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놀이성에 대한 성격강점의 예측요인 분석

        탁정화(Jeonghwa Tak)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luster types according to the playfulness factors of young children and to predict the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types of children s playfulness. Methods: Playfulness and character strengths were administered to 237 young children. The playfulness group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used to fi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young children that have a effect on the types of children s playfulness. Results: First, the children’s playfulness groups were divided into a high playfulness group and a low playfulness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haracter strengths according to the children’s playfulness cluster, and the high playfulness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in all character strengths. Third, the children’s character strengths influencing the high playfulness group were vitality and positivity, self-regulation, self-esteem, and sensi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supporting these character strengths was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he playfulness of children in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병렬다중매개효과

        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릿이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ayes(2013)의 PROCESS macro의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방법(Model 4번)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4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 그릿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그 중 언어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적 상호작용을 제외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그릿,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증진을 위한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f grit on teaching efficacy was mediated by various variabl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namely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25.0. Furthermor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4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gri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higher than the median points. Second, teachers’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teacher efficacy. Results from testing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indicated that linguistic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eacher efficacy; linguistic interaction had the largest indirect effect, while emotional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Conclus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esent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

        탁정화(Jeonghwa Tak)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18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SPSS window version 25.0과 PROCESS macro version 3.5.3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감사성향 및 삶의 만족도, 자연연결성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삶의 만족도, 자연연결성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Hayes(2018)가 제안한 PROCESS macro의 Model 1번을 사용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감사성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연연결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연결성 수준의 값이 4.14이하일 경우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감사성향이 과소사용되거나 과대사용되지 않고 중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연연결성이 조절변인으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natural conn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fter conducting a survey with 218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dow version 25.0 and PROCESS macro version 3.5.3. First, the tendency to appreciate early childhood teachers, life satisfaction, gratitude disposition, natural connection wer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atitude disposition, life satisfaction, and natural conne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was examined using Model 1 of PROCESS macro proposed by Hayes (2018). Natural connectivity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life satisfaction. When the value of the natural connectivity level was 4.14 or less,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Natural connectivity played a role as a regulatory variable so that gratitude dispositions were not underused or overu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군집유형에 따른 교직인성의 차이연구

        탁정화(Tak, JeongHwa),이미란(Lee, Mi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에 따른 집단 간 교직인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B광역시와 K시에 소재한 4년제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예비유아교사 243명을 임의표집한 뒤,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Hair와 Black(2000)가 제시한 위계적 군집분석과 K-means방법을 통하여 군집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관계중심 교직선택 상집단’, ‘업무중심 교직선택 최상집단’, ‘아이교류중심 교직선택 보통집단’,‘교직선택 최하집단’, ‘아이교류최저 교직선택 하위집단’ 5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직선택동기 군집유형에 따른 교직인성 하위요인 간의차이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 도덕성, 사회성, 소명의식, 학생에 대한 열정, 교육적 신념은 유의미한 수준에서 교직선택동기 군집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d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spositions according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motiv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nalysis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ne-way ANOVA,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cluster analysis on a sample of 24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five clusters: the more highly teachers’ motivation group based on relationship, the most highest teachers’ motivation group based on teaching, teachers’ motivation group based on interacting children, the less teachers’ motivation group and the less teachers’ motivation group in children non-interac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spositions according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teachers’ motiv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이 마인드셋에 미치는 영향

        탁정화(Tak J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impact of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mindset. A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216 pre-service child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al research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The data was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 of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mindset.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child teachers’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grow mindset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at the level, but fixed mindset were found to be lower at the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on the mindset. Third, it was found that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teacher disposition affected the grow and fixed mindse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 support by finding out pre-service child teachers with low levels of gri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teacher disposition and mindse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이 마인드셋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215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 감, 통제소재, 교직인성, 마인드셋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성장마인드셋, 자아존중감과 성장마인드셋, 통제소재 성장마인드셋, 교직인성과 성장마인드셋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고정마인드셋, 자아존중감과 고정마인드셋, 통제소재와 고정마인드셋, 교직인성과 고정마인드셋 간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은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마인드셋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교직인성의 변인에 주목 해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마인드셋 군집유형에 따른 희망과 그릿의 차이연구

        탁정화(Tak J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지를 살펴보고, 군집유형에 따른 희망과 그릿의 차이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예비유아교사 223명이 응답한 결과를 Hair와 Black(2000)이 제시한 위계적 군집분석과 K-means 군집분석을 통해 군집유형을 도출한 뒤,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유아교사의 고정마인드셋과 성장마인스셋은 5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즉, 고정마인드셋 최상집단, 마인드셋 미분화집단, 성장마인드셋 최하집단, 성장마인드셋 추구집단, 성장마인드셋 보통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마인드셋 군집유형에 따라 희망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릿 하위요인 중 지속노력과 흥미유지에 있어 예비유아교사의 마인드셋 군집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마인드셋 유형을 고려한 희망과 그릿증진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hope and grit according t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indse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Y and M cities. The analysis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ne-way ANOVA,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cluster analysis on a sample of 22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vealed five clusters: the upper fixed mindset type, undifferentiated mindset type, the lower growth mindset type, the upper growth mindset type and the common growth mindset typ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mindset types according to ‘hope’, ‘pathway thinking’ and ‘agency thinking’.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indset.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expected to suggest how to promote the grow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장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탁정화(Jeonghwa Ta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비인지적 요소인 성장마인드셋의 역할에 주목하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서울, 경기, 부산, 경북 등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45명이며,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 3.4 프로그램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 주관적 경력성공은 보통보다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교수효능감, 성장마인드셋과 긍정심리자본, 성장마인드셋과 주관적 경력성공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마인드셋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하여 주관적 경력성공을 증진하며 성장마인드셋은 교수효능감이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인으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성장마인드셋이 낮을 때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효능감,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심리적 향상과 더불어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수준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by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in the noncognitive el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24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Gyeonggi, Busan, Gyeongbuk province were surveyed about their teacher efficacy, subjective career succ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rowth mindse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3.4 program. The mediating, modul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subjective career succes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 efficacy predicted subjective career success not only directly, but also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Lastly, growth mindset relationship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towa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t also had a main effect on teacher efficacy toward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esented its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이혜원(Lee Hyewon),탁정화(Tak Jeonghw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그릿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06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그릿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 비판적 사고성향과 그릿, 자아존중감과 그릿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은 그릿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and grit. And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206 pre-service child teachers.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tatistical research to investigate pre-service child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and grit. The data was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on grit.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child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and grit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at the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grit, self-esteem and grit. Third, it was found tha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affected gri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 support by finding out pre-service child teachers with low level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and grit.

      • KCI등재

        ‘세 얼간이’와 ‘지상의 별처럼’에 나타난 교육에 대한 시선과 담론:

        강현미(Kang, HyunMI),탁정화(Tak, J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세 얼간이’와 ‘지상의 별처럼’ 두 편의 영화에서 학교교육에 대하여 푸코의 분석적 틀로 살펴봄으로써 현재 학교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이를 통해 앞으로 학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세 얼간이’와 ‘지상의 별처럼’ 두 편의 영화였으며, 분석방법은 영화 내용을 전사한 다음 연구내용에 따라 푸코의 권력이론에 근거할 수 있는 상황이나 장면, 의미 있는 대사들을 찾아내는 데 주력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교가 개인을 수동적인 주체 로 만드는 ‘만들어지는 개인’, 학교라는 틀 속에서 시험이라는 이름으로 상징적 폭력을 정당화시키고 있는 ‘영혼까지 통제하는 상징적 폭력’, 절대 권력은 지식 안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지식과 권력의 상호작용’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통해 학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첫째, 학생을 주체로 인식하고 대우해야 하며, 둘째,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평가는 학생의 참모습을 드러내도록 해야 하고, 셋째, 교사, 부모, 학생은 자신의 주체성을 기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 of looking at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it in two different movies, Three Idiots and Like Stars on Earth, according to Foucault s framework of analysis. It s basically meant to determine problems with today s education,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at, and to discuss what implications the films would hav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wo selected movies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process. The content of the films was transcribed, and then significant scenes, situations or lines that would be meaningful enough to be analyzed by Foucault s theoretical framework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films, educ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One was to produce individuals who were to be made and consequently became passive. Another was a symbolic violence that was to keep even the spirit in control and was justified in the name of test within the frame of school. The third was the power and knowledge of interaction, which implied that absolute power could be guaranteed only within knowledg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s required to look at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from a more extended perspective without being supervised, controlled or dominated by others.

      •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정서적 조직몰입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

        연주옥(Juok Yeon),탁정화(Jeonghwa Tak) 한국영유아교육실천학회 2023 영유아교육실천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정서적 조직몰입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영유아교사 225명이다.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정서적 조직몰입, 행복플로리시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성취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였지만, 긍정적 정서, 몰입, 관계, 의미는 유의미한 수준에서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flourishing in the connec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included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employed in institution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The SPSS Statistics 24.0 program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flourish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Model 4 of the SPSS Process macro.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lourishing. The sub-factors of flourishing display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growth mindset and emotional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arding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flourish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hievement was found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However, positive emotion, commitment, relationship, and meaning did not exhibit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