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사업장폐기물에 대한 유해특성 적용성 평가 - 바젤협약의 생태독성(H12)을 중심으로 -

        최효현,김우일,엄남일,강영렬,윤철우,김태희,전태완,신선경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2 No.5

        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tions of ecotoxicity for management plan on industrial waste, and suggested the strategy for assessment of the ecotoxicological characteristic. From the results of ecotoxicity for waste synthetic resin, sludge, slag, waste dust, etc. 20 industrial wastes, 15 waste samples were analyzed in ecotoxic. In particular, 8 waste samples (about 62%) among the 13 non-hazardous wastes were confirmed ecotoxic. Therefore, the additional studies are necessar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amples and confirming the various types of was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arsenic and vanadium was highly estimated that 0.68, 0.44, respectively. The ecotoxicity for wastes should be managed as a comprehensive toxic in the future. Because the wastes has the high potential ecotoxic by the possibility of containing hazardous materials with discharge process and the interaction of heavy metals, ions, salt, and pH and so on. The hazardous characteristic of waste for ecotoxicity should be evaluated through the ecotoxic analysis in 3 steps by the proposed procedure for assessment of ecotoxicological characteristic.

      • 폐TV의 유해물질 함량 특성 연구

        최효현,정다위,이지영,이미영,정용우,조윤아,김용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삶의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전기·전자제품의 수요가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폐전기·전자제품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전기·전자제품은 플라스틱, 철, 비철, 유리 등 다양한 재질과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재활용 과정이 복잡하며,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등의 중금속을 비롯하여 브롬계 난연제와 CFCs 등 폐기 단계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유럽에서는 유해물질 사용제한지침(RoHS), 폐전기·전자제품 처리지침(WEEE) 등을 제정하여 폐전기·전자제품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현재 환경성보장제(EcoAS)를 통해 유해물질 관리와 재활용 촉진을 위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국내에서 환경성보장제에서 관리되고 있는 전기·전자제품은 10개 품목으로 2011년 기준 약 120,889 천대, 약 633,977 톤이 출고 및 수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전기·전자제품의 출고량 증가에 따라 폐기물이 다량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폐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유해물질 관리 및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전기·전자제품 중 생활계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는 TV 제품에 대해 휴대용 XRF 분석기(Potable X-ray Fluorescence Analyzer; Olympus)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함량 특성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TV는 LCD TV와 CRT TV 각 6제품을 플라스틱류, 금속류, 유리류, 나사류, 악세사리류, 고무류, 전선류로 세분류하여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에 대해 ‘전기전자제품-6가지 규제물질의 함량 측정’ (KS C IEC 62321; 2009)법에 명시된 스크리닝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한 유해물질 함유기준의 30% 하향값을 평가기준으로 선정하였고, 시료에 대한 유해물질 분석 결과 일부 시료에서 납의 함량이 평가기준인 700 ppm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밀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고철의 중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사류의 유해물질 함량 실태 조사

        최효현,정다위,신선경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3 젊은 연구자 학술연구발표회 Vol.12 No.0

        본 연구에서는 고철의 재활용을 위한 수거, 선별 등 중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사류의 유해물질의 함량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고철이 친환경적으로 적정 재활용되고, 재활용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 실태조사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고철의 중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물질 중 토사류를 대상으로 유해물질의 함량을 분석하여 국내 토양오염우려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토사류의 PAHs, BTEX, TCE, PCE, 시안의 함량은 국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토사류의 TPH 농도는 토양오염우려기준을 크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철의 배출원 분석과 토사류의 재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폐기물의 유해특성 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

        최효현,김우일,김태희,엄남일,윤철우,조윤아,전태완,신선경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1992년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을 규제하는 바젤협약(Basel Convention)이 발효됨에 따라 유해특성을 나타내는 폐기물에 대한 수출·입을 국제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은 자국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유해특성 폐기물을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수출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적정 처리, 처리 기술 미비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국제적인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제도이다. 그러나, 국가별 유해특성 기준이 상이하거나 명확하지 않아 세분화된 유해특성 분류 및 관리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1994년 2월 바젤협약 가입, 1994년 5월부터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여 수출·입 폐기물에 대한 14종의 유해특성을 관리하고 있지만, 국내 「폐기물관리법」에서는 부식성, 감염성, 용출독성 3종에 대한 유해특성만 관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2010년부터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수출·입 폐기물의 관리를 위해 유해특성 18종(부식성, 산화성 액·고상, 인화성 액·고상, 폭발성, 금수성, 자연발화성, 유기과산화물, 생태독성, 발암성, 자극성, 감염성, 위해성, 생식독성, 독성, 변이원성, 민감성)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을 마련하였고, 국내 유해특성 폐기물에 대한 적용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특성 18종 중 유기과산화물과 생태독성 가능 폐기물을 조사하여 유해물질 함유 실태조사와 유해특성 시험방법에 대한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유기과산화물과 생태독성의 국내 폐기물관리법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사전에 분석·평가하여 향후 폐기물 관리 정책 마련에 지원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폐기물에 대한 생태독성은 폐기물의 발생특성상 다양한 생태독성 원인 물질이 함유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인 생태독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대표성 있는 시료를 채취, 유해특성 도입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폐기물의 유해특성 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 평가

        최효현,김우일,김태희,엄남일,윤철우,조윤아,전태완,신선경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5

        1992년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을 규제하는 바젤협약(Basel Convention)이 발효됨에 따라 유해특성을 나타내는 폐기물에 대한 수출・입을 국제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은 자국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유해특성 폐기물을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수출하여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적정 처리, 처리 기술 미비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국제적인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제도이다. 그러나, 국가별 유해특성 기준이 상이하거나 명확하지 않아 세분화된 유해특성 분류 및 관리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1994년 2월 바젤협약 가입, 1994년 5월부터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여 수출・입 폐기물에 대한 14종의 유해특성을 관리하고 있지만, 국내 「폐기물관리법」에서는 부식성, 감염성, 용출독성 3종에 대한 유해특성만 관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2010년부터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수출・입 폐기물의 관리를 위해 유해특성 18종(부식성, 산화성 액・고상, 인화성 액・고상, 폭발성, 금수성, 자연발화성, 유기과산화물, 생태독성, 발암성, 자극성, 감염성, 위해성, 생식독성, 독성, 변이원성, 민감성)에 대한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을 마련하였고, 국내 유해특성 폐기물에 대한 적용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특성 18종 중 유기과산화물과 생태독성 가능 폐기물을 조사하여 유해물질 함유 실태조사와 유해특성 시험방법에 대한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유기과산화물과 생태독성의 국내 폐기물관리법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사전에 분석・평가하여 향후 폐기물 관리 정책 마련에 지원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폐기물에 대한 생태독성은 폐기물의 발생특성상 다양한 생태독성 원인 물질이 함유될 수 있기 때문에 통합적인 생태독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대표성 있는 시료를 채취, 유해특성 도입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폐인조잔디의 유해물질 특성 연구

        최효현,김우일,강영렬,엄남일,윤철우,신선경,오길종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국민들의 생활체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03년 이후 정부의 ‘생활체육 및 체육시설 선진화 방안’이 추진되었고, 학교 및 공공체육시설에 인조잔디의 포설 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2009 ~ 2012년에는 ‘문화예술·체육교육 활성화 사업추진 계획’의 일환으로 ‘다양한 학교 운동장 조성’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향후에도 인조잔디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조잔디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 인조잔디의 충전재로 인해 운동장 이용자들의 건강 위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인조잔디 포설 시 충전재로 사용되는 고무분말에서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분석되어 인조잔디 이용자들의 건강 위해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인조잔디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2010년 ‘학교 체육 시설 - 인조 잔디’ (KS M 3888-1) 기준을 제정하였고, 재활용품의 품질 기준 확보를 위해 ‘인조잔디용 고무분말’ (GR M 6024) 규격을 만들어 인조잔디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이 종료된 후 폐기되는 인조잔디의 구성성분별 중금속 및 유해물질의 함량 분석을 실시하여 폐인조잔디의 유해물질 배출특성을 평가하였다. 중금속 함량 분석 결과 일부 폐인조잔디의 고무분말에서 납과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성분이 KS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폐기물관리법에 의한 용출시험을 통해 중금속을 분석한 결과 Pb, Cd, Hg, Cr<sup>6+</sup>, As 항목은 전 시료에 대해 불검출로 나타났고, Cu는 국내 지정폐기물 용출 농도 기준인 3 mg/kg 이하로 미량 검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