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적 어지럼증과 윤리적 반성의 상관관계 고찰

        최진일(Choi, Jin I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90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에게 많은 혜택을 주며,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가능케 한다. 한편 과학기술이 인간 생명의 초기 단계에 개입되면서 많은 우려를 낳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인간 배아의 헌법상의 지위로 보았을 때, 배아에 대한 과학기술의 개입이 배아의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 듯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과학기술에 의해 파괴되어 나가는 배아를 볼 때, 무언가 잘못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품게 된다. 인간 배아는 그냥 하나의 세포덩어리에 불과한 과학재료가 아니라 누군가의 자녀이자, 인간의 고귀한 생명의 시작 단계이다. 법적인 테두리에서 배아에게 주어진 지위가 배아의 도덕적 그리고 인간학적 지위를 대변하지는 않는다. 사회적으로 승인된 행위를 무조건적으로 따를 것이 아니라 우리는 먼저 그 승인의 이유와 함께, 그 근거가 정당한지를 물어야 한다. 그렇지 않게 되면, 우리는 무언가 잘못되어 있다고 의문을 제기하면서도 무엇이 잘못되어 있는지를 논의하는데 한계에 부딪힐 것이며, 결국 문제 해결책을 찾는데도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것이 도덕적 어지럼증이다. 따라서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의문이 제기된 표면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그 의문과 관련된 가치체계의 근거에 대한 윤리적 반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인간 생명과 관련된 생명윤리 문제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 해결의 근본적인 토대는 경험적 사실만이 아니라 그 너머에 있는 인간 본성을 파악할 때 확립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야, 우리는 인간 생명의 존엄성, 그 존재 이유와 행위의 진리를 알아낼 수 있으며, 인간 인격의 존엄성에 부합한 행위가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ies offers many benefits to humankind, thus showing us a blueprint of the future. It is true that some of these technologies intervene at the beginning of human life, bringing a considerable amount of concern.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human embryo, technological intervention of the human embryo does not seem to violate any fundamental rights of the embryo. Nevertheless, we often call into question that something, indeed, is going wrong when we observe that human embryos are destroyed by these scientific technologies. The human embryo is not just a cell mass to use scientific research, but a child of someone, and is in the early stages of human life. This tells us that an individual human life has already begun. The status of human embryos defined in legal terms does not represent the moral and anthropological status of the human embryo. Therefore, before accepting any behavior or action that is considered socially recognized, we must first ask the reason for the justification of such a behavior or action. Otherwise, we come to the end of our tether to define what is going wrong, although continually raising the question that something, indeed, is wrong. Eventually, we have difficulties finding a way out of the problem. What we experience in such a process is called moral vertigo. To overcome this vertigo ethical reflection is required not only on the apparent aspects of the problem, but also on the foundation of the value system related to it. Thus, we are able to reach the heart of the problem in bioethics relevant to human life. Solving the problem requires grasping a deep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at goes well beyond empirical facts. Then,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dignity of human life, the reason for being, and the truth of behaviors. We will be capable of judging what actions will be in conformity to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 KCI등재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

        최진일(Choi, Jin Il)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5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5 No.2

        고농도의 프로게스테론을 함유하고 있는 응급피임약은 성교이후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여길 경우 복용한다. 배아의 착상을 방해하여 불원(不願) 임신을 막기 위해서다. 이것이 응급피임약의 근본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응급피임약은 배아의 생명을 위한 약이 아니라 배아의 생명에 반하는 목적으로 생산된 약이다. 2012년 이 약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일반약 전환이 제기되었다. 3년 기간의 유보 기간을 가지면서 대부분의 옹호자들은 그 정당성의 근거를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건강권에서 찾는 듯하다. 한편, 응급피임약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향락주의적 성문화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미혼모, 낙태 문제 해결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응급피임약 논의가 개인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문제가 맞물려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하지만 그 논의가 자기결정권의 측면을 크게 부각시킴에 따라, 우리 사회의 향락주의적 성문화 자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은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즉 비용-이익 계산의 관점에서, 응급피임약의 접근성 향상을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문제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으로 삼으려는 경향이 있다. 한편 자기결정은 이성적 판단에 근거한 것으로, 그 이성적 판단의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한 윤리적 성찰은 자기결정에서 핵심으로 다루어야 할 문제이다. 응급피임약 논의에서 자기결정권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중심 근거로 삼고 있지만 그 이성적 판단 기준에 대한 윤리적 성찰은 사실 편향되어 있다. 응급피임약은 배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것으로서, 응급피임약 자체가 비윤리적이다. 덧붙여, 왜곡된 이성적 판단을 근거로 하는 응급피임약의 선택은 이미 선(善)을 거슬리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응급피임약 자체도 허 용될 수 없지만, 그 접근성을 높이게 될 경우 개인의 행복추구와 사회의 공동선 구축을 위해서도 역기능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Emergency contraception pills(EC) that contain high progesterone is taken after intercourse given in a case fertilization would be achieved to prevent unwanted pregnancies disturbing implantation of the human embryo. It is the fundamental goal of EC. For this reason, the EC is produced not for the life of the embryo but against the life. In 2012, there was an attempt to make EC easily accessible to get it without prescription. During 3 years to monitor its use, most advocates of EC seem to find the foundation of justification on the right to women's self-determination and health. On the other hand, the deeper reason for increasing the easy accessibility is probably to resolve problems of unmarried (youth) mother, abortion generated by hedonistic sexual culture. It implies that the debate on EC is interwoven individual with social problems. However, as the debates focus largely on the aspect of self-determination, the critical consideration about the hedonistic sexual culture per se seems to be overlooked. In other words, many tend to consider the easy accessibility of EC as only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which is superficially exposed from the perspective of cost-benefit calculation. Meanwhile, self-determination is based on rational judgments, and thus the ethical reflection on what are the criteria of the judgements must be the heart of self-determination. Although self-determination is the core foundation to justify the increasing accessibility of EC, the ethical reflection on the criteria is actually biased. EC is threatening the life of the human embryos, hence EC itself is unethical. In addition, the choice of EC in which the distorted rational foundation is embedded is already against the good. Therefore, not only cannot EC itself be permissible, but it will also be against promoting happiness for individuals and cultivating common good for our society when the increasing easy accessibility of EC is allowed.

      • KCI등재

        책임 있는 출산과 정결의 덕에 대한 윤리적 고찰

        최진일(Choi, Jin I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6

        책임 있는 출산은 지성과 자유의지를 가진 인격의 행위 곧 인간적 행위(actus humanus)이다. 본고는 회칙 『진리의 광채』(Veritatis Splendor) 78항을 마틴 론하이머(Martine Rhonheimer)의 행위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다루면서, 책임 있는 출산을 위한 인간 행위의 윤리성은 우선적으로 그리고 근본적으로 자유의사에 따라 이성적으로 선택된 ‘대상’에 달려 있고, 윤리적으로 그 행위를 규정짓는 행위의 대상을 파악할 수 있으려면, 행위자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행위의 대상은 사실 자유롭게 선택된 행위의 종류이다. 본고에서는 행위자가 책임 있는 출산과 윤리적으로 관련된 선-부부일치와 출산의 의의를 보존하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그것을 깨뜨리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를 피임의 선택과 정결의 덕을 근본으로 한 주기적 절제의 선택에 대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면서 살펴본다. 여기서 각각의 행위 대상은 행위자의 관점에서 행위를 기꺼이 결정한 자발적 결정의 가장 가까운 목적이며, 행위자의 의지는 자유로운 결정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그 대상과 도덕적 악의 속성은 단순히 행위보다 행위의 선택과 관련된다. 그러한 까닭에 본고는 책임 있는 출산이라는 선한 지향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올바른 선택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올바른 선택을 통한 책임있는 출산은 정결의 덕의 실천을 통한 자신과 자신의 본능을 통제하는데 익숙하기를 요구한다. 이것은 회칙『인간 생명』(Humanae Vitae) 21항에 제시되어 있다. 행위주체인 부부가 정결의 덕을 통해 책임 있는 출산을 실현하려고 할 때, 그것은 궁극적으로 그들의 자발적 의지에 의해 선택된 행동이 행위자와 윤리적으로 관련된 선들을 보존하고 그들의 선과 일치를 통해 인격으로서 인간의 완성을 이룩할 것이다. Responsible procreation is a human act (actus humanus) structured by intelligence and free will. This paper deals with the encyclical, Veritatis Splendor, Number 78 in detail,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acting person by Martine Rhonheimer, elucidating the fact that the morality of the human act for responsible procreation depends primarily and fundamentally on the ‘object’ rationally chosen by deliberate will. To grasp the object of an act which specifies that an act done morally, it is necessary to place oneself in the perspective of the acting person. The object of the act of willing is in fact a freely chosen kind of behaviour.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different attitudes between periodic continence based on the virtue of chastity and contraception. To choose the first case means that the deliberate will of the acting person (in this case both husband and wife) is in conformity with the common good - that is their conjugal love that relates to responsible procreation, maintaining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conjugal union and procreation. To choose the latter indicates that the acting person intends to break the relationship that is against their conjugal love and therefore their common good. Here, the object is the proximate end of a deliberate decision which determines the act of willing on the part of the acting person. Thus, it refers both ‘object’ and the predicate ‘morally evil’ to the choice of behavior and not simply to behavior. For this reason, a good intention is not itself sufficient for responsible procreation, but a husband and wife also need a correct choice of actions. Thus, responsible procreation in terms of the correct choice of actions will lead the husband and wife to acquire complete mastery over themselves and their emotions in practicing the virtue of chastity. This is presented the encyclical Humanae Vitae Number 21. Ultimately, it brings about the perfection of the person with their correct choice of actions in conformity with the good of the husband and wife with respect for the good morally relevant for them.

      • KCI등재

        감초부자탕(甘草附子湯)이 흰쥐의 Adjuvant 유발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최진서 ( Jin Seo Choi ),정수현 ( Su Hyeon Jeong ),서일복 ( Il Bok Seo ),김순중 ( Soon Joong Kim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12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2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on the Complete Freund`s Adjuvant(CFA)-induced arthritis in rats. Methods :Arthritis was induced by intradermal injection of CFA into the base of tail. Arthritic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n=8) and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ed(n=8) group. Control group was taken distilled water for 15 days.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ed group was taken extracts of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by orally for same duration. Normal group(n=8) was injected with light mineral oil and was taken distilled water. Gross structure of hind paw were observed at every 5 days after treatment. Body weight, paw edema volume and ankle joint thickness were measured at 0, 5, 10, 15th day after treatment.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n the tarsal joint and distal tibia of the right hind paw were performed at the 15th day after treatment. White blood cell counts in blood were analysed at the 15th day after treatment. The content of interleukin-1β(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 paw exudate were analys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at the 15th day after treatment. Results :1. Grossly, the severity of arthritis in the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 Paw edema volume(ml) of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Ankle joint thickness(mm) of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4. Histopathologically, destructive lession of synovial membrane, articular cartilage and bony tissue in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5. Total WBC(103/μl) of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6. TNF-α content(pg/ml) in paw exudation of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trea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Gamchobuja-tang(gancaofu□zˇl-tang) has anti-arthritic effects on the progression of CFA-induced arthritis in rat. And it`s effect is related with reduced secretion of TNF-α.

      • KCI등재

        표준분류에 기준한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제4차 산업혁명중심 교육과정 운영 현황 분석

        최진일(Jin-Il Choi),최철재(Chul-Jae Choi)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3

        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에 필요한 핵심 IT 관련 기술을 교육하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대학교육협의회 표준분류위원회의 대학교육 편제단위 표준분류에 따라 응용 소프트웨어와 컴퓨터과학 및 컴퓨터공학으로 분류 된 158개 전공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해당 학과의 교육내용 중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그리고 정보보안의 분야로 구분한 교과과정의 도입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각 교육과정 군에 대해 평균 81.6%의 전공이 관련 교과목을 교과과정에 편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분야별 트랙 운영 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전공별 4차산업혁명 대응지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27.5로 나타났으며, 사물인터넷 및 모바일 분야가 42.3점으로 가정 높게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d the curriculum of computer and software-related majors educating the core IT-related skills needed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158 majors classified as applied software, computer science and computer engineering according to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units by the Standard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Council of University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of introduction of curricular divided into the fields of Internet of Things(IoT) & mobile, cloud &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information security was analyzed among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relevant departm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n average of 81.6% of the majors for each group of curricular organized related subjects into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Response Index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CRI4th) by major, calculated by weighting track operations by education sector, averaged 27.5 point out of 100 point. And the IoT & mobile sector had the highest score of 42.3 point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니어 행동분석 돌봄 시스템 연구

        장재열(Jae-Youl Jang),최진일(Jin-Il Choi),어재선(Je-Sun Uh),최철재(Chul-Jae Choi)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5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응용 솔루션들이 보건 복지 분야에 적용되어지고 있다. 제안한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기반의 시니어 돌봄 시스템 솔루션을 설계한다. 제안 시스템의 작동원리는 시니어의 행동분석을 스마트기기의 API정보를 통하여 수집한 후, 기존의 기준치와 다른 반응을 보일 경우에 시니어 당사자에게 1차적으로 알림을 보낸다. 만일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2차적으로 동료시니어와 가족구성원 및 응급상황센터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Various applied solutions utilizing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eing applied to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In the proposed paper, the senior care system solution based on big data is designed. The principles of operation of the proposed system are collecting senior behavioral analyses through API information of smart devices, and sending a primary notification to the relevant senior in cases where a senior reacts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standards. A system is proposed to prevent dangerous situa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to peer seniors, family members, and the emergency center in cases where there is no response.

      • KCI등재
      • 시간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기반 실시간 인간 행동 인식 연구

        최진(Jin Choi),한태우(Taewoo Han),조용일(Yong-il Cho),양현승(Hyun S. Yang)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2

        본 논문은 실내의 로비나 복도에 설치된 방범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일련의 영상으로부터 ‘걷기’, ‘뛰기’, ‘앉기’, ‘일어서기’, ‘넘어짐’의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인간 행동들을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시스템의 구현에 관해 다룬다. 먼저 입력으로 받은 영상을 전처리하여 윤곽을 추출하고 시간차에 의한 가중치로 누적하여 시간 템플릿을 만든다. 만들어진 시간 템플릿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하여 신경망 모델에 적용하여 5가지 인간행동을 구분한다. 구현된 시스템으로 인간행동 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실험 참가자들의 행동 방식이 약간씩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식률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