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artial transmission block 제작 시 real block과 MLC를 이용한 방법 중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고찰

        최지민,박주영,주상규,안종호,Choi JiMin,Park JuYoung,Ju SangGyu,Ahn JongH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4 大韓放射線治療技術學會誌 Vol.16 No.2

        목적 : Pelvis내에 존재하는 large lesion과 inguinal lymph node를 동시에 치료하고자 할때 femoral head에 과도한 선량을 피할 목적으로 partial transmission block(이하PTB)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field가 서로 overlap되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소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어 본 논문에서는 real block과 MLC를 이용하여 각각 PTB를 제작한 후 몇 가지 비교를 통하여 두 가지 중 실제 임상에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제 치료 환자를 대상으로 디자인 된 PTB를 real block과 MLC를 이용하여 각각 제작한 뒤 아크릴 phantom으로 환자의 두께를 재현하고 치료 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노광된 film을 획득하였다. field간에 overlap되는 부분과 분리되는 부분은 block을 미세 조장한 후 다시 촬영하였으며 오차가 1mm이내에 들어 올때까지 junction을 반복 tuning하였다. 두 block을 재현성, 제작 편의성, 제작 시간으로 나누어 비료 분석하였다. 재현성은 5회 반복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제작 편의성 및 제작 시간은 real block과 MLC가 각각 제작 시작 시간부터 완성되는 시점까지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PTB를 제작함에 있어서 real block과 MLC는 재현성 면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제작 편의성에 있어서는 MLC가 junction tuning을 더 간편하게 수행 할 수 있었으며, 제작 시간 면에 있어서도 MLC가 real block에 비해 약$33\%$정도의 시간 절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PTB를 제작함에 있어서 real block과 MLC를 이용하는 것이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real block은 제작 편의성면에서 유연서이 떨어짐으로 각 fie의 junction을 tuning하는데 매우 어려움이 따름과 동시에 비교적 정확한 junction tuning을 시행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MLC특성상 발생되는 계단형태의 junction을 보완하여 PTB를 제작한다면 실제 임상에서 훨씬 간편하고 효율성 있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troduction : The Vaginal, the urethra, the vulva and anal cancer avoid the many dose to femur head and the additional treatment is necessary in inguinal LN. The partial transmission block to use inguinal LN addition there is to a method which it treats and produce partial transmission block a method and the MLC which to it analyzes. Material & Methode : The Inguinal the LN treatment patient partial transmission it used block and the MLC in the object and with solid water phantom with the patient it reappeared the same depth. In order to analyze the error of the junction the EDR2 (Extended dose range, the Kodak and the U.S) it used the Film and it got film scanner it got the beam profile. The partial transmission block and the MLC bias characteristic, accuracy and stability of production for, it shared at hour and comparison it analyzed. Result : The partial the transmission block compares in the MLC and the block production is difficult and production hour also above 1 hours. The custom the block the place where it revises the error of the junction is a difficult problem. If use of the MLC the fabrication will be break and only the periodical calibration of the MLC it will do and it will be able to use easily. Conclusion : The Inguinal there is to LN treatment and partial transmission block and the MLC there is efficiency of each one but there is a place where the junction of block for partial transmission block the production hour is caught long and it fixes and a point where the control of the block is difficult. like this problem it transfers with the MLC and if it treats, it means the effective treatment will be possible.

      • KCI등재SCOPUS

        귀리 종자흑변병에 관여하는 Alternaria alternata 검출 및 발생원인

        최지민,송지혜,안준섭,김대욱,양광열,Ji-Min Choi,Ji-Hye Song,Joonseob Ahn,Dea-Wook Kim,Kwang-Yeol Yang 한국식물병리학회 2023 식물병연구 Vol.29 No.4

        2023년에 강진 귀리 재배농가에서 종자흑변병이 의심되는 종자가 다수 관찰되었다. 흑변 증상을 보이는 귀리종자 132개를 선발하여 곰팡이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Alternaria속이 84%를 차지할 만큼 우점으로 검출되었고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되었다. 강진 재배농가의 같은 포장에서 2022년에 수확한 종자와 외관 및 품질을 비교한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2023년의 귀리 종자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종자 품질을 평가하는 전기전도도는 2023년 종자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어 종자의 활력에 차이가 있었다. 귀리 파이토알렉신으로 알려진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2023년 종자에서 2022년에 비해 10배 정도 높게 분석되었다. 출수 후 수확하기 전 생식생장 기간에 해당하는 2023년 5월 강진의 한 달 평균 강수량은 2022년 5월에 비해 230배 많았고 평균 상대습도도 높아 A. alternata의 감염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종자흑변병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후변화로 대발생할 수 귀리 병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적극적인 방제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In 2023, a number of seeds suspected to be discolored black oat seeds on oat farms in Gangjin were observed and examined for fungal infection. The species Alternaria alternata was predominant, accounting for 84% of all fungal infections. The appearance and quality of seeds harvested in 2022 were compared with seeds harvested in 2023 from the same field. The lightness value was lower in the seeds harvested in 2023, whil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higher in the seeds harvested in 2023. The content of avenanthramide was found to be 10 times higher in the 2023 seeds than in those harvested in 2022. The accumulated precipitation in Gangjin in May 2023 was 230 times higher than that in May 2022, and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was high. These conditions created an environment suitable for infection of A. alternata, which were thought to have caused discolored black oat seeds.

      • 3차원 입체조형치료시 Auto Contouring tool의 유용성 평가

        최지민,주상규,박주영,박영환,김종식,Choi, JM,Ju, SG,Park, JY,Park, YH,Kim, JS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2 大韓放射線治療技術學會誌 Vol.14 No.1

        Introduction : It is essential to input patients external contour in 3D treatment plan. We would like to see changes in depth and dose when 3D RTP is operating auto contouring when windows value (Width/Level) differs in this process. Material & Methode : We have analyzed the results with 3D RTP after CT Scanning with round CT Phantom.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MU values according to depth changes to Isocenter changing external contour and inputting random Window value. We have watched change values according to dose optimization in 4 directions(LAO, LPO, RAO, RPO), We plan 100 case for exact analyzation. We have results changing window value random to each beam in 100 cans. Result : It showed change between minimum and maximum value in 4 beam is Depth 0.26mm, MU $1.2\%$ in LAO. It showed LPO-Depth 0.13mm, MU $0.9\%$, RAO-Depth 0.2mm MU $0.8\%$, RPO-Depth 0.27mm, MU $1.1\%$ Conclusion : Maximum change in depth 0.27 mm, MU error rate is $0.12\%$ according to Window change. As we can see in these results, it seems Window value change doesn't effect in treatment. However, it seems there needs to select appropriate Window value in precise treatment.

      • KCI등재

        사회자본이 노인문제감소에 미치는 효과분석 - 기초지방정부수준의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지수를 활용하여-

        최지민 ( Jimin Choi ),김순은 ( Soon Eun Kim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수준의 사회자본이 지역 내 노인문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감소 시키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에 기초지방정부(227개 시군구의 2007-2012년 간 패널데이터)의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활용하여 사회자본이 지역 내 노인문제(노인질병, 노인자살, 노인빈곤, 3가지 노인문제의 종합지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자본의 긍정적 영향력은 패널고정효과분석 뿐만 아니라,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간의 내생성을 고려한 도구변수모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만 노인장기요양등급자 규모로 조작적 정의한 지역 내 노인빈곤이 사회자본 수준에 비례하고 있다. 이는 지역 내 사회자본이 중증질환 노인을 증가시켰다기보다, 신청주의에 근거한 제도의 특성상 사회자본이 제도이용에 관한 정보를 확산시켰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는 사회자본이 지역주민, 특히 고령자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지역중심의 복지체계 구축과 개별적으로 진행 중인 마을 공동체 사업과 공공복지전달체계 간의 연계를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aging problem at the local government The aging problem was operated of the aging problem, such as elderly prevalence rate, suicide rate, poverty rate and weighted measurement value of these indicators of primary local governments. Using panel data of 227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orea, collected from 2007 to 2012, panel fixed effect analysis(simple fixed effect model and two stage least square analysis with instrument) was conducted. First, we estimate a basic model, not including instrument of social capital and then compare the coefficient of social capital on institutionalization with equation with instruments to consider endogeneity of the equation. Our empirical results reveals that (1) higher level of social capital reduce elderly suicide rate and poverty rate, but (2) remarkably increase elderly prevalence rate. This contradicting result implies that the social capital help elderly to access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which is observed variable for elderly prevalence rate. Therefore, the validity of regional level elderly prevalence might be problematic without substituting proper proxy variable. And taken together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 policy implication of public service delivery for elderly from social capital perspective.

      • 사회적 영향력 가중치 기반 그룹 추천 시스템

        최지민(Jimin Choi),한영동(Yeongdong Han),이종은(Jongeun Lee),이석훈(Sukhoon Lee),서영덕(Young-Duk Seo)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온라인상에서 사회적 망 형성이 증가함에 따라 그룹의 특징에 따른 적절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하지만,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한 기존 연구는 비용과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실생활에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사회적 정보를 가중치로 간편화하고 속도가 빠른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한번의 그룹화만 진행함으로써 기존 그룹 추천 시스템보다 신속하면서 정확한 그룹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As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s online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nd deliver appropriate information. However, in existing studies are difficult to use it in real life due to problems such as cost and time. In the paper, we propose a faster and more accurate group recommendation system by simplifying users" social information into weights and proceeding with a fast clustering technique.

      • KCI등재

        정체 규모(polity size)의 정치적 효과

        최지민(Choi, Jimin),정광호(Jung, KwangHo),김순은(Kim, SoonEu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정치단위의 규모(population size)가 정치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쟁점과 실증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시민의 정치적 참여에 적합한 정치단위의 적정규모에 대해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자연실험 상황을 이용한 실증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규모변화가 시민의 민주적 참여에 미친 인과 효과를 밝히고자 한다. 과거 정치 단위 규모에 관한 실증연구들은 연구모형 상 한계, 데이터의 한계, 선택된 데이터 시계열의 차이 등으로 인해 규모의 인과적 효과를 제대로 밝히지 못했다. 그러나 자연실험 상황은 동일한 정치단위의 인구 변화를 직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규모의 효과를 제대로 포착할 수 있다. 이들 연구를 요약하면, 정치 단위 규모를 정당과 선거구 크기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규모의 증가는 시민의 정치 행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가 커질수록 투표율이 낮아졌으며, 시민들은 지역 정치에 관한 사항을 잘 알지 못했고, 정부가 자신의 요구를 더 잘 들어줄 것이란 믿음도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행정의 효율성 측면에서만 접근하였던 행정구역 통합 논의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deals with question on the relations between polity size(population) and democratic political behavior by analyzing political theory issue and reviewing empirical research. What is the optimal polity size for political behavior? Many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polity size are quiet limiting as they have several imperfection such as endogenous research design and difference in time-series data and different context. In particular, by introducing several research implemented under natural experiment situation, we try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wo concepts. The evidence from these studies suggests that polity size has negative effect on political behavior. Further evidence suggests that this negative effect is the result of a tendency of citizens in small polity have more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trust with their local politics than residents in large units. This results implicate that it requires a more judicious approach to apply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consolidation which is mainly focused on efficiency value.

      • KCI등재

        수학 독서 토론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최지민 ( Choi Ji Min ),신항균 ( Sihn Hang G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수학 독서 토론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실험집단과 수학적 창의성과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큰 차이가 없는 1개 학급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 13주 동안 총 9회에 걸친 수학 독서 토론을 진행하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 활동지를 통해 독서 토론을 하기 전, 도서 내용에 관련된 배경 지식을 정리하고 사고를 확장해 볼 수 있도록 한 후 모둠별로 실제 주제를 가지고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토론 후 모둠의 토론 결과를 학급 전체가 공유하면서 생각을 정교화 하였다. 실험 전 후에 수학 독서 토론 활동을 실시한 학생과 미실시한 학생 사이에 사전, 사후 수학적 창의성 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사후 수학적 창의성 검사 점수를 하위 영역별로 t-검정 분석 결과, 수학적 창의성 검사의 하위 요소인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창성 영역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한편,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한 후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를 t-검정한 결과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의 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수학독서 토론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수학 독서 토론 활동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에 자신감을 가지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s reading discussion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study examined two classes of the D Elementary School in Gangseo-gu, Seoul, South Korea and examined the results of a similar outcome by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test. The treatment group conducted mathematics reading discussion in nine innings and was excluded from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onducted the mathematics reading discu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rea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cluding originality, fluency and flexibility, In particular, the fluency differed considerably compared to other areas. Second, the group conducted the mathematics reading discussion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chievement, but the result of the treatment group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reading discussion can become an effective method to be able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Having a chance to stimulate a variety of thinking and solving creative problems during discussion can have positive impact on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Second, mathematics reading discussion do not have much to do with improving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There was a difficulty in improving students' achievement in discussions without direct links to the curriculum.

      • KCI등재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서 Space Balance 3D와 Tinetti Mobility Test를 이용한 균형 능력 평가의 신뢰도 및 동시타당도 연구

        최지민(Ji-Min Choi),이종훈(Jong-Hoon Lee),하현근(Hyun-Geun Ha),김양구(Yang-Gu Kim),김연희(Yun-Hee Kim),배영현(Young-Hyeo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화된 시각적 되먹임 균형 훈련 및 평가 장비인 space balance 3D와 기능적 검사인 tinetti mobility test (TMT)의 신뢰도 및 버그균형척도와의 동시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아급성 뇌졸중 환자 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자에게 space balance 3D, TMT, 버그균형척도를 이용해 균형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간 신뢰도에서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은 중등도의 신뢰도를 보인반면,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동시타당도에서 TMT의 세가지 점수, 버그균형척도, space balance 3D의 정적균형간에 각각 중등도의 유의한 (p<.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TMT의 세가지 점수와 버그균형척도는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의 후좌측, 전좌측 방향과는 각각 유의한 (p<.05)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나머지 방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space balance 3D와 TMT의 균형 능력 평가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space balance 3D의 동적균형 평가는 한계점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inetti mobility test (TMT), berg balance scale (BBS) and space balance 3D which is one of the computerized measurement and visual feedback balance assessment system in subacute stroke patients. Twenty three ambulatory acute stroke subjects were measured the TMT, BBS and space balance 3D. The test-retest reliability(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indicated that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space balance 3D considered moderate reliability and TMT, BBS were good reliability. In case of concurrent validity, there were moderate validity (p<.01) between static balance test with space balance 3D and each TMT, BBS. But there were only poor validity (p<.05) between center to forward-left, center to backward-left phase in dynamic balance test with space balance 3D and each TMT, BB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using the space balance 3D and TMT were valuable in balance test but there was limitation to evaluate dynamic balance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