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왕종개 Cobitis Longicorpus 와 미꾸리 Misgurunus anguilicaudatus 의 자연잡종에 관하여

        최충길,황영진,나명석 한국어류학회 1995 韓國魚類學會誌 Vol.7 No.2

        섬진강의 2차지류의 하나인 동복천에서 Cobitis longicorpus와 Misgurunus anguilicaudatus와 자연교잡종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생각되는 개체가 발견되어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Hybrid의 형태적 특징은 눈밑에 가시가 있고 제 1반문의 위치가 짙으며, 혼서하고 있다는 점 등은 C. longicorpus의 특징이었고 체측 등쪽 반문의 특징과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 나타나는 반문, 골질반이 완만한 혹모양을 하고 있는 점은 C. longicorpus와 M. anguilicaudatus의 중간적 특징이었다. 계수형질의 결과 등지느러미 기점의 위치와 미병고에 있어서는 M. anguilicaudatus와 비슷하고 체고와 미병고/미병장의 비는 C. longicorpus와 M. anguilicaudatus의 사이 값을 나타낸 것이 특징이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계수형질의 값들은 C. longicorpus와 유사하여 상기 두 종의 hybrid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A fish, collected from the Tongbok stream, secondary tributary of the Somjin River system, appeared to be a hybrid between Cobitis longicorpus and Misgurunus anguilicaudatu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is specimen have suborbital spine and distinctive black small spots at the back of its opecleula characterized by C. longicorpus. However, it has totally different body color patterns on the sides of body from the C. longicorpus and The structure of lamina circularis was less distinctive than that of C. longicorpus. Body measurements of the specimen were similar to the C. longicorpus with the exceptions as caudal peduncle depth(CPD), caudal peduncle length(CPL), predorsal length and CPD/CPL. CPD/CPL were sightly higher and longer than that of the C. longicorpus, and predorsal length was more similar to the M. anguilicaudatus than the C. longicorpus. CPD/CPL value was intermediate between the two parental species.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specimen used in this study is a hybrid between Cobitis longicorpus and Misgurunus anguilicaudatus.

      • KCI등재

        동복호(同福湖)와 그 상류수계(上流水系)의 추 , 동계 어류상에 관한 연구

        최충길,이종빈,황영진,박종천,라명석 한국어류학회 1994 韓國魚類學會誌 Vol.6 No.1

        同福湖와 그 上流水系에서 秋·冬季에 채집된 魚類는 河川水域이 9과 22속 28종이었고 湖沼水域이 7과 14속 16종으로 총 10과 23속 29종이었는데 이 가운데 14종이 韓國 特産種이었다. 河川水域에서는 Zacco temmincki와 Z. platypus가 각각 28.04%와 16.76%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고 湖沼水域에서는 Hypomesus olidus와 Z. platypus가 각각 55.22%와 44.31%로 전체의 99.53%로 극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生體量에 있어서도 H. olidus와 Z. platypus가 각 72.81%(378, 129.1g)와 20.00%(103, 689.2g)으로 전체의 92.81%를 차지하여 주목되었다. 種多樣性 指數는 河川水域에서 1.056으로 다양하였고 湖沼水域에서는 個體數와 生體量에 대한 값이 각각 0.314와 0.361로 매우 낮았다. 均等性指數는 河川水域에서 0.730이었고 湖沼水域에서는 個體數와 生體量에 대해 각각 0.261과 0.300의 값을 나타내었다. 優占度는 河川水域이 0.270이었고 湖沼水域에서 個體數와 生體量에 대해 각각 0.739와 0.700이었다. The ichthyofauna was investigated in Tongbok Lake and its tributaries from October, 1992 to January, 1993. Twenty-nine species representing 23 genera and 10 families were collected. Twenty-eight species in 22 genera and 9 families were from the stream area, while sixteen species in 14 genera and 7 families were from the lake area. Among these 14 species were classified as endemic species in Korea. Dominent species in the stream area were Zacco temmincki(28.04%) and Z. platypus (16.76%), whereas the lake area was overwhelmingly dominated by Hypomesus olidus (55.22%) and Z. platypus(44.31%). In the stream area, species diversity indices, evenness indices and dominant indices were 1.056, 0.730 and 0.270, respectively. In the lake area, the indices for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were 0.314, 0.261 and 0.739, and those of body weights were 0.361, 0.300 and 0.700,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탐진강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최충길,황영진 한국어류학회 1995 韓國魚類學會誌 Vol.7 No.2

        탐진강 수계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29속 39종이었으며 고유종은 12종이었고 잉어과에 해당하는 어류는 14속 21종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 조사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Puntungia herzi 뿐이었고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korean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Cobitis taenia lutheri, Cobitis longicorpus, Odontobutis platycephala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우세하게 출현하는 종은 Zacco temmincki, Acanthorhodeus gracilis, Zacco platypus, Rhodeus uyekii, Puntungia herzi, Squalidus gracilis majimae이었다. 반면 희소하게 출현된 종들은 Anguilla japonica, Rhodeus ocellatus, Pseudorasbora parva, Abbottina rivularis, Silurus asotus 등이었다.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가 본 수계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어 주목되었다. The ichthyofauna was investigated at the thirteen sites in the Tamjin River from August 1994 to February 1995. The collected fishes were classified into thirty-nine species belonging to 29 genera and 10 families. Among these 12 species were classified as endemic species or subspecies in Korea. Major species in this river system appeared to be Zacco temminchi, Acanthorhodeus gracilis, Zacco platypus, Rhodeus uyekii, Puntungia herzi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 wa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area.

      • KCI등재

        송사리 수정란에 미치는 중금속의 영향

        최충길,황영진,위인선 한국물환경학회 1992 한국물환경학회지 Vol.8 No.3

        Acute toxicities of five heavy metal ions on fertilzed eggs of killifish(Oryzias latipes) were measured in terms of median lethal concentration(LC50) and toxicity curve. The LC50 of 24, 48 and 96 hours were 24.00, 19,80 and 19.80 ㎎/ℓ for nickel; 8.30, 6.30 and 4.5㎎/ℓ mercury ; 6.75, 4.20 and 3.50 ㎎/ℓ for cadmium ; 0.68, 0.56 and 0.56 ㎎/ℓ for zinc ; 0.067, 0.065 and 0.065㎎/ℓ for copper respectively. The toxicity curves derived by polotting LC 50 values against the period of exposure,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effect of copper was most toxic followed by zinc, cadmium and mercury, and the effect of nickel was the least.

      • KCI등재후보

        보성강 수계의 어류군집에 관하여 - 주암댐 수몰 예정지를 중심으로 -

        최충길,황영진 ( Chung Gil Choi,Young Jin Hwang ) 한국하천호수학회 1991 생태와 환경 Vol.24 No.3

        The fish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at the ten sites of the Posoˇng River from October 1987 to August 1989. The collecting fishes in this area were classified 47 species belonging to 33 genera and 12 families, of which 14 species were included the endemic species or subspecies in Korea. The seasonal number of collected species were 43 species in Summer, 39 species in Spring, 39 species in Autumn and 36 species in Winter. Dominant species were five species of Acheilognathus intermedia, Zacco platypus, A. limbata, Z. temmincki and A. yamatsutae. And dominant indices ranged from 0.085 to 0.130: Species diversity indices showed 1.070∼1.242. Community similarity showed the highest between site 4 in upper part of Dongbok stream and site 5 in down part of the Dongbok stre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