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항가속기연구소와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

        최진혁,Choi, Jin-Hyuk 한국진공학회 200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5 No.6

        The Pohang Light Source (PLS) of Pohang Accelerator Laboratory (PAL), which was constructed in 1994, is a 3rd generation synchrotron light source user facility. It consists of 2.5 GeV linear accelerator and a storage ring with circumference of 280 m. Presently, 27 beamlines around the storage ring are in operation providing synchrotron radiations to users. In addition, PAL has a construction project of the 4th generation light source. In this pape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LS is described and the prospect of the 4th generation light source is reviewed. 포항가속기연구소가 1994년에 완공한 제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방사광을 만들어내어 실험에 이용하는 시설로써 전자를 2.5 GeV까지 가속시키는 선형가속기와 이 전자를 저장하여 회전시키면서 방사광을 발생시키는 원주 280 m의 저장링으로 되어 있다. 현재 저장링에 27개의 빔라인 시설이 설치되어 실험을 수행 중에 있다. 또한 포항가속기연구소는 차세대 방사광 발생장치인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 계획을 추진 중에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가동 중인 방사광가속기의 현황과 4세대 가속기의 건설 추진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Transport Mode of Surface Sediments of a Tidal Sand Ridge in Gyeonggi Bay, Korea

        최진혁,박용안,CHOI, JIN-HYUK,PARK, YONG AHN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92 韓國海洋學會誌 Vol.27 No.2

        From the analyses of 16 bottom sediment samples and current data obtained during field expert ments from August to September 1987,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transport mode of sand grains of a tidal sand ridge in Gyeonggi Bay are studied. The textural characteristic of the bottom sediments are diverse depending on their location on the tidal sand ridge. Sands on the crest are well sorted. near symmetric in skewness. leptokurtic in kurtosis. and are unimodal in peakedness. On the other hand, Poorly sorted gravelly sands in the trough are coarse skewed in skewness and plartkurtic in kurtosis. The mean values of U/SUB 100/ (velocity at one meter above bottom) and U/SUP */ (boundary shear velocity) are calculated to be 41.4 cm/sec and 2.39 cm/sec, respectively. From the analyses of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s and currents in the study area, it can be concluded that almost all the sands of the tidal sand ridge (esp. on the crest) are transported as bedload (mainly as saltation).

      • Estimation of Boundary Shear Velocities from Tidal Current in the Gyeonggi Bay, Korea

        최진혁,CHOI, JIN-HYUK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91 韓國海洋學會誌 Vol.26 No.4

        From tidal current measurements on a tidal sand ridge in the Gyeonggi Bay from August 24 to September 29, 1987, tidal current velocities at 1.0 m above bottom (U/SUB 100/) and boundary shear velocities (U/SUB */) are calculated. The mean speeds of tidal current for flood and ebb over the entire period are 56.3 cm/sec and 63.7 cm/sec in mid-depth (9.0 m above bottom), and 43.9 cm/sec and 43.8 cm/sec in near-bottom (1.5 m above bottom). The exponent(P) in "power law", which is generally used for extrapolation from the mid-depth current velocity to that at the top of nationally logarithmic layer, is estimated to be 0.15 in the study area. Using logarithmic velocity profile assumption, mean values of U/SUB 100/ and U/SUB */ are calculated to be 41.4 cm/sec and 2.39 cm/sec, respectively. The mean value of U/SUB */ (2.39 cm/sec) is much higher than the critical shear velicity (U/SUB *c/) of 1.40 cm/sec reported by Choi (1990). and thu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ost of sands on the tidal sand ridge in the study area are easily eroded and transported for the greater part of tidal period.

      • 방사선 치료 시 환자 Set-up Line 개선을 통한 암환자 삶의 질 만족도 향상

        최진혁,안우상,이우석,김대용,Choi, Jin Hyuk,Ahn, Woo Sang,Lee, Woo Seok,Kim, Dae Yong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8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0 No.1

        목 적 : Set-up Line을 유지하면서 치료 중 씻을 수 있도록 하여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삶의 질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8년 1월 본원에 내원한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반복되는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불편사항을 조사하였다.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치료 중 씻지 못하는 것에 대부분 불편함을 호소하였고(64 %),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Set-up Line 위에 외과용 테이프를 부착하여 치료 기간 중 환자분이 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외과용 테이프를 적용한 환자 총 50명을 대상으로 5점 기준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1점 매우 불만족한다, 2점 불만족한다, 3점 보통이다, 4점 만족한다, 5점 매우 만족한다). 50명 중 40명은 치료를 처음 시작한 환자를 대상으로, 10명은 치료 진행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 과 : 1차 설문조사에 응한 환자의 성별은 여성 68 %, 남성 32 %이였으며, 나이는 50대 이하 34 %, 50~60대 38 %, 60대 이상이 28 %로 나타났다. 치료부위는 유방 57 %, 흉부 13 %, 골반부 10 % 등으로 나타났다. 외과용 테이프를 적용 후 2차 설문조사한 결과 치료를 시작한 환자 40명 중 여성 25명, 남성 15명으로 조사되었고, 치료부위는 유방 22명, 골반부 18명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 기준의 만족도에서 1-3점이 5명, 4-5점이 35명(1점 2명, 2점 2명, 3점 1명, 4점 17명, 5점 18명)으로 매우 만족 45 %, 만족 43 %로 나타났다. 치료를 진행 중에 적용한 환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10명 중 여성 9명, 남성 1명으로 조사되었고, 치료부위는 유방 8명, 골반부 2명으로 나타났다. 5점 척도 기준의 만족도에서 1점이 1명, 5점이 9명으로 90 %가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 론 : 방사선 치료 시 정확성도 중요한 만큼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외과용 테이프를 적용 후, 치료를 시작한 환자의 88 %, 치료 진행 중 적용한 환자의 90 %가 만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치료 진행 중 적용한 환자에게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모든 환자에게 적용이 어렵다면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암환자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을 판단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of patients with radiation therapy while maintaining the set-up line.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60 patients who visited our clinic in January, 2018.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wash during treatment (64 %), and a surgical tape was placed on the Set-up Line to help patients wash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 total of 50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ape were evaluated on a 5-point scale (1 point was very unsatisfactory, 2 points were unsatisfactory, 3 points were average, 4 points were satisfied, 5 points were very satisfied). Forty patients out of 50 responded to the first treatment, and 10 patients underwent treatment. Results : In the first survey, 68 % of the patients and 32 % of the males were aged 34 %, 50~60 % and 38 %, respectively. Treatment areas were breast (57 %), chest (13 %), pelvis (10 %). The results of the second questionnaire after applying the surgical tape showed that 25 of the 40 patients and 15 of the male patients were treated. The treatment area was 22 breast and 18 pelvic areas. In the satisfaction of the 5-point scale, 5 to 15 points were satisfied with 1-3 points, and 4-5 points with 35 points (1 point 2 points, 2 points 2 points, 3 point 1 points, 4 point points 17 point points, % And 43 %,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patients who were applied during the treatment showed that 9 out of 10 women and 1 male were treated. The treatment area was 8 breast and 2 pelvic areas. One point was satisfied with one point, and five points with nine points were satisfied with 90 %. Conclusions :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ancer is also important. After applying the surgical tape, 88 % of the patients who started the treatment and 90 % of the patients who applied during the treatment were satisfied. Particularly, patients who applied during treatment showed higher satisfaction. If this is not possible for all patients, selective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discomfort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 KCI등재

        기획논문 : 지방자치와 주민주권 ;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주민주권의 강화

        최진혁 ( Jin Hyuk Choi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주민주권강화의 이론적 논의틀에 따라 주민주권 행사의 현황을 고찰하면서 각 요소별로 대안적 내용들을 검토하였다. 우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관계에서는 자치권의 확대를 통해 주민주권의 강화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집행기관(자치단체장과 공무원)은 지방정부가 정책결정과정에 주민들을 참여시키는 것을 자치법규로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를 구비하고, 형식적 참여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참여동기를 유인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방의회의 정책결정과정에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정기회의시 주민의 방청을 유도하고, 지역문제가 발생한 지역현장에서의 주민의 의견진술을 개진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의회에 대시민여론수렴과 민원접수처를 설립하여 광범위한 의견수렴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자치행정구조는 정보공개의 범위를 확대하여 행정행위의 투명성을 보장해 주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그런 배경에서 지방정부는 자치행정구조를 주민참여 속에 행정서비스를 함께 공동생산해 나가는 지방거버넌스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여기에서 주민의 의사가 시민단체(정당, 학계, 언론)를 경유하여 지방의회에 제시되어 지방자치단체장이 이들의 요구를 취합하여 지방정부의 주요정책으로 하여 집행하고 통제받는 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주민권리를 존중하여 고객으로서의 행·재정서비스의 요구를 가능하게 하는 시민단체의 역할을 강조하여 이를 주민주권운동의 주체로서 양성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alternative contents of each variable element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strengthening the sovereignty of the residents, while the execution of residents sovereignty was investigat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expansion of right of autonomy, must find ways to strengthen residents sovereignty. Second, an executive organ(municipal mayors and civil servants), the local government to involve citizens in policy making process to ensure that the self-regulatory institutions that are equipped with, in order to avoid participation in formal participation will need to lead them motivated. Third, the local council`s policy-making process can converge to the residents comments to be in place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urth, the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structure by expanding the scope of information disclosure for ensuring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ve action will have a system. Then in the background, the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structure for the municipal residents` participation in co-production administrative services, local governan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the civil group should be trained as the subject of the sovereignty movement by respect the rights of citizens as customers and with an emphasis on the role of civil group.

      • 보조기구를 이용한 shoulder supero-inferior axial 검사에 대한 유용성 평가

        최진혁(Jin-Hyuk Choi),김동진(Dong-Jin Kim),구본승(Bon-Seung Goo),박신호(Sinho Park),대창민(Chang-Min Dae),민관홍(Kwan-Hong Min)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7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7 No.1

        목 적:회전근개 질환과 오십견, 외상환자의 경우 어깨 관절 외전이 통증으로 인해 어려워 shoulder axial 검사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한 보조기구를 이용한 shoulder supero-inferior axial 검사 시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2016년 11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외상, 오십견, 회전근개 파열을 진단 받은 환자 중 어깨 관절의 외전(abduction)이 90도 이하인 32명을 대상으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shoulder supero-inferior axial 검사를 시행하였다. 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전 영상과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검사한 영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관절와(glenoid fossa)의 관절면이 상완골두에 겹치는 정도와 오훼돌기가 쇄골에 겹치는 정도 그리고 오훼돌기와 상완골두의 간격 등을 경력 5년차 이상의 방사선사 3명이 각각 측정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영상의학과 전임의 1명과 전공의 1명이 5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통계학적 검정은 Medcalc version 14를 이용하였고, 정량적 평가는 Paired Student t-test, 정성적 평가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p-value<0.001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보조기구 사용 전과 후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1) 관절와의 관절면의 길이는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이 12.9 mm, 사용 후 9.9mm로 2.9 mm 감소하여 어깨관절이 더 열려져 보였다. 2) 오훼돌기가 쇄골 위로 보이는 길이는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이 13.9 mm, 사용 후 16.3 mm로 2.3 mm 증가하여, 오훼돌기가 쇄골 위로 잘 보였다. 3) 상완골두와 오훼돌기의 간격은 보조기구 사용 전 평균값이 6.3 mm, 사용 후 평균값이 7.9 mm로 1.6mm 증가하였고, 오훼돌기가 상완골두와 겹침 없이 잘 나타났다. 보조기구 사용 전과 후의 정량적 평가와 정성적 평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결 론:Shoulder supero-inferior axial 검사에서 보조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어깨관절과 오훼돌기 그리고 상완골두를 통해 봉우리빗장관절이 뚜렷하게 보여 보조기구를 사용하기 전영상보다 진단적 가치와 영상의 질이 높게 평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쉽게 적용가능하고, 편의성을 제공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Rotatorcuff tear, Frozen shoulder, trauma patients are in trouble with shoulder abduction, there is certain limitation examining Shoulder axial x-ray. In this study, newly- developed assist device is adapted to examine shoulder supero-inferior axial to evaluate utility of it. Materials and Methods:From November 2016 to January 2017, 32 patients with rotatorcuff tear, frozen shoulder, trauma are thesis objects. The patients who barely reached 90° below in abduction position had been examined for shoulder supero- inferior axial using assist device(below AD). To evaluate images using AD or not, three radiation technicians who have five or more years of experience measure glenoid fossa joint overlapped with humerus head, overlapped space of coracoid and clavicle and distance between coracoid and humerus head. Radiology specialist and radiology resident evaluate those images by 1-5 point criterion in quantitative evaluation way. Statistical test was done by Medcalc version 14, Student t-test had been used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had been used for qualitative evaluation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When p-value is 0.001 under (p<0.001), statistical significance is confirmed. Result:The results of experiment images of AD and non-AD 1) The length of glenoid fossa joint space is average 12.9 mm in non-AD and 9.9 mm in AD. 2.8 mm gap is opened. 2) Coracoid length between the edge of it and clavicle is average 13.9 mm in non-AD and 16.3 mm in AD. 2.3 mm longer length makes coracoid process appeared more clear. 3) Distance between coracoid and humerus head is 6.3 mm in non-AD and 7.9 mm in AD. 1.6 mm increased. Coracoid process looks better without overlap with humerus head. All evaluation items represent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using AD. Conclusion:Using AD on shoulder supero-inferior axial makes shoulder joints, coracoid process and acromioclavicle joint more visible and upgrades image quality. Also, it is easier to adapt to patients and meet patients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