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DA-9601 versus Its New Formulation, DA-5204, in Patients with Gastritis: Phase III, Randomized, Double-Blind, Non-Inferiority Study

        최윤진,이동호,최명규,이성준,김성국,송근암,이풍렬,정훈용,강대환,이용찬,이시형,최석채,심기남,설상영,문정섭,신용운,김현수,이수택,조진웅,최은광,이오영,장진석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11

        This study compared the efficacy of DA-9601 (Dong-A ST Co., Seoul, Korea) and its new formulation, DA-5204 (Dong-A ST Co.), for treating erosive gastritis. This phase III, randomized, multicenter, double-blind, non-inferiority trial randomly assigned 434 patients with endoscopically proven gastric mucosal erosions into two groups: DA-9601 3 times daily or DA-5,204 twice daily for 2 weeks. The final analysis included 421 patients (DA-5204, 209; DA-9601, 212). The primary endpoint (rate of effective gastric erosion healing) and secondary endpoints (cure rate of endoscopic erosion and gastrointestinal [GI] symptom relief) were assessed using endoscopy after the treatment. Drug-related adverse events (AEs), including GI symptoms, were also compared. At week 2, gastric healing rates with DA-5204 and DA-9601 were 42.1% (88/209) and 42.5% (90/212),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0.4% (95% confidence interval, −9.8% to 9.1%), which was above the non-inferiority margin of −14%. The cure rate of gastric erosion in both groups was 37.3%. The improvement rates of GI symptoms with DA-5204 and DA-9601 were 40.4% and 40.8%,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secondary endpoints. AEs were reported in 18 (8.4%) patients in the DA-5204 group and 19 (8.8%) in the DA-9601 group. Rates of AE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No serious AE or adverse drug reaction (ADR) occurr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on-inferiority of DA-5204 compared to DA-9601. DA-5204 is as effective as DA-9601 in the treatment of erosive gastritis. Registered randomized clinical trial at ClinicalTrials.gov (NCT02282670)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ICT 활용수업에서 탈전문화 문제의식과 ICT 수용태도와의 관계

        최윤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1

        ICT 활용수업에서 탈전문화는 교사가 수업을 계획, 실행, 평가하는 과정에서 타인에 의해 만들어진 교수자료에 맹목적으로 의존하면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이미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수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수업이 표준화되고 주어진 프로그램의 단순한 실행자로 전락하여 수업전문가로서의 권위를 상실하게 된다.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교사가 ICT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사가 자신의 수업목적에 맞게 ICT를 재구성하여 적절히 활용하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지만, 무비판적으로 양적인 사용에만 치중한다면 오히려 수업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에서는 ICT 활용수업에서 나타나는 탈전문화 현상에 대한 교사의 비판적 인식과 향후 ICT 수용태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탈전문화 문제의식이 ICT 수용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ICT 태도, ICT 활용능력, ICT 사용수준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탈전문화 문제의식 수준은 ICT 수용태도에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며, ICT 태도와 ICT 사용수준 변인에서 탈전문화 문제의식은 매개효과를 통해 ICT 수용태도에 영향을 주었다. 곧, 탈전문화 문제의식이 높은 교사는 비판적이며 선택적인 ICT 수용태도를 가질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in the use of ICT instruction,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ical 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ICT. The de-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refers to the deskilling of their work, which includes the standardization, simplification, and routine-making of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degree of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influential level of a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is the highest influential variable that of his or her ICT attitude and the extent of his or her ICT use. Third, there were mediator effect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among his or her ICT attitude, the extent of his or her ICT use and his or her attitude towards the use of IC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impacting a teacher's attitude towards the use of ICT is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de-professionalization. In the future, if teacher are concerned with the de-professionalization of their profession, they will utilize ICT in their teaching practices to a low degree. What's more, they will be critical attitude and utilize selective materials.

      • KCI등재

        중학교 수준별 수업의 현실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성찰

        최윤진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교육사회학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중학교 수준별 수업의 현실과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수 준별 수업은 1997년부터 평준화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공교육 내실화와 사교육비 경감을 실현하고자 수월성과 효율성을 목표로 추진되어 왔다. 12명의 중학교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준별 수업이 어떻게 운영되는지의 과정을 입체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삼차원의 단면으로 범주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수준별 수업의 표면 차원에서는 학생들의 ‘성적’을 기준으로 적정 인원수를 배분한 분반 구성, 비정규직 강사 채용 그리고 정교사의 수업부담을 나누는 순환배치 형태를 적용하고 있었다. 둘째, 수준별 수업의 드러난 내면 차원에서는 맞춤형 분반 수업의 실제 운영기제를 보여주었는데, 분반별 차별화된 교육 과정(differentiated curriculum)과 ‘수업은 다르지만 평가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상 반 학생들은 혜택을 보고 하반 학생들은 실질적인 이점을 얻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 었다. 셋째, 수준별 수업의 숨겨진 이면 차원에서는 학생들 간에 분리와 배제를 내면화시키 지만 하반 학생들에게는 ‘그들만의 세계’로서 학습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교사들 은 자신이 맡은 분반에 속하지 않은 학생들을 담임으로서 지도해야 하는 상황, 학기 중 시 험결과에 따라 순환배치 되어 수준별 수업을 맡게 되자 매번 달라진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 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 결과 개별적인 학생 파악과 학생 관리가 어려워졌고 수업은 안정 감을 잃게 되고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단절되는 경험을 토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수 월성과 효율성을 표방한 수준별 수업이 보편성과 평등성을 추구하는 공교육 기관에서 실효 성을 가져올 수 있는 제도였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또한 수준별 수업의 경험과 성 찰과정을 통해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수업개선’ 노력에 주목하여 학교의 사 회자본(school social capital)구축의 필요성과 교사의 실행의지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reality and meaning of level-based classes at middle schools. The level-based class system in Korea was introduced in 1997 and pushed ahead with strong political intention of enhancing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and reducing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2 middle school teachers provid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schools’ operation of level-based classes. First, the level-based classes were run by assigning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to each level based on their GPA, hiring part-time teachers, and dividing the full-time teachers’ burden of lesson preparation. Second, the classes were divided by, and customized to different levels.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and “different class material but same student evaluation” approach were applied in this process. As a result, high-level students gained advantages from this class while low-level students were not benefited, in fact. Third, as GPA-centered system, the level-based class caused division and exclusion among students. However, it also provided low-level students with learning opportunities by creating a class entirely for them and their learning. Lastly, teachers shared their frustration with feeling disconnected from students. They sometimes had to supervise students whom they do not teach in class; students were frequently reassigned to each level after midterm and final exams during semester. Thus,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organize their classes and get to know individual students. It was claimed that the level-based class was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However, this study questions its effectiveness in revitalizing public education. Furthermore, carefully discussed ar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friendships, and classes in which students can learn how to cooperate and care for others instead of competing and creating divisions among themselves as social capital of sc

      • KCI등재

        공개 소프트웨어 OMEKA를 이용한기록 웹 전시 방안 연구

        최윤진,최동운,김형희,임진희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Korea has a high standard of IT environment to serve exhibit programsthrough the web with internet propagation and IT technology. However,the web exhibition of public institutions not only seem to introduce off-lineexhibitions but also not to invigorate. It is caused by the lack ofawareness, the cost of system installation and the lack of professionalmanpower. In this situation, OMEKA could suggest practical solutions toarchives where need their own exhibition through the web. Especially, itwould helpful for small record management organizations which are notenough budget and personal. OMEKA is an open source software program for digital collection andcontents management. It has an affinity with users unlike traditionalarchives service programs. It also has been variously used by libraries,museums and schools because of exceptional exhibit function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o the installation of a practical use aboutOMEKA. Regarding to OMEKA features, we consider it to raise exhibiteffects. OMEKA would reduce the cost related to plans of exhibitions because itcould display various contents and programs which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installation and widespreadtechnological environment would lessen burden of public institutions. UsingOMEKA, they would improve service level of public institutions and, makeusers satisfy. Therefore, they can change the social recognition of publicinstitutions. OMEKA can contribute to various exercises of public records. It is notjust the stereotypical system but, serves exhibition and collections with thestrategy which each public institution would like to display. After all, it notonly to connect to users with producers but also to improve the publicimage of institutions positively. Then, OMEKA would bring the great resultthrough this interac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users. 우리나라는 높은 수준의 IT기술과 인터넷 보급률 덕분에 웹 전시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공공기관의 웹 전시는 단순히 오프라인 전시프로그램을 소개하거나 웹전시 자체로는 활성화 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공공기관의 웹 전시가 활성화 되지 못하는 이유로는 웹 전시에대한 인식 부족, 시스템 구축비용 문제, 전문 인력 부재 등을 들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시스템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과예산이 부족한 소규모 기관에서는 공개 소프트웨어의 적극적인활용이 필요하다. 본고는 기록을 전시하기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인 OMEKA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해외 사례 및 설치에서 전시에 이르는 활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OMEKA가 가진 특징을 고려할 때 전시효과와 효용을 높이기 위해 보강되고 갖추어야 할 점을 검토하였다. OMEKA는 전문적 기술 없이도 멀티미디어의 웹 전시가 가능해시청각 기록물의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OMEKA는설치가 쉽고 운영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발달 추세에 맞는 기술적 유연성을 갖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기관의 목적을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OMEKA는 디지털 컬렉션과웹 전시 등 콘텐츠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전통적인 아카이브 활용 프로그램과 달리 이용자에게 친화적이다. 특히 전시 기능이 탁월하여 이미 여러 도서관과 소규모 박물관, 학교 등에서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OMEKA를 활용, 공공기관의 전시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켜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면 이를 통해 공공기관에 대한 사회 전반의인식을 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기관에서 보유한 기록에 대해 주제와 내용에 맞는 기획으로 전시 컬렉션을 제공할 수 있고 기관과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록물 활용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OMEKA는 웹 전시가 필요하지만 전시를 위한 환경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공기관에 현실적인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 KCI등재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최윤진,김정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infant teachers’ job burnou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pervisor’s social support that they perceiv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1 infant teach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Seoul Cit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supervisor’s social support scale, and the perceived burnout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both infant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erceived supervisor’s social support have a nega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s’ overall burnout as well as its sub variables. On the other hand, infant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has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supervisor’s social support. Secondly,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eachers’ burnout.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 경기 및 강원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81명의 영아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사회적 지지 질문지(이재영, 2012)와 소진 질문지(김혜경, 2011), 심리적 안녕감 질문지(박신영, 2011)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는 소진 전체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그 하위변인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도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소진 전체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그 하위변인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영아반 교사가 인식한 심리적 안녕감이 사회적 지지와 소진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E2/E6 ratio and L1 immunoreactivity as biomarkers to determine HPV16-positive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CIN2 and 3) and cervical squamous cell carcinoma

        최윤진,이아원,Tae-Jung Kim,진현탁,서용복,박종섭,이성종 대한부인종양학회 2018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29 No.3

        Objective: Human papillomavirus (HPV) 16 is the most carcinogenic HPV genotype. We investigated if HPV16 L1 capsid protein and E2/E6 ratio, evaluated by cervical cytology, may be used as biomarkers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2 lesions. Methods: Cervical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226 patients with HPV16 single infection. Using cytology specimen, L1 capsid protein and E2/E6 ratio were detec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histologic analysis of cervical tissues (CIN1–3 and squamous cell carcinoma [SCC]) to evaluate the association. Results: The L1 positivity of CIN2/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ervical tissue (p<0.001) and SCC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L1 positivity than CIN1 (p<0.001). The mean E2/E6 ratios of specimens graded as SCC (0.356) and CIN2/3 (0.483)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pecimens graded as CIN1 (0.786) and normal (0.793) (p<0.05). We observed that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for E2/E6 ratio (0.844; 95% confidence interval [CI]=0.793–0.895) was higher than that for L1 immunochemistry (0.636; 95% CI=0.562–0.711). A combination of E2/E6 ratio and L1 immunocytochemistry analyses showed the highest AUC (0.871; 95% CI=0.826–0.917) for the prediction of ≥CIN2 lesions. Conclus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validate HPV L1 capsid protein expression and decreased HPV E2/E6 ratio as valuable predictive markers of ≥CIN2 cervical lesions. Cervical cytology may be analyzed longitudinally on an outpatient basis with noninvasive procedures as against invasive conventional histologic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