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 감퇴 정도에 따른 사회 활동 참여의 변화: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하정화 ( Jung Hwa Ha ),정은경 ( Eun Kyung Chung ),정은석 ( Eun Seok Je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기능의 심각한 또는 경미한 저하가 종교 활동, 여가/스포츠활동, 기타 사회 활동 등을 포함한 사회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영향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의2006년과 2010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사 참여자를 MMSE-K 점수에 따라 24점 이상인 경우는 인지기능정상 집단(집단1)으로, 18점 이상 23점 이하인 경우는 가벼운 인지기능 저하 집단(집단2)로, 17점 이하인 경우는 심각한 인지기능 저하 집단(집단3)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2006년에 집단1에 속해 있었으나 4년 후 집단2 혹은 집단3에 속하게 된 조사 참여자들이 4년간 정상 인지 기능을 유지한 집단과 비교해 사회활동 참여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에서는 인지기능 집단별 사회활동 참여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1차시 사회활동 참여 정도를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기능의 저하는 경증이든 중증이든 관계없이 사회활동 참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가벼운 인지기능 저하 시에만 유의미했으며 여성 노인의 사회참여가 남성 노인의 사회참여에 비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지기능 저하가 발생하더라도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를 유지하기 위한 서비스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his study examined: (1)the effects of a cognitive decline on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including religious activities, leisure and sports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and (2)the extent to which these effects differ by gender. Analyses are based on data from the 2006 (Time 1; T1) and 2010 (Time 2; T2) waves of KLoSA.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ing was assess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 (MMSE-K). A participant with an MMSE score of 24 or above was considered as having a normal cognitive functioning (Group 1), a score of 18-23 as having mild cognitive problems (Group 2), and a score of 17 or less as having serious cognitive problems (Group 3). We included in the analytic sample only those who showed normal cognitive functioning at T1, and examined how transitions from Group 1 at T1 to either Group 2 or 3 at T2 influenced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at T2, controlling for social participation at T1. Results showed that both groups showed lower levels of social participation, compared to those who maintained normal cognitive functioning. Gender difference was significant only among those who experienced a mild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ing (from Group 1 to Group 2). Women wer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a cognitive decline than men.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social services that could help older adults maintain their social integration despite their cognitive problems.

      • KCI등재

        치매·인지 기능 저하에 따른 사전 돌봄 계획(Advance Care Planning)의 필요성과 실천 과제

        하정화 ( Ha Jung-hwa ),이창숙 ( Lee Changsook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치매 돌봄 또는 호스피스 관련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치매가 있는 사람들의 사전 돌봄 계획에 대해 어떤 견해를 가졌는지 살펴보고, 이와 같은 제도가 우리 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정착 및 활용되기 위해서 어떠한 점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호스피스 또는 치매 돌봄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7명을 심층 면담하였으며, 주제별 분석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건강할 때 당사자 스스로 돌봄에 대한 의사를 결정할 수 있으며, 사전에 미래를 준비하여 안정감을 느끼고,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치매·인지 기능 저하에 따른 사전 돌봄 계획의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그러나 당사자 및 가족이 느끼는 인지 저하와 신체적 죽음간의 거리감, 치매로 인한 의사 파악의 어려움, 죽음을 회피하는 문화, 현장의 준비 및 제도의 실효성 부족 등으로 본 제도의 현장 적용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앞으로 치매로 인한 사전 돌봄 계획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치매 초기 돌봄 관련 희망 사항 및 의사 파악, 가족 간의 의사소통 및 가족에 대한 심리적 지원, 죽음에 대한 친숙한 문화 조성, 그리고 제도적 기반 마련 등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Despite growing attention to dignified death and end-of-life care decision making in Korea, little effort has been made to help persons with dementia (PwD) and their family caregivers engage in advance care planning (ACP) or discussions on end-of-life care. This study examined the felt needs for ACP among social workers working with PwDs and their families and th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introducing and utilizing ACP in dementia care.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social workers who work at day care centers (n=2), hospitals (n=3), and nursing homes (n=2) in Seoul and its vicinity in South Korea. Participants viewed ACP as a useful tool to engage individuals with dementia in decision making before they lose cognitive abilities. However, they pointed out many obstacles in implementing ACP, such as ‘gap between cognitive and physical death,’ ‘difficulty in assessing decision making capacity among inidividuals with dementia,’ ‘death-avoiding culture,’ and ‘people’s reluctance to discuss end-of-life care issues when individuals with dementia have decision-making capacity.’ Participant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ACP to be helpful for persons with dementia, various individual, family, cultural, and societal-level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its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硏究論文) : 전통문화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정화 ( Jung Hwa Ha ),김진강 ( Jin Kang Kim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1

        본 연구는 전통문화체험에 대한 체험요소를 Pine & Gilmore(1999)가 개발한 고객의 참여의 정도와 형태에 따라 구별되는 4가지 영역의 체험인 오락, 교육, 일탈, 미적의 4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전통문화체험을 실시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이들 관계에서 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한 결과 체험요소 중 오락, 교육, 미적체험만이 재방문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험요소별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미적 체험요소, 교육적 체험요소, 오락적 체험요소의 순으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탈적 요소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체험요소가 재방문의도의 관계에 있어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는데 검증결과 만족은 체험요소 중 오락적 체험요소, 교육적 체험요소, 일탈적 체험요소와 재방문의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오락적, 교육적, 일탈적 체험요소와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에서 만족이 높으면 재방문의도도 높아진다 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락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매우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변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미적 체험요소와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만족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만족을 하지 않더라도 미적 체험요소에 만족하면 재방문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통문화체험프로그램을 개발 시에는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한 다른 지역 및 문화와 차별된 프로그램 및 시설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Korean tourists who have experienced traditional culture activiti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elements and revisit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satisfaction in this relationship. Experiential elements consist of four dimensions of Pine and Gilmore(1999), including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and estheti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ee among four experiential elements, namely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sthetic positively affected revisit intention. Specifically, esthetic had the biggest impact on revisit intention, followed by education and entertainment, while escapis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visit intention. Second, satisfa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ree of four elements (entertainment, education, escapist) and revisit intention. This implies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revisit the site when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associated with entertainment, education, and escapist. But satisfaction onl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sthetic and revisit intention. This means that esthetic could directly influence revisit intention although they do not satisfied with the activity. The current results indicate that to develop distinguished programs of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developers should focus on how tourists experience esthetic.

      • KCI등재
      • KCI등재

        젠더 정체성을 통한 여성기자의 이미지 고찰 - 부산 여성기자를 중심으로 -

        하정화 ( Jeong Hwa H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지역 언론사에서 가시적, 비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성차별의 특징들을 여성주의 개념 속에서 규명하고, 언론사 내부와 지역 사회 기저에 깔려 있는 다양한 성차별에 맞서고 있는 여성기자들의 젠더 정체성과 이미지를 분석한 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인터뷰를 선택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전 현직 여성기자, 남성기자 등 1년부터 20년의 경력의 기자들이다.언론 조직과 일상생활에서의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젠더화된 문제의식을 가지게 해주는 한편, 여성기자로서의 정체성과 이미지에도 변화를 가져다준다. 여성기자는 남성 중심의 언론 조직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대개의 경우 젠더에 대한 인식을 배제한 채 기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남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드러냈다. 아니면 ‘여성’이라는 인식과 ‘기자’라는 역할 사이에서 선택적 공존을 하는 여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보이기도 했다. 어느 단계에서는 여성기자로서의 융합을 보이는 가운데 젠더 정체성, 즉 페미니스트 기자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다중적인 여성기자 이미지는 젠더에 대한 인식, 성차별 경험 정도, 기자 경력 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여성기자가 ‘기자’가 아닌 ‘여성기자’로 불리는 것을 거부하게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산 지역 제1세대 여성기자들에게 여성기자로서의 인식을 투철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페미니스트 정체성을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Female reporters are professional workers as producers of media content and are also opinion leaders.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female professionals are handicapped by their gender in their workplace. They experience gender issues in a social framework of patriarchy.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reporters force them to change their identity. From the start, females could hardly be found in the field of media and they tended to display the identity of a neutral sex, neither of a man or a woman,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circumstances. However over time, they felt confused between their identity of a reporter and a woman. The levels of their gender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vary depending on their careers. Furthermore, they put feminism into practice as an owner of their own life while addressing loc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with self-consciousness as female reporters.In this article I will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t types and causes of discrimination and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address this inequality and carry out feminism in the local area of Busan. This will be conducive to improving the situation and voicing women's rights as a representative subject. This study on a local area and local people criticizing and opposing social gender discriminat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studies of women’s issues.

      • KCI등재

        홀로 사는 노인의 독거생활에 대한 자발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황소연(Hwang So Yeon),하정화(Ha Jung Hwa)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1

        본 연구는 홀로 사는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독거생활에 대한 자발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횡단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 중 독거가구 노인이면서 생존 자녀가 있는 1,92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Baron & Kenny(1986)의 인과적 단계접근법을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독거노인의 거주 자발성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거주 자발성은 자녀관계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관계 만족도는 독거노인의 거주 자발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거주 자발성이 독거노인의 우울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노인과 자녀관계에서도 긍정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거주 자발성이 높을수록 자녀관계 만족도가 높아져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독거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전 예방적 개입과 독거 전후 노인을 대상으로 거주 자발성을 사정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1) whether voluntarily choosing to live alone affects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Data were acquired from the National Survey on Korean Older Persons(2011). The analytic sample includes 1,926 older adults who are living alone and have had children. Multiple regression model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older adults who voluntarily chose to live alone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than those who did not. Second, these older adults also showed more postive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Third, parent-child relat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work as a protective factor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s. Thus, assessing the level of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among the elderly before or after living alone can help practitioners develop preven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ecreas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Further, our finding that voluntariness in residential decisions affect older adults’depression through improved parent-adult child relationship suggests that maintaining control over residential choice can enhance not only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but also their relationship with adult children.

      • KCI등재

        세계화와 에스닉 갈등

        장희권(Jang, Hee-Kwon),하정화(Ha, Jeong-Hwa)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1 국제학논총 Vol.15 No.-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nflicts in the age of globalisation especially occurred by ethnic differences. Hereby we ask why the process of globalisation functions in fact as a cause of various ethnic conflicts, inspite of the expectation that it will bring the diverse races into a harmonious coexistence in a ‘global villiage’. Furthermore we discuss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ethnic majority and minority against the sociological and cultural background.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negative image of the others is by the propaganda of media assembled, manipulated and widely spreaded. A distorted image of the others contributes by the ethnic majority to have a antipathy against the ethnic minority and finally to show their aggressive behavior. Using the examples of two films Hotel Rwanda and The Blood Diamond, we could see everyday life in the Third World in which the ethnic conflicts are easily escalated into a civil war.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허선영(Sun-Young, Heo),하정화(Jung-Hwa, Ha)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관계 내에서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 종단적 상호관계가 어떠한지 탐색하는 데 있다.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하고 부부자료를 하나의 모형에서 분석하기 위해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과 공통운명모형(Common Fat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변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0차 년도(2015년)부터 13차 년도(2018년)까지의 4개년도 자료로 부부자료(dyadic data)를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5년 기준 60세 이상인 부부 1,383쌍(2,766명)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남편 우울, 아내 우울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관계만족도가 남편 우울에 미치는 영향보다 아내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 우울 수준과 아내 우울 수준은 부부 공통의 관계만족도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가 상호순환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관계만족도의 저하와 우울의 증가라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년기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의 개선을 위해서 부부 단위의 개입과 부부 각자에 대한 개별적 접근을 병행해야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For longitudinal dyadic analysis, this study sets up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Common Fate Mode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Data came from four annual waves from the 10th year (2015) to the 13th year (2018)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and the final sample comprised a total of 1,383 married couples over 60 years of age in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dent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wi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of older couples leading to low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and with high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inducing low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couple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an lead to a vicious cyc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to intervene at both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couple level was discuss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