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두동 골절 양상에 따른 치료

        하주호,김용하,남현재,김태곤,이준호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2009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Vol.10 No.2

        Purpose: Frontal sinus fractures are relatively less common than other facial bone fractures. They are commonly concomitant with other facial bone fractures. They can cause severe complications but the optimal treatment of frontal sinus fractures remains controversial. Currently, many principles of treatment were introduced variously. The authors present valid and simplified protocols of treatment for frontal sinus fractures based on fracture pattern, nasofrontal duct injury, and complication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36 cases of frontal sinus fractures between January, 2004 and January, 2009.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33.7 years. Fracture patterns were classified by displacement of anterior and posterior wall, comminution, nasofrontal duct injury. These fractures were classified in 4 groups: Ⅰ. anterior wall linear fractures; Ⅱ. anterior wall displaced fractures; Ⅲ. anterior wall displaced and posterior wall linear fractures; Ⅳ. anterior wall and posterior wall displaced fractures. Also, assessment of nasofrontal duct injury was conducted with preoperative coronal section computed tomographic scan and intraoperative findings. Patients were treated with various procedures includ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bliteration, galeal frontalis flap and cranialization. Results: 12 patients are group Ⅰ (33.3 percent), 14 patient were group Ⅱ (38.8 percent), group Ⅲ, Ⅳ were 5 each (13.9 percent). Frontal sinus fractures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zygomatic fractures (21.8 percent). 9 patients had nasofrontal duct injury. The complication rate was 25 percent (9 patients), including hypoesthesia, slight forehead irregularity, transient cerebrospinal fluid leakage. Conclusion: The critical element of successful frontal sinus fracture repair is precise diagnosis of the fracture pattern and nasofrontal duct injury. The main goal of management is the restoration of the sinus function and aesthetic preservation.

      • KCI등재

        추축 (Pivot Point)를 고려한 효과적인 관골 축소성형술

        하주호,김용하,김태곤,이준호 대한성형외과학회 2011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8 No.3

        Purpose: Reduction malarplasty is one of the common aesthetic procedures performed in the Orient. We have analyzed effective operative methods according to the pivot point for the osteotomy and reposition of the zygoma for reduction malarplasty after confirming the shapes of the individual zygomas. Methods: Thirty-six patients had been received malarplasty over the last 10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6 months. We categorized the pati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minent appearance features. Group I had a prominently protruded zygomatic body, group II had a prominently protruded zygomatic arch, and group III had a prominently protruded body and zygomatic arch. In the group I, two parallel oblique osteotomies on the body, the middle portion was removed, and with the zygomatic arch as the pivot point, the body was repositioned inwards. In the group II, the zygomatic body and arch osteotomy is performed, with the body as the pivot point, and the arch is depressed medially. In the group III, using the two aforementioned methods, the zygoma was repositioned medially. In each cas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atients satisfaction over the surgery were surveyed. Results: Each group had 25, 5 and 12 patients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found except for one patient who experienced a non-union of zygomatic bone. In the case of group I, four patients underwent a secondary operation. Conclusion: Reduction malarplasty is popular as an effective facial contouring surgery. In order to obtain more effective results,however, the zygomatic shape should be identified, and appropriately repositioned by different operative technique according to pivot points.

      • KCI등재후보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동기화가 고려된 통합 커서의 설계 및 구현

        김경환,하주호,원종필,이의성,김주민,손진호,Kim, Kyung-Hwan,Ha, Jo-Ho,Won, Jong-Pil,Lee, Uee-Song,Kim, Joo-Min,Son, Jin-Ho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11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6 No.3

        Android platform provides a content provider and a cursor mechanism to access the internal SQLite engine. Content providers not only store and retrieve data but also make it accessible to applications. Applications can only share data through content provider, since there's no common storage area that Android packages can access. Cursor is an interface that provides random read-write access to the result set returned by a database query. However, this cursor possesses two major limitations. First, a cursor does not support a join clause among cursors, since the cursor can only access a single table in the content provider. Second, the cursor is not capable of creating user-customized field in the predefined content provide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nified cursor architecture that merges several cursors into a single virtual cursor. Cursor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column windowing mechanism and virtual data management are the three major techniques we have adopted to implement our structure. And we also propose a delayed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an application and a proposed unified cursor. An application can create a user-customized field and sort multiple tables using a unified cursor on Android platform.

      • 포스터 14 : Anti-Jk(b)에 의한 혈관내 용혈성 수혈부작용 증례

        성성경,조희로,이상준,하주호,석주호,오승환,이자영,신정환,김혜란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5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5 No.-

        배경: 지연성 용혈성수혈부작용은 수혈이나 임신 등에 의한 1차 항원 노출 후 동일한 항원에2차 감작되면 기왕반응에 의해 항체의 역가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수혈된 적혈구를 용혈시켜 발생한다. 수혈 후 3~13일경에 원인이 불분명한 용혈이 나타나고 수혈 전에 없었던 단일 혹은 2종류 이상의 복합적인 비예기항체가 수혈 후에 검출되면 진단이 가능하다. Rh, Kidd, Duffy, Kell 등은 지연성 용혈성수혈부작용을 야기하는 비예기항체로 알려져 있고, 그 중 Kidd항체는 급성 용혈성수혈부작용도 드물게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도 수혈 후 용혈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에게서 anti-E와 anti-Jkb가 동정되어 복합항체에 의한 지연성 용혈성 수혈부작용 발생과 특히 anti-Jkb 에 의한 혈관내 용혈성 수혈부작용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환자는 60세 남성으로 타 병원에서 수혈 후 용혈성 반응이 의심되어 본원 응급실로 전원되었다. 내원 당시 수혈 후에도 혈색소치가 감소하였으며, 요 검사에서는 선홍색 혈뇨로 잠혈반응은 강한 양성이었으나 RBC는 관찰되지 않아 혈관내 용혈에 의한 혈색소뇨를 의심하였다. 환자의 혈액형은 A, RhD 양성이었고, 직접항글로블린 검사와 비예기항체 선별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LISS/Coombs법과 NaCl/Enzyme법을 병행하여 항체동정검사를 시행하였고, 동정 결과는 anti-E 와 anti-Jkb였다. 수혈 전 7.3 g/dL이었던 Hb수치는 E항원과 Jkb항원 음성 농축적혈구를 선별하여 2 단위를 수혈한 후 10.3 g/dL로 상승하였고 수혈 6일 후11.5 g/dL로 유지되어 퇴원하였다. 결론 및 고찰: 급성 용혈성수혈부작용을 보이는 혈관내 용혈은 anti-A나 anti-B에 의한 경우가가장 많지만 Kidd 항체에 의한 경우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Kidd 항체는 2차 감작에 의한 기왕반응으로 항체가 급격히 증가되는 특징을 갖고 있고, 지연성 용혈성수혈부작용의 원인이되는 대표적인 항체로써 심한 혈색소뇨를 보이지만 신부전증을 초래하는 경우는 드물다. 상기 환자는 이전 병원에서 1차 수혈 후 동종항체 anti-E와 anti-Jkb가 생성되었고 2차 수혈 시 그 항체로 인해 용혈이 일어나 선홍색의 심한 혈색소뇨와 용혈성 빈혈 증상을 보였지만, E와 Jkb항원이 없는 적혈구 수혈 후 용혈이 나타나지 않아 anti-Jkb에 의한 혈관내 급성용혈성수혈부작용의 예로 볼 수 있겠다. Rh, Kidd, Duffy, Kell 등은 수혈부작용을 야기할수 있는 항체이므로 이러한 항체가 동정된 경우에는 해당 적혈구 항원이 없는 혈액을 선별하여 수혈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상기 환자와 같이 심한 혈색소뇨와 용혈성빈혈이 있어 수혈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에는 과거 또는 타 병원에서의 수혈경험을 조사하여 수혈에 의한 용혈 반응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고, 무엇보다 정확한 항체동정과 그 항체에 대응하는 항원이 없는 혈액을 선별하여 수혈하는 것이 수혈에 의해 야기된 증상을 신속히 치료하고, 추후 일어날 수 있는 수혈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포스터 15 : 효소처리 혈구2에서 반응이 사라진 Anti-Jkb의 검출 사례

        성성경,조희로,이상준,하주호,석주호,오승환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5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5 No.-

        배경: Kidd 항체는 신생아용혈성질환과 지연성 용혈성 수혈부작용을 일으키는 주요 면역항체로 약 50%는 보체와 결합하며, 항원의 2차 감작에 의해 역가가 급격히 상승하고, 항원 자극이 없어지면 역가도 급감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papain이나 ficin과 같은 단백분해효소를, 처리한 적혈구와의 반응성이 증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원 비예기항체 동정검사에서 효소처리에 의해 반응이 없어진 anti-Jkb 가 동정된 경우는 처음이므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환자는 남자, 60세로 타 병원에서 용혈성 빈혈이 의심되어 본원 응급실로 전원되어 왔고, 수혈을 위해 혈액형 및 비예기항체 선별검사를 실시하였다. 혈액형은 A, RhD 양성이었고, 비예기항체 선별검사에서 양성의 결과를 보여 LISS/Coombs법과 NaCl/Enzyme법을 병행하여 항체동정검사를 시행하였다. 동정된 항체는 anti-E 와 anti-Jkb 였는데 anti-E는 효소법에서 반응이 증강되었으나 anti-Jkb 는 반응이 소실되었다. 효소법에서 반응이 사라지는 anti-Jkb는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하였기에 시약의 lot를 달리하여 혈청으로 재검하였고, 보체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EDTA혈장으로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청으로 검사한 반응은 두 lot 모두 동일하게 효소법에서 반응이 사라졌고, EDTA혈장을 사용한 효소법에서는 LISS/Coombs법보다 약화된 응집반응을 보였다. 환자 적혈구 표현형 검사에서는 C항원 양성, c항원 dcp, E항원 음성, e항원 양성(3+), Jka 항원 양성(4+), Jkb항원 음성이었다. 결론 및 고찰: Kidd 항체는 매우 흔하게 지연성 용혈성 수혈부작용을 야기한다. 특히 2차 감작에 의한 기왕반응으로 항체가 급격히 증가되는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심한 급성 용혈성수혈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어 위험하다. Rh, Kidd, Kell 등과 같은 항체는 효소처리에 의해 반응이 강해지고, 효소처리에 의해 반응이 없어지는 항체는 Duffy, MNS, Xg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Kidd 항체 중에서 anti-Jka 도 효소처리한 적혈구와 반응하지 않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고, 본원에서도 여러 차례 경험하였다. 그러나 효소법에서 반응이 사라진 anti-Jkb 는 처음 검출된사례여서 재검을 실시하였다. 혈청을 사용한 효소법에서 반응이 사라졌던 항체도 EDTA 혈장을 사용한 효소법에서는 반응이 나타났다는 몇몇 보고가 있고, 본원의 경우도 EDTA혈장을 사용했을 때 강도는 약하지만 반응이 나타났으므로, 항체동정검사에 사용하는 검체는 혈청보다는 EDTA 혈장이 보체와 결합할 가능성이 있는 항체를 동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두개골 성형술에서 석고와 신속조형모델을 이용한 간단한 Methylmethacrylate 삽입물 제작법

        박기린,김용하,김태곤,이준호,하주호,Park, Ki Rin,Kim, Yong-Ha,Kim, Tae Gon,Lee, Jun Ho,Ha, Ju Ho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2012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Vol.13 No.2

        Purpose: Methylmethacrylate is the most commonly used alloplastic material in cranioplasty. However during the polymerization of methylmethacrylate, a significant exothermic reaction takes place. This reaction may result in thermal injury to the brain tissue and other soft tissues. Also it is difficult to make three-dimensional methylmethacrylate implant that is perfectly matched to the defect during the operation time. We report on the molding technique of methylmethacrylate implant using plaster mold and the rapid prototyping model in cranioplasty. Methods: A 44-year-old male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for severe frontal hollowness. He was involved in an automobile accident resulting in large frontal bone defect with irregular margin. The preformed patient-specific methylmethacrylate implant was made using plaster mold and the rapid prototyping model before the operative day. The methylmethacrylate implant was placed in the frontal defect and rigidly fixed with miniplates and screws on the operative day. Results: The operation was performed in an hour. In the 6 months follow-up perio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cranioplasty. Conclusion: Safe cranioplasty was performed with the preformed patient-specific methylmethacrylate implant using plaster mold and the rapid prototyping model. The result of this method was satisfactory,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