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ffects of plasmaspheric density structure on the characteristics of geomagnetic ULF pulsations

        최지원,이동훈,김관혁,이은상,Choi, Jiwon,Lee, Dong-Hun,Kim, Khan-Hyuk,Lee, Ensang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The structure of plasmasphe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properties of geomagnetic ULF pulsations such as Pi 2 pulsations and field line resonances (FLRs) in the Earth's magnetosphere. We have performed a 3-D MHD wave simulation to investigate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ULF waves in dipole geometry. Various 3-D density structures are assumed, which include a relatively sharp density gradient and gradually less slopes at the plasmapause. The former condition can refer to the plasmasphere from local midnight to dawn, whereas the latter represents the region near noon to dusk where it bulges out. We show how Pi 2 pulsations and FLRs differentially appear at both multi-point satellite locations and ground stations for different local times. Our results suggest that 1) the local radial density structure significantly affects the peak frequencies for Pi 2 oscillations, while the polarization changes remain similar in the radial direction, and 2) the radial location of strong FLRs varies for different density profiles. It is also suggested how multi satellite measurements and ground-based observations can confirm this differential feature in space.

      • KCI등재

        기하판을 지원하는 초등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최지원,이용배,Choi, Jiwon,Lee, Yong-Ba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3

        This research supports the idea that manipulative devices can be an effective modality tool for learning abstract concepts involved with identifying geometric shapes and enhance learners'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Until recently specified manipulative device has been adapted only in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and it has been very rare to find devices that is designed for online-basis.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software which guide learners with geoboard i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g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o draw and to delete various shapes, this software helps learners immediately assess the outcome. The results of the Delphi Technique show promising evidence for it being a very efficient means to learn geometric shapes and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the subject matter.

      • KCI등재

        무덤의 낙원과 죽음의 유충: 쿳시의 고딕적 세계

        최지원 ( Jiwon Choi ) 영미문학연구회 2023 영미문학연구 Vol.45 No.-

        This study examines J. M. Coetzee’s Karoo novel, In the Heart of the Country (1977), through the lens of postcolonial Gothic. The story has raised many conflicted critiques regarding the reliability of its narrator, Magda, which often poses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 failed narrative. I argue that Coetzee’s Gothicism foregrounds the narrator’s Gothic subjectivity that seeks to defy the law of patriarchy under the colonial condition. Associated in some way with the Western Gothic tradition, In the Heart of the Country grapples with unpalatable socio-political issues by challenging the realist mode of representation that fails to capture the excesses of South African history. Hence, this paper traces the Gothic features in the novel with an emphasis on character represent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As a ghostly figure who raises the undead father by reiterating and rewriting her life story, Magda parodies and complicates the sequential narrative which, in Coetzee’s view, unpleasantly soothes the shattered colonial history. Coetzee’s fragmented story portrays a Gothic subject living in the garden of death, suggesting an alternative yet speculative imagination to the history of a colonial world.

      •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보행능력과 보행요소와의 상관관계 연구

        최지원(Choi, jiwon),한기훈(Han, gihun)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3 스포츠과학논문집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능력에 따라 지역사회 보행을 하는 그룹과 실내보행 및 제한적인 지역사회 보행을 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대상자의 균형능력과 근력 그리고 보행요소를 분석하여 각각의 그룹에 따른 요인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3년 5월에서 10월까지 인하대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보행이 가능한 뇌졸중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실내보행만 가능한 그룹11명과 제한적 지역사회보행이 가능한 그룹 21명 그리고 지역사회보행이 가능한 그룹 12명, 총 세 그룹으로 나누어 균형능력, 근력, 보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균형점수와 환측 대퇴사두근의 근력은 세 그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둘째, 보행요소 중 활보장, 보장, 보행속도는 세 그룹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보행요소 중 분속수는 지역사회 보행 그룹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지만 실내보행 그룹과 제한적 지역사회보행 그룹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행요소 중 보장시간은 실내보행 그룹과 지역사회 보행그룹, 실내보행 그룹과 제한적 지역사회 보행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보행요소 중 보폭은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차이(p>0.05)를 보였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보행능력은 환자의 균형능력과 마비측 다리의 근력, 그리고 보행요소 중 활보장, 보장, 보행속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endently ambulatory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ir walking ability in the community groups and limited indoor walking gait is classified as a group and the subject"s ability to balance the muscle strength and gait analyzes the factors according to each group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factors. The subjects are from May to October 2013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ha University Hospital. The ambulant stroke patients admitted to the 44 people who have indoor walking for only a limited group of 11. The community ambulant group 21 people and other possible communities Group 12 patients, a total of three groups with ability to balance, muscle strength, resulting in gait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the balance of quadriceps present muscle strength scores and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p <0.05), respectively. On top of that, these three elements: walking, stride length, and step length show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 <0.05), respectively. In the section of walking components group, Cadence represented best in community walking group but it did not presented the similar results (p < 0.05) of the following: community walking group, indoor walking group, limited community walking group. In the section of ambulatory component group, warranty time presents the similar results (p < 0.05) of the following: community walking group, indoor walking group, limited community walking group. All elements of the walking strid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p> 0.05), respectively. Over all these facts, community walking abilities of stroke patient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he ability of balance talent of patient, ability of paralysis side leg, and as well as the walking component of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walking speed.

      • 뇌파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실시간 뇌파 정규화 방법

        최지원(Jiwon Choi),성연식(Yunsick Sung),이창숙(Changsook Lee),조경은(Kyungeun Cho),엄기현(Kyhyun U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1

        뇌파를 이용한 뉴로피드백 훈련은 주로 치매나 주의력 결핍 아동, 과잉 행동장애 환자의 치료에 이용된다. 최근에는 치료목적이 아닌 집중력 향상이나 뇌 이완 훈련에 이용할 수 있도록 게임 콘텐츠 형태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뇌파는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파형을 가지므로, 이를 모두 반영하여 콘텐츠를 만들기는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의 특징적 뇌파를 고려하지 않고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파형을 정규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뇌파를 정규화 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정규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변환 공식을 만들어 냄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한 뇌파를 빠르게 정규화 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 VANAS: 신경망 구조 탐색을 위한 시각적 분석 시스템

        최지원(Jiwon Choi),홍권(Gwon Hong),조재민(Jaemin Jo)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 구조 탐색(Neural Architecture Search, NAS) 알고리즘의 탐색 결과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시스템인 VANAS를 제안한다. 방대한 탐색 결과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간선의 중요도 및 기여도를 정량화하는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구조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탐색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오버뷰와 심층 신경망 구조를 설계하고 분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였다. VANAS 를 통하여 NAS 분야의 표준 벤치마크 데이터 중 하나인 NAS-Bench-101을 분석한 결과, 신경망을 구성하는 정점 및 간선의 중요도를 확인하고, 시스템이 제안하는 간선을 추가하여 정확도를 점진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IoT 기술을 활용한 화재 감지 및 점검 시스템에 관한 연구

        최지원(Jiwon Choi),정기신(Keesin Jeong),정해영(Hai Young Ju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의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품들이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 중 하나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사람, 기기, 공간, 데이터와 같은 여러 형태의 객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IoT 기술을 활용한 기기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줄여주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관리하면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을 직접적으로 탐지하는 장치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등의 현상을 감지하고, 이러한 현상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화재라고 판단하여 화재 신호를 수신기에 송출한다. 화재감지기가 실제 화재 발생 시 정상 작동할 경우 화재 발생 상황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어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노후화된 감지기, 건물의 누수, 감지기에 분진이 쌓이는 등의 여러 상황들에 의해 감지기의 기능이 저하되어 실제 화재 시 작동하지 않거나 실제 화재 상황이 아님에도 작동하는 비화재보 등의 문제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을 자주해야 하지만 현재 설치되어있는 감지기들은 사람이 직접 방문해서 점검해야 하기 때문에 한정적인 점검인원이 다량의 감지기들을 일일이 점검하기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시간 화재 감지와 지속적으로 상시 점검이 가능한 화재감지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