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과활동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교 비장애 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추종희,이성한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2010 아동연구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나오는 학습 내용과 글감을 바탕으로 장애이해를 돕기 위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초등학교 통합학급아동 및 비통합학급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과활동시간에 맞추어 수업을 실시했다. 이러한 교과교육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교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장애이해교육의 긍정적인 방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통합학급과 통합학급 간의 활동 선호 척도 검사를 통하여 비장애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행동 변화에서는 통합학급 실험집단이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장애를 가진 친구와 함께 공부를 하면서 장애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있다. 이러한 결과는 비통합학급만으로 구성되었던 다른 선행연구와는 차이가 있는 결과이다 통합학급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장애에 대한 정보를 듣고, 토론하고, 간접체험을 통하여 장애아동에 대한 좀 더 긍정적인 행동 화를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비통합학급(실험집단)과 비통합학급(통제집단) 간의 활동 선호 척도 검사를 통하여 비장애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행동 변화에서는 비통합학급 실험집단이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장애이해교육이 비통합학급아동에게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가져 온다는 것이다. 이것은 정규 교육과정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전정란(2008) 의 연구 및 교과교육과 연계한 통합적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인식 및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박동환(2008) 의 연구 결과로 일치했다.

      • SCOPUSKCI등재

        HLA - A Genotyping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 Sequence Specific Primers : A Comparative Study with Serological Typing

        박영석,이경옥,김윤정,이규범,홍경희,추종희 한국유전학회 1996 Genes & Genomics Vol.18 No.4

        In the elucidation of HLA-class I gene polymorphism, serological typing method has been replaced by genetic typing. We used a DNA-based tissue typing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HLA-A alleles by PCR-SSP (polymerase chain reaction-sequence specific primers) and compared with serological typing. Genomic DNA prepared from lymphoblastoid 21 B-cell lines and lymphocytes from 44 Korean individuals by phenol/chloroform extractions have been typed by PCR-SSP DNA typing (32 primer mixes were used). The data of reference cells and 44 Korean samples using DNA typing were correlated well with serological typing. All combinations of serologically detectable samples and most of the serologically "blank" four HLA-A antigens could be completely typed by DNA typing. In conclusion, HLA DNA typing by PCR-SSP is more accurate than serolog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HLA-A alleles. This technique is useful for the histocompatibility test in transplantation as well as the exact determination of mistyped allele by serologic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