원,김종혁 대한슬관절학회 2002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4 No.2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손상의 객관적 평가에 이용되는 KT 2000 슬관절계, Cybex 등속성 검사, Lysholm 점수 측정치 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이들 검사치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임상적인 판단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단독 전방 십자 손상 환자 51예를 대상으로 KT 2000 슬관절계(15, 20, 30 lb 및 최대 도수 부하), Cybex 등속성 검사(각속도 60 및 180), Lysholm 점수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각 측정치 간에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KT 200 검사치 중에서는 최대 도수 부하 전위의 측정치만이 Lysholm 점수와 유의한 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587. p<0.05). 슬관절 굴곡근과 신전근의 근력 감소 정도는 항상 Lysholm 점수와 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585, 0.635, 0.656, 0.720, p<0.05). 슬관절 굴곡근과 신전근의 근력 감소 정도와 최대 도수 부하 전위 측정치 간에는 어떠한 선형 상관관계도 보이지 않았다. 전방 십자 인대 수상 후 검사시까지의 기간은 상기 어느 지표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Lysholm 점수는 전방 전위의 정도보다 슬관절부 근력 약화 정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사료된다. KT 20검사치 중에서는 최대 도수 부하 전위의 정도가 전방 십자 인대의 기능적 결손 정도를 가장 잘 반영해 주는 지표로 사료된다. 임상적으로 전방 전위가 더 심할수록 근력 약화가 더 심하다고 판단 할 수 없으며, 수상 후 시간이 더 지날수록 이에 따라서 근력 약화나 전방 전위의 정도가 더 심해지거나 Lysholm 점수가 더 나빠진다고 판단할 수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uthors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values of KT 2000 arthrometer, Cybex isokinetic test, and Lysholm knee score to reveal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their role in functional evaluation of ACL insufficiency.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with isolated ACL insufficiency were evaluated with KT 2000 arthrometer (15, 20, 30 lb. max, manual), Cybex isokinetic test (60 & 180˚/sec), and Lysholm knee scor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values of the tests. Results: The Lysholm knee scores had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with the values of KT 2000 of maximal manual difference (r=0.587, P<0.05). The Lysholm knee score had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with all the values of Cybex test of hamstring & quadriceps muscle weakness (r=0.585, 0.636, 0.656, 0.720,p<0.05). The degree of muscle weakness and maximum manual difference in KT 2000 did not show any linear correlation. The time lap between injury and evaluation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any of the above parameters. Conclusion: Lysholm knee score appears to be mostly influenced by the degree of muscle weakness than anterior displacement. The values of KT 2000 of maximal manual difference revealed to be best correlated with Lysholm knee score. The time interval after injury cannot be clinically correlated with muscle weakness of Lysholm knee score.

      • KCI등재후보
      • 대퇴 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 -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 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단순 방사선 소견 -

        하철원,성기선,박재철,Ha Chul-Won,Sung Ki-Sun,Park Jae-Chul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판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방사선 소견인 대퇴외과 절삭 징후(cut-off sign)를 관찰하여 이를 보고하고, 이의 진단적 의의를 특이도, 민감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와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관절경 시술로 확진 된 50예의 완전 원판형 연골군과 50예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Tunnel view에서 보이는 대퇴 외과와 내과의 내측부의 최장 길이를 측정하여 비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원판형 연골군에서 대퇴 내과부 길이와 외과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0.716 이였으며, 정상 대조군에서는 0.902 이었다. 이를 T-test로 분석했을 때, t-value는 -11.13 (p<0.0001)로 두 군간에 매 우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경계값(cut point)을 0.8로 하여 chi-square test로 분석했을 때 통계적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민감도 $76\%$, 특이도 $100\%$였으며, 양성 예측도 $100\%$, 음성 예측도 $80.6\%$로 나타났다. 절삭 징후는 육안적으로도 뚜렷한 차이를 보여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을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진단할 수 있는 매우 좋은 간접적인 소견이라고 생각한다. 결론 : 대퇴 외과 절삭 징후는 단순 방사선 검사의 Tunnel view에서 원판형 연골을 진단할 수 있는 좋은 방사선 소견이며, $100\%$의 특이도와 $100\%$의 양성 예측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진단소견으로 판단된다. Purpose : To report the 'condylar cut-off sign', a new radiographic sign in knees with discoid lateral meniscus and to repor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the sign to elucidate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the sign for discoid meniscus. Materials and Methods : Fifty knees with complete discoid lateral meniscus and fifty normal knees formed the basis of this study. All of them were arthroscopically confirmed fer the discoid or normal lateral meniscus. The authors developed a method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medial and lateral condylar were compare and analyzed. Results : Tile average ratio was 0.716 in the discoid meniscus group, and 0.902 in the normal group. The stastistical analysis by the T-test revealed the t-value -11.13(p<0.0001). Stastistical analysis by chi-square test using cut point 0.8,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76\%$ sensitivity, $100\%$ specificity, $100\%$ positive predictive predictive value and $81\%$ negative predictive value. The 'condylar cut-off sign' was readily detectable in all cases of discoid lateral meniscus, suggesting that the cut off sign could serve as a simple and reliable radiographic sign fur the diagnosis of discoid meniscus. Conclusion : The condylar cut-off sign on the Tunnel view of simple radiography of the knee can serve as a good sign for the diagnosis of discoid lateral meniscus, with $100\%$ positive predictive value.

      • KCI등재
      • 전방십자인대의 전내측 다발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는 새로운 수술 수기

        하철원,어수익,Ha Chul-Won,Awe Soo-Ik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2

        목적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에 수술 수기가 크게 어려워지지 않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을 각각 재건하고 별도로 긴장시켜 고정할 수 있는 수술 수기를 고안하여 재건슬을 시행한 결과, 해부학적 및 기능적으로 보다 정상에 가까운 전내측 및 후외측 다발의 긴장도를 갖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이 가능하였기에 그 수술 수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고식적인 관절 내시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동일한 기구를 사용하여 경골 및 대퇴골에 골터널을 만든다. 이때 경골부위의 골 터널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약간 타원형이 되면서 약 $5\~7$ mm 정도 앞뒤 족으로 확장되도록 한다. 이식을 위한 동종 아킬레스건을 다듬을 때, 대퇴골 터널 내에 들어갈 골 부위는 고식적인 경우와 같도록 하고, 경골부 터널에 들어갈 건 부위는 가능한 한 두껍게 준비하고, Y자로 두 개의 다발로 만들어 각각 봉합사를 이용하여 마무리, 준비한다. 두 개의 다발을 함께 준비용 수술용 탁자의 터널 내로 통과시켜보면서 두께를 확인하고 대퇴골 터널 내에 동종 아킬레스건의 골 부위를 관절경 시야에 삽입시킨 후 고정한 다음, 경골 터널의 원위부 바깥쪽에서 두 개의 다발을 봉합사와 함께 당기면서 슬관절을 굴곡-신전을 반복하여 신장시킨다. 슬관절을 약 90도 굴곡한 상태에서 전내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 후 다시 슬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후외측 다발을 최대한 긴장시켜 post-tie 방법으로 고정한다. 이후 2개의 다발사이로 끝이 둥근 유도핀을 삽입하여 관절경 시야에서 경골 터널 근위 입구에서 2개의 다발사이에 위치한 것을 최종 확인한 후, 흡수성 간섭나사를 이 핀을 따라 삽입하여 경골 터널 근위부 입구 직하부까지 전진시켜 좀더 견고한 고정을 얻으면서 전내측 및 후외 측 다발을 더욱 해부학적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 연골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있는 골 미성숙 환자의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하지부동이나 슬관절 정열이상이 없는 좋은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수 있는 지표로서 임상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세포독성물질로도 스테로이드 의존성을 없애거나 재발율을 낮출 수 없었던 스테로이드 의존성 This article is to report a new technique for reconstruction of the an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bundle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by separate tensioning and fixation of the each bundle. Method : Tibial and femoral tunnels were made with conventional techniqu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ibial tunnel was enlarged $5\~7$ mm in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o make oval it in cross section. When preparing the Achilles tendon allograft, bone plug portion was trimmed as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tendinous portion was trimmed as two separate bundles by dividing the tendinous portion longitudinally, so the graft is shaped like 'Y'. The bone plug portion of allograft was inserted into the femoral tunnel and fixed with absorbable cross pins. Two ligamentous portionss of the distal part of the grafts were tensioned separately at the external orifice. Anteromedial bundle was fastened under maximum tension with the knee flexed 90 degrees by post-tie method. The posterolateral bundle was fixed by the same technique with the knee in full extension. Then, an 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was inserted between the two bundles upto the upper end of the tibial tunnel, to get more initial rigidity of the reconstructed graft as well as to locate the two bundles in more anatomic posi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내측 불안정성에 대한 내측 측부인대 재건술

        하철원(Chul-Won Ha),황찬하(Chan-Ha Hwang),임경섭(Kyung-Sub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에 발생한 내측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로써 구속형 인공 슬관절을 사용한 재치환술이 일반적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구속형 인공 슬관절을 사용한 재치환술은 골 소실이 많아지고, 삽입물-시멘트 사이, 시멘트-골 사이의 스트레스 증가에 의한 조기 실패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내측 불안정성으로 내원한 40대 환자에게 동종 아킬레스 건을 사용하여 내측 측부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n absence or compromise of the medial collateral ligament that occurs after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is a challenging reconstructive problem. Treatment usually requires unlinked-con-strained total knee arthroplasty. Revision with unlinked-constrained prostheses often causes more bone loss and transmits increased stress to the bone-cement and prosthesis-cement interfaces, which can increase the risk of aseptic loosening. However, there are no treatment options other than constrained prostheses. We present a 47-year-old female who suffered from medial instability that occurred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by a medial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