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사야 61장을 통해서 본 ‘선교적 제자도’

        하경택(Kyung Taek Ha)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0 No.-

        본 논문은 이사야 61장에 대한 주석을 토대로 얻을 수 있는 ‘선교적 제자도’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발언의 주체와 대상을 표현하는 인칭대명사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구조분석을 통해 61장에 속한 네 단락의 의미가 고찰된다. 첫 번째 단락(1-절)에서는 한 사람 야훼 종의 부르심을 통해 온 공동체가 변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가난한 자들에게 전해지는 복된 소식을 통해 ‘마음이 상한 자들’, ‘포로된 자들’, ‘갇힌 자들’, ‘우는 자들’이 자유와 회복을 맛보고 위로를 얻는다. 두 번째 단락(5-7절)에서는 회복되는 이스라엘 공동체는 열방과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된다. 그들의 새로운 관계는 서로를 유익하게 하는 상생의 관계요, 함께 기쁨을 누리는 공존의 관계이다. 세 번째 단락(8-9절)에서는 여기에는 야훼께서 어떤 분이신가가 소개되어 있고, 그분이 약속하신 바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를 보여준다. 네 번째 단락 (10-11절)에서는 첫 번째 단락의 ‘야훼의 종’의 소명과 활동을 통해서 선포되고 구현된 하나님의 구원이 그 구원을 경험한 자를 통해 구원에 대한 감격과 감사의 응답을 이끌어낸다. 야훼의 종 ‘나’가 또 다른 야훼의 종 ‘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는 열방들 앞에서 야훼의 ‘공의’와 ‘찬양’을 이끌어내는 또 다른 야훼 종의 역할을 감당할 것이다. 이사야 61장에 대한 주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선교적 제자도에 대한 교훈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로, ‘야훼의 종’으로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둘째로, ‘의의 참나무’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셋째로, ‘제사장’과 ‘봉사자’로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넷째로, ‘구원의 증인’으로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이 모든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가장 완전하게 실천된다. 따라서 이사야 61장의 선교적 제자도를 실천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가는 제자도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plores “missionary discipleship” based on the exegesis of Isaiah 61. The meaning of the four paragraphs in Chapter 61 is examined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and accurate recognition of changes of personal pronouns that express the subject and object of speech. In the first paragraph (vv. 1-4), we see the whole community changing through the call of one servant of Yahweh. Through the good news to the poor, the brokenhearted, the captives, the trapped, and the crying ones enjoy freedom and recovery. In the second paragraph (vv. 5-7), the restored Israeli community has a new relationship with the nations. Their new relationship is a win-win relationship that benefits each other and a symbiotic relationship that rejoices together. The third paragraph (vv. 8-9) introduces who Yahweh is and how His promises will be done. In the fourth paragraph (vv. 10-11), the salvation of God proclaimed and embodied through the vocation and activity of the servant of Yahweh in the first paragraph leads the response of gratitude and thanksgiving through those who have experienced it. “I” as Yahweh’s servant creates another “I” as Yahweh’s servant. He will take on the role of another Yahweh’s servant, leading Yahweh"s justice and praise before the nations. An exegesis on Isaiah 61 provides the following lessons about missionary discipleship. First, it is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a servant of Yahweh. Second,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oak of righteousness.” Third,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a “priest” and a “servant.” Fourth,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a witness of salvation. All of this is done most fully in the life and work of Jesus Christ. Hence, the practice of missionary discipleship in Isaiah 61 is also to be a follower of Jesus Christ.

      • KCI등재

        야훼 유일신 신앙의 형성 과정에 관한 소고

        하경택(Kyung-Taek Ha)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5 No.2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고대 이스라엘은 종교사에서 더는 독보적인 존재가 아니다. 이스라엘 신앙은 고대 중동 세계의 일원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 작용의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주변 국가들의 것들과 구별되는 것은 이스라엘의 신앙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는 “야훼-유일신 신앙”이다. 족장 시대의 종교 상황을 보여주는 창세기 12-50장에는 비교적 개방적이고 포괄적인 신앙관이 엿보인다. 모세 시대의 야훼 신앙은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 경험과 긴밀한 관계에 있다. 야훼 신앙은 그 이전에 있었던 족장 신앙의 전통을 이으면서도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적 경험과 함께 존재한다. 우리는 야훼의 “고향”(home)을 언급하는 시문들에서 야훼 신앙의 기원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신 33:2; 삿 5:4-5; 시 68:7-8, 17-18; 합 3:3). 이스라엘의 왕정 시대에는 예언자들에 의해서 주도된 “야훼-유일신 신앙-운동”이 있었다(참조. 암 3:1-2; 9:7; 호 2:14; 12:10; 13:14). 이 운동의 배경에는 왕정과 외부 세력의 위협이 있었다. 이 운동을 통해 야훼는 점점 주변 국가들의 신들에 대항하는 하나님(“anti-god”)으로서 위치를 확고히 한다. 이스라엘과 유일한 방식으로 연결된 야훼에 대한 신앙 고백에서 외세의 압력과 영향에 대항하여 정치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얻는다. 배타적 유일신 신앙은 포로기의 위기에 대한 응답으로 나타난다. 예루살렘의 멸망은 야훼의 무능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계 역사를 주도하는 우주적인 유일하신 하나님의 행동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야훼에 대한 배타적 유일 신관은 창조 신앙을 전제로 하며, 포로기 경험으로 확립되었다. 배타적인 유일신 신앙은 포로기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는 본문들, 특히 제2이사야 본문(사 40-55장)에서 잘 나타난다. 구약 성서에 나타난 야훼 신앙의 모습은 오늘날 독자들에게 자신들이 서 있는 삶의 현장과 토양을 저버리지 않으면서도 새롭게 만나는 도전과 위협에 적절하게 응답하기를 주문한다. In recent studies, ancient Israel has lost its special position in the history of religion. We can perceive the traces of polytheism in the Hebrew Bible and recognize how YHWH took up little by little the qualities of other gods and so extended his “God-competence” Nevertheless, YHWH-monotheism is the incomparable character of Israel’ religion. The Old Testament shows that YHWH-monotheism is a “product” of a continuing discussion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patriarchal age(Gen 12-50) the viewpoint about God is relative open and comprehensive. The revelation of YHWH’ name to Moses is a momentous event and Israel’ faith in YHWH is closely related to the exodus-experience of Israel. We can find the clues to the origins of YHWH-religion in the poetic texts that refer to the “home” of YHWH(Deu 33:2; Jdg 5:4-5; Ps 68:7-8, 17-18; Hab 3:3). In the period of Israel’ monarchy there was an “YHWH-alone-movement” (“JHWH-allein-Bewegung”) spearheaded by the prophets(e. g. Elijah, Hosea, Amos) on the threats from outside(in Assyria 8./7. BC). In the movement YHWH was profiled increasingly as “anti-god” against gods of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confession of YHWH which has tied itself in a unique way to Israel they find the driving forces of political resistance against foreign oppression and influences. The exclusive monotheism appears definitely in the texts in which the conditions of life in exile were reflected, especially so called Deutero-Isaiah(Isa 40-55). The loss of the monarchy and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resulted in the demand for an exclusive YHWH-monotheism. From this study we realize that each day and age is an opportunity to pick up the threads of the discussion about God and to continue this.

      • KCI등재

        욥과 욥기의 문제

        하경택(Kyung Taek Ha) 한국기독교학회 200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31 No.-

        Das Hiobbuch gilt als eines der schwierigsten Bucher im Alten Testament. Die Schwierigkeiten der Interpretation liegen auf zwei Ebenen, auf der Literarisch - Kompositorischen und Theologisch - Thematischen. Es zeigt eine Vielschichtigkeit in der Gestalt und handelt von der Schwierigkeit, daβ es in der theologischen Tradition als eine sog. "Theodizee" konzipiert worden ist. Ein U‥berblick zeigt die wichtigsten Themen inf der Forschungsgeschichteuber das Buch: 1. Philologische und textkritische Analyse 2. Studien zu altorientalische "Hiobtexte" 3. Literar-kompositionskritische Studien 4. Drei Interpretations - Hauptlinien des Hiobbuches nach der literarischen Gattung(weisheitlich, psalmistisch und juridisch) 5. Auslegungsversuche des Buches in der literarischen Einheit 6. Studien zu einzelnen Themen Die Hiobforschung im letzten Jahrhundert hat eine Fu‥lle von Forschungsinteressen hervorgemfen, die natu‥rlich auch zeigt, inf welchem Radius man sich bei der Forschung bewegt. Es geht von der kleinteiligen, literarischen Analyse bis zur Auslegung des Hiobbuches als ein literarisch-einheitliches Buch und von der Entstehungsgeschichte des Hiobbuches bis zu seiner Rezeptionsgeschichte. Aber "die Interpretation" des Buches fehlt bis heute. Diese Studie mo‥chte helfenm den Verstechenshorizont des Buches zu erweiterm. Hiob verseht sich na‥mlich auch als unser Zeitgenosse, der uber seine Existenzfragen ringt. Dadurch findet sich die Lo‥sung des "Hiobproblems" vor allem in der Auseinadersetzung, im Streiten Hiobs "mit" Gott, so wie es das Buch selbst aufzeigt.

      • KCI등재

        “이스라엘의 찬양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 – 드라마 구성적 관점으로 본 시편22편

        하경택(HA Kyung-Tae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2

        본 논문은 시편 22편을 드라마 구성적 관점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드라마 구성적 관점에서 보면 시편 22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국면을 갖춘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시편으로 이해된다: ‘탄원 기도의 상황’(1-21전반절), ‘감사 찬양의 상황’(21후반절-26절), ‘종말론적인 구원과 찬양의 상황’(27-31절). 이러한 구성 속에서 드러나는 시편 22편의 중심주제는 ‘이스라엘의 찬양에 거하시는 하나님’이다. 1연과 2연에서는 이 고백이 탄식의 토대요, 청원의 출발점으로 기능한다. 왜냐하면 화자의 상황이 ‘이스라엘의 찬양’에는 어울리지 않는 하나님의 ‘멀리계심’과 ‘응답 없음’으로 경험되기 때문이다(1-2절). 그러나 3연에서는 이 중심주제가 하나님의 실제 모습으로 확인된다. 시편의 화자는 탄식과 청원에 응답하신 하나님을 경험한다(21후반절). 하나님의 응답을 경험한 화자는 찬양의 서약과 요청을 통해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찬양에 거하시는 분’임을 입증한다. 3연에서 회중(이스라엘)은 ‘야훼/그를 경외하는 자들’, ‘야곱/이스라엘의 모든 씨들’, ‘궁핍한 자/가난한 자들’, ‘야훼를 찾는 자들’ 등의 다양한 명칭을 통해서 명명된다(22-23절, 25-26절).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가난한 자들’의 부르짖음에 응답하시는 ‘가난한 자의 하나님’이시다(24절). 4연에서는 ‘회중’의 범위를 벗어나는 찬양의 확대가 진술된다. 그것은 공간적인 차원과 시간적인 차원 모두를 망라하는 찬양의 확대이다. 이스라엘의 찬양은 민족의 경계(27-28절)를 넘어설 뿐만 아니라 죽음의 경계(29-31절)도 넘어선다. 시편 22편의 세 국면 모두 신약성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사역을 증언하는 예언으로서 인용되고 해석된다. 이러한 신약성서의 수용을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시편 22편의 화자인 ‘가난한 자’를 대변한다. 하나님은 부활과 승천을 통해 ‘가난한 자’ 예수의 탄식에 응답하시고, 경계를 넘어서는 찬양을 가능하게 하신다. 결과적으로 시편 22편을 인용하고 실행하는 예수 그리스도는 자신의 삶과 사역을 통해서 ‘이스라엘의 찬양에 거하시는 하나님’을 증언한다. 또한 시편 22편의 독자들은 이 시편이 자신의 이야기가 되게 함으로써 ‘이스라엘의 찬양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을 증언하는 ‘가난한 자’의 삶으로 초대된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Psalm 22 from the perspective of drama composition. From a drama compositional point of view, Psalm 22 can be understood as a psalm showing a scenario with three phases: ‘situation of petition prayer’ (vv. 1-21a), ‘situation of thanksgiving praise’ (vv. 21b-26), and ‘situation of eschatological salvation and praise’ (vv. 27-31). The central theme of Psalm 22 revealed in this composition is the “God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In the first and second stanzas, this confession serves as both the basis for lament and the starting point for petitions. This is because the speaker experienced God"s “distance” and “silence”, which is not suitable for “Israel"s praise” (vv. 1-2). However, in the third stanza, this central theme is confirmed as the reality of God’s presence. The speaker of the psalm experiences God, who responds to laments and petitions (v. 21b). The speaker who has experienced God"s response proves that God is “the one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through the pledge and request of praise. In the third stanza, the congregation (Israel) is named through various designations such as ‘those who fear Yahweh/him’, ‘all the seeds of Jacob/Israel’, ‘the needy/poor’, and ‘those who seek Yahweh’ (vv. 22-23, 25-26). The God of Israel is the “God of the poor” who answers the cry of the “poor” (v. 24). In the fourth stanza, the expansion of praise beyond the scope of “congregation” is stated. It is an expansion of praise that covers both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The praise of Israel goes beyond the borders of the nation (vv. 27-28), as well as the limits of death (vv. 29-31). All three aspects of Psalm 22 are quoted and interpreted in the New Testament as prophecies testifying to the life and ministry of Jesus Christ. Following this New Testament reception, Jesus Christ represents the “poor”, the speaker of Psalm 22. Through resurrection and ascension, God responds to the lamenting of Jesus, the “poor,” and enables praise beyond boundaries. As a result, Jesus Christ, who quotes and practices Psalm 22, testifies to "God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through his life and ministry. In addition, readers of Psalm 22 are invited to the lives of the “poor” who testify to “God who dwells in the praise of Israel” by making this psalm their own story.

      • KCI등재

        아브라함과 선교

        하경택(Kyung-Taek Ha)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29 No.-

        본 논문은 구약성서에 나타난 선교의 모델에 관한 연구이다. 아브라함의 삶을 통해 나타난 선교의 특징과 의의를 보여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선교(mission)는 어원상 ‘보냄’과 ‘사명’의 의미가 있다. 이러한 선교의 정의를 통해 선교는 본질상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이고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전파하는 것임을 알게 된다. 구약성서는 창조주이신 하나님이 열방을 구원하시려는 계획 가운데 이스라엘을 택하신 하나님의 사랑이야기이다. 이스라엘 존재 자체가 선교를 지향한다. 약속의 땅을 차지하는 것도 이스라엘의 번영과 유배까지도 열방을 위한 하나님의 선교에 이바지한다. 아브라함의 삶을 통해 나타나는 선교의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아브라함은 ‘부르심에 응답’함으로 선교에 임했고, 보내진 곳에서 ‘삶’으로 선교에 임했으며, 중보자로서 ‘기도함’으로 선교에 임했다. 아브라함의 삶은 ‘믿음’이라는 말로 요약된다. 그의 모든 삶은 ‘네 안에서 열방이 복을 얻을 것이다’(창 12:3)는 약속에 대한 믿음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아브라함의 믿음은 삶의 여러 과정을 통해 성숙되고 다듬어져야 했다.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은 하나님의 선교의 기본계획이다. 아브라함의 복은 열방이 복을 얻게 될 때 이루어진다. 아브라함의 신앙전승을 이어가는 사람은 모두 아브라함의 사명을 감당하게 된다. 예수 그리스도가 그러한 삶의 모범을 보여주셨고 제자들에게 그러한 삶을 살도록 위탁하셨다. 이제 ‘열방을 위한 복’이나 ‘이방의 빛’을 위한 삶은 예수의 제자들인 그리스도인들과 예수 제자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감당해야 할 사명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model of mission in the Old Testament. The aim of the study is to show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s of the mission appearing through the life of Abraham. The word ‘mission’ etymologically has two meanings which are ‘sending’ and ‘assignment’. By definition, it is clear that mission, in essence, is ‘Missio Dei’ and to preach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The Old Testament is the love story of God and that the Creator has chosen Israel for the purpose of salvation of all nations. Thus, the very existence of Israel is for the mission. The occupation of the Promised Land, the prosperity of Israel, and even Israelites’ Exile to Babylon contributed to the mission of God for the nations. The features of mission appearing through the life of Abraham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Abraham accomplished his mission by ‘responding to the calling’, by ‘living’ in the designated place, and by ‘praying’ as a mediator. The life of Abraham is summarized by the word ‘faith’. His whole life is based on the faith in the promise of God that “In you all nations will be blessed” (Gen 12:3). However, Abraham’s faith had to mature and deepen through various stages of his life. The Promise of God to Abraham is the basic plan for Missio Dei. The blessing of Abraham will be achieved when all nations are blessed. All the people who are in the tradition of Abraham’s faith bear his mission. Jesus Christ showed us the example of the life of God’s mission and entrusted his disciples with such a life. Now the life for ‘the blessing of the nations’ or ‘Light of the Gentiles’ is the mission of the Christians who are the disciples of Jesus Christ, and the churches which are the communities of Jesus’ disciples.

      • KCI등재

        코헬렛의 마지막 교훈(전 11:9-12:7)으로 보는 전도서의 신학

        하경택(Kyung-Taek Ha) 한국구약학회 2021 구약논단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final lesson of the Qohelet and to explore the theological meaning of Ecclesiastes. Qohelet’s final lesson (11:9-12:7) is, as the culmination of Ecclesiastes, a summary and synthesis of Ecclesiastes’ theology. Qohelet’s final lesson is condensed into two imperatives. One is ‘to rejoice in the days of youth’ and the other is ‘to remember the Creator.’ The first command is, in other words, a lesson to live a “life of joy.” Qohelet emphasizes that the life of joy should be “a way of walking in the ways of the heart and in the sight of the eye” (v. 9). It also emphasizes that such a life of joy is possible when a healthy life is maintained by removing the heart of ‘anger’ and eliminating ‘the bad’ from the body (v. 10). The second command is, in other words, a lesson to live a life of walking with God. This life with God is not always allowed. These limits are expressed through the emphatic occurrences of the lexeme “before” three times (vv. 1, 2, 6). The life of remembering the Creator leads us to the life of fearing God with the awareness of the end of life. Qohelet’s final lesson, along with consideration of the statement that ‘all things are vanity’ (12:8), shows what the theology of Ecclesiastes is. The theology of Ecclesiastes can be encapsulated in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theology of doubt and question, ” “theology of joy and enjoyment, ” and “theology of trust and reverence.”

      • KCI등재

        ‘하나님 닮아가기’ Imitatio Dei로서의 정의

        하경택(HA Kyung-Tae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2

        본 논문은 구약성서에 나타난 정의의 개념에 관한 연구이다. 그동안 구약성서에 나타난 ‘정의’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시도되었으나 분명한 개념규정과 그것의 신학적 함의를 찾는 데는 다소 미비했다는 평가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정의’의 의미를 규명하면서 ‘정의’를 의미하는 히브리 낱말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과 더불어 대표 본문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체덱/체다카> 등의 다양한 히브리말로 표현된 구약성서의 ‘정의’는 우선적으로 ‘공동체적 신실성’을 기초로 한 ‘구원하는’ 정의라고 규정할 수 있다. 그것은 공동체의 약한 자들과 연대하고 돕는 인자함과 신실함을 보여주는 구원행동이다. 이러한 정의의 이해는 하나님의 행동에 대한 묘사에서뿐 아니라 인간의 책무에 대한 규정과 기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구약성서의 대표본문들로 채택된 본문들은 야훼-제왕시(96-99편)와 제왕시(72편)이다. 이 본문들은 정의를 행하는 최고의 재판장으로서 하나님의 모습과 인간의 모습을 가장 잘 표현한다. 이 본문들에서 하나님과 이스라엘 왕은 통치의 기본요소로서 ‘공평’과 ‘정의’를 실행해야 한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그것은 ‘공동체적 신실성’을 기초로 공동체의 약자들을 ‘구원하는’ 정의이다. 그러나 ‘정의’의 삶은 구약성서에서 단지 통치 원칙으로서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생활윤리로서 줄기차게 요구되는 덕목이다. 이처럼 정의는 하나님과 인간이 공유하는 덕목이다. 그러한 점에서 ‘정의’는 ‘하나님 닮아가기’ Imitatio Dei의 신학을 보여주는 구약성서의 대표적인 윤리라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of the concept “justice” in the Old Testament. Its studies are attempted widely, but a clear identification of ‘justice’ and finding its theological implications are somewhat incomplete. This paper attempted an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texts with the linguistic study on the Hebrew word. ‘Justice’ of the Old Testament that through צדק or צךקה is expressed is to define as primarily ‘saving justice’ on the basis of ‘collective faithfulness’. It is a salvation act showing loving kindness and faithfulness by doing solidarity and helping the weak of the community. This understanding of justice in the Old Testament is equally applicable in the regulations and prayers for the human responsibilities, as well as in the description of God’s action. The main texts selected for the analysis are the Yahweh-Royal Psalms (Ps 96-99) and Royal Psalm (Ps 72). These texts are describing God’s appearance and human figure as the highest Judge. What is emphasized commonly in them is that God and the king of Israel have to accomplish justice and righteousness as a fundamental element of their government. It is the ‘saving’ justice that helping the weak on the basis of ‘collective faithfulness’. But a life of Justice is persistently demanded not only as governing principles but also as public ethics in the Old Testament. Thus justice is a virtue that God and the human are sharing. In that respect it is to say that justice is ethics of the Old Testament to show the theology of imitatio Dei.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욥기에 나타난 소통 신학

        하경택(Kyung-Taek Ha)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3 Canon&Culture Vol.7 No.2

        본 논문에서는 욥기에 나타난 소통 문제를 다루고 있다. 욥기의 내용은 질문과 응답의 구조로 파악할 수 있다. 장면 상호간의 관계뿐 아니라, 등장인물 사이의 ‘대응 관계’가 욥기의 기본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등장인물 간의 소통 문제이다. 욥과 친구는 자신들의 대화에서 소통을 이루지 못하고, 결국 파국을 맞이한다. 불통의 첫 번째 요소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다. 계시의 경험이나 지혜 전통, 신학적 교리도 고난당하는 자의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때는 공허한 울림이 될 수 있다. 또한 소통으로 나아가려는 자는 자신의 한계성을 인정하며,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열린 마을이 있어야 한다. 하나님은 인간의 지혜로 파악되는 분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욥의 고난을 보시고 욥의 질문과 탄식에 응답하시는 모습에서 소통의 대화로의 길을 발견한다. 절대적 주권과 무한한 자유를 가지고 이 세계를 신비롭게 운행하시지만, 응답하시는 하나님으로서의 모습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욥기는 이러한 소통의 부재와 소통의 실행의 대조를 극명하게 보여주면서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고 지향해야 할 ‘소통 신학’이 무엇인가를 찾게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in the Book of Job. The book can be analyzed by observing its structure which is in the form of question and answer. "Correspondences" between the characters and scenes form the foundation of the Book of Job. The important issue is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between characters. Job and his friends failed to form proper communication and their dialogs and unsuccessfully. The first component of miscommunications i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other side. Experience of revelation, wisdom traditions and theological doctrines can be meaningless voices when one does not correctly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sufferer. Also, individual who wants to approach another person in order to communicate must acknowledge his limitations and have an open mind about history of God. Human beings cannot fathom God with their wisdom. On the contrary, people can find way into the conversation established through communication in God"s response to Job. God sees Job"s suffering, answers Job"s questions and listens to Job"s lamentations. God rules the world mysteriously with absolute sovereignty and unlimited freedom, but he reveals himself as a responding God. The Book of Job shows us clearly the contrast between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the execution of communication. The book helps us to find "communication theology" that we should seek and aim for.

      • KCI등재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

        하경택(Kyung Taek Ha) 한국기독교학회 201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0 No.-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feelings and recognitions among the so-called ``Abraham religions``(Christianity, Judaism, Islam) by examining the ``Ishmael texts``(Gen. 16:1-16; 17:15-27; 21:8-21; 25:5-11; 25:12-18) in Genesis and investigating the understanding and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about Ishmael(ite). Through studying the texts dealing with Ishmael the following points are emphasized. First, interests and cares of God are not limited only to the ones who are selected but also to the ones who have suffered outside the borders of selection. Second, Ishmael and Isaac are both sons of Abraham, and thus they are brothers. They have the same root which enables them to overcome political, ethnic and religious distinctions. Third, the spirituality of ``hospitality`` is required in order to overcome the conflicts of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Hospitality is an act that acknowledges the diverseness of others. It is more active than dialogue as a form of communication, and it enables communion. The story of the Old Testament primarily focuses on the history of Israel, but it also preserves genealogies and stories of other nations. This shows that all people are one family under the blessing of God and among all nations Israel must become the bl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