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axonomy of the Subgenus Parabates Förster of Netelia Gray, 1860 (Hymenoptera: Ichneumonidae: Tryphoninae) from South Korea

        최진경,이종욱,Choi, Jin-Kyung,Lee, Jong-Wo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3

        A taxonomic study of South Korean Netelia (Parabates) is presented. Three species are recognized, and one of which [N. (P.) nigricarpu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Diagnoses and photographs of the known species are provided. 한국산 자루맵시벌속(Genus Netelia Gray)의 12개 아속 중 하나 인, 애자루맵시벌아속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1미기록종[Netelia (Parabates) nigricarpus (Thomson, 1888) (검은점애자루맵시벌: 신칭)]을 국내에 처음 보고한다. 애자루맵시벌아속의 3종에 대한 식별 형질과 외형 사진을 제공한다.

      • KCI등재

        A New Record of the Genus Stenomacrus (Hymenoptera: Ichneumonidae: Orthocentrinae) from South Korea

        최진경,Choi, Jin-Kyu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2

        Stenomacrus deletus (Thomson, 1897), belonging to Orthocentrinae of Ichneumonidae, is newly recognized in South Korea. Most Stenomacrus species are known as koinobiont endoparasitoids of dipteran, lepidopteran, and coleopteran hosts. In this study, an additional specie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Diagnoses of genus and an unrecorded species, as well as illustrations of this species are provided. 한국산 긴뺨자루맵시벌아과의 미기록종인 미소얼굴긴뺨자루맵시벌(신칭)을 확인하고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상위분류군인 얼굴긴뺨자루맵시벌속은 농업과 임업 해충인 파리목, 나비목, 딱정벌레목에 내부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는 미소얼굴긴뺨자루맵시벌의 기재 및 주요 형질 사진을 제공한다.

      • SCOPUSKCI등재

        베어링 스팬상에 기어구동축을 갖는 스핀들 베어링 시스템의 열특성에 관한 연구

        최진경,이대길,Choi, Jin-kyung,Lee, Dai-Gil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2 No.1

        High cutting speeds and feeds are essential requirements of a machine tool structure to accomplish its basic function which is to produce a workpiece of the required geometric form with an acceptable surface finish at as high a rate of production as is economically possible. Since the bearings in high speed spindle units are the main heat source of the total cutting system, in this work,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spindle bearing system with a tilting axis were investigat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pindle bearing system. Based on the theoretical results, a specially designed prototype spindle bearing system has been manufactured. Using the manufactured spindle bearing system, the therm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From th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theoretical ones, it was found that the finite element method predicted well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spindle bearing system.

      • KCI등재

        First Record of Pristiphora apricoti Zinovjev (Hymenoptera: Symphyta: Tenthredinidae: Nematinae), pest of Prunus armeniaca var. ansu from South Korea

        최진경,이종욱,Choi, Jin-Kyung,Lee, Jong-Wo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3

        한국산 수염잎벌아과의 미기록종인 살구나무테두리잎벌(신칭)을 확인하고 처음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2016년 처음 국내에서 발견되어 살구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보고되었고,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종을 규명하고자 한다. 살구나무테두리잎벌의 생활사 및 생태사진과 기재 및 주요 형질 사진을 제공한다. Pristiphora (Pristiphora) apricoti Zinovjev, 1993, pest of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belonging to Nematinae of Tenthredinidae is newly recognized in South Korea. The host plant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Diagnosis, rearing notes, and photographs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and oviposition are provided.

      • KCI등재

        Three New records of the Genera Cremastus and Pristomerus (Hymenoptera, Ichneumonidae, Cremastinae) from South Korea

        최진경,강규원,이종욱,Choi, Jin-Kyung,Kang, Gyu-Won,Lee, Jong-Wo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에서는 검정꼬마자루맵시벌속 (Cremastus Gravenhorst, 1829)과 가시자루맵시벌속 (Pristomerus Curtis, 1836)의 3미기록종 (Cremastus crassitibialis Uchida, 1940, Pristomerus rufiabdominalis Uchida, 1928 and P. scutellaris Uchida, 1932)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보고 한다. 이 중 검정꼬마자루맵시벌속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속이다. 본 연구결과인 3 미기록종을 포함하여 현재 배자루맵시벌아과는 국내에 4속 11종이 기록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산 배자루맵시벌아과의 속 검색표, 미기록종의 재기재문 및 이미지를 제공하였다. The Korean species of the genera Cremastus Gravenhorst, 1829 and Pristomerus Curtis, 1836 (Hymenoptera: Ichneumonidae) are studied. Here we report three species, Cremastus crassitibialis Uchida, 1940, Pristomerus rufiabdominalis Uchida, 1928 and P. scutellaris Uchida, 1932, new to South Korea. Among them genus Cremastu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South Korea. The number of Korean Cremastinae is now 11 species in four genera including the three newly recorded species. A key to the genera of Korean Cremastinae, diagnosis of newly recorded species and photographs of redescriptions characters are provided.

      • KCI등재

        New Host Records of Ichneumonidae (Hymenoptera), with List of Ichneumon Wasps Parasitizing Ivela auripes (Butler) (Lepidoptera: Lymantriidae) from Korea

        최진경,김기경,서홍렬,전미정,신영민,김일권,정종철,김영진,이종욱,Choi, Jin-Kyung,Kim, Ki-Gyoung,Suh, Hong-Yul,Jeon, Mi-Jeong,Shin, Young-Min,Kim, Il-Kwon,Jeong, Jong-Chul,Kim, YoungJin,Lee, Jong-Wo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2

        We report new host records of four ichneumonids from Korea. They were discovered from the pupae of Apatura metis Frever (Lepidoptera: Nymphalidae), Allotraeus sphaerioninus Bates (Coleoptera: Cerambycidae) and Ivela auripes (Butler) (Lepidoptera: Lymantriidae) respectively. Diagnoses, illustrations, host records of the four species, and a list of ichneumon species parasitizing of I. auripes a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기생성 맵시벌과의 4종에 대하여 새로운 숙주를 보고하고자 한다. 4종의 맵시벌과는 황오색나비 (나비목: 네발나비과), 밤색하늘소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황다리독나방 (나비목: 독나방과)의 번데기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맵시벌과 4종의 간략한 식별형질과 사진정보, 황다리독나방에 기생하는 맵시벌과의 목록을 제시 하였다.

      • KCI등재

        Review of the Genus Metopius (Hymenoptera: Ichneumonidae: Metopiinae) from Korea

        최진경,송근명,이종욱,Choi, Jin-Kyung,Song, Geun-Myeong,Lee, Jong-Wo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3

        줄뭉툭맵시벌속은 전세계에 145종이 분포하는 비교적 큰 맵시벌 그룹이다. 줄뭉툭맵시벌속은 동구북구 지역에 41종이 기록되어 있으나, 한국에는 8종만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줄뭉툭맵시벌속 내 13종을 재고찰 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미기록 5종을 한국에 처음으로 기록하였으며, 한국산 줄뭉툭맵시벌속의 검색표와 재기재문, 사진을 제시 하였다. The genus Metopius is a relatively large ichneumonids group that includes 145 species worldwide. In this genus, 41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the Eastern Palaearctic region, while eight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Korea. We reviewed Korean species of the genus Metopius and confirmed 13 species. We also report five species, Metopius (Ceratopius) maruyamensis Uchida, 1930, Metopius (Ceratopius) scrobiculatus Hartig, 1838, Metopius (Peltastes) fossulatus Uchida, 1933, Metopius (Peltastes) pinatorius $Brull{\acute{e}}$, 1846 and Metopius (Peltastes) sapporensis Uchida, 1930, which we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A key to Korean species of the genus Metopius, redescriptions of newly recorded species and digital images of Korean Metopius are also provided.

      •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안 연구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최진경 ( Choi Jin K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이 연구는 여성영웅소설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수록 양상을 검토하고,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여성영웅소설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성영웅소설은 젠더의식 함양과 다양성 수용 등과 관련된 교육적 가치가 있다. 특히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이와 같은 교육적 가치를 잘 구현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현행 교육방향을 함께 고려하여 효과적인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안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여성영웅소설의 교육 흐름 및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여성영웅소설이 처음 교과서에 수록되기 시작한 제7차 교육과정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국어과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여성영웅소설 교육이 갖는 몇 가지 방향성과 개선되어야 할 지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 문학의 특질로서 ‘영웅의 일대기 구조’의 교육은 문학사적 지식의 측면이 아닌 서사적 연속성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둘째, 수록 제재의 다양화라는 추세를 반영하여 다양한 제재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습 활동이 작품을 통해 얻은 지식, 기능, 태도를 학습자의 실제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방한림전>의 교육적 의미는 크게 두 측면에서 규정된다. 먼저 장르관습의 측면에서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서사의 탈피 양상을 띤 개성적인 텍스트로서, 학습자의 흥미와 긍정적 인식을 유도하고 창작 맥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주제 측면에서 <방한림전>은 다양한 삶의 형태를 내포하고 있어 젠더와 소수적 삶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효용을 지닌 작품으로 학습자의 비판적·창의적 사고 유발을 돕는다. 다만 <방한림전>은 장르관습에서 탈피한 변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영웅소설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 <홍계월전>과 <방한림전>을 함께 활용하는 방향으로 학습 과정을 설계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도입, 이해, 적용, 심화의 네 단계로, ‘작품 감상 → 작품의 서사구조 비교 → 작품의 주제의식 비교 → 토론’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고전에 흥미를 느끼고, 고전을 통해 다양한 가치를 학습하여 실제 사회에서 접하게 될 다양한 문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methods of female heroic novels focusing on BanghallymJeon. In general, female heroic novels have an educational value related to developing gender consciousness and accepting diversity. In that sense, BanghallymJeon is a representative work of female heroic novels. Therefore, this study design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female heroic novels focusing on BanghallymJeon. Before mapping out the curriculum, we survey the tendency of female heroic novels education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from the 7th curriculum, in which female heroic novels were first included in textbooks, to the latest textbooks revised in 2015. First, the biographic narrative structure of hero, a characteristic of Korean literature, needs to be educated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continuity rather than knowledge of literary history. Second, the education of various literary works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s in textbooks. Third, this paper point out that learning activities are required to be newly composed as a process that can apply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quired through the text to the real world. The educational meaning of BanghallymJeon is newly described in two aspects. First, in terms of genre conventions, BanghallymJeon is defined as a unique text since it is a break from the traditional female heroic narratives. Second, in the aspects of the theme, it is explained as a story with a social utility because students can learn the proper perspective of various types of gender and minority from the topic of the story. Especially, BanghallymJeon is a variant form that breaks away from genre conventions, so that learning effect will maximize when an understanding the classical example of female heroic novels is premised. Thus, the learning process was designed to utilize both HonggyewolJeon and BanghallymJe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s of four stages including introduction, understanding, application, and advancement.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interested in classic novels and learn various values through classics to foster attitudes that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problem situations in our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