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성리더십이 변화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감정적 변화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우재,조윤형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4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부하들의 변화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감정적 변화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이들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도 살펴보았다. 진성리더십은 리더 스스로 진정성을 갖고 부하들과 진실된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부하들로 하여금 조직이 추구하는 변화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게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변화에 대한 태토인 감정적 변화몰입은 변화지지행동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였고, 결국 감정적 변화몰입을 통해 진성리더십이 변화지지행동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조직공정성이 높을 경우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표본으로 설정한 은행들에서 402명의 설문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성리더십은 감정적 변화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적 변화몰입은 조직 구성원들의 변화지지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변화몰입은 진성리더십이 변화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은 진성리더십이 감정적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조절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결국 조절화된 매개 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진성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긍정적 태도가 결국 변화지지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공정성 수준이 높을 경우 진성리더십이 감정적 변화몰입을 높이며, 높아진 감정적 변화몰입을 통해 변화지지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살펴봤을때 결국 조직에서 진성리더십을 통해 조직의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조직공정성을 높게 확보해야 하며 변화에 대한 감정적 태도의 형성을 통해 변화지지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기업경영연구」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최우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3 기업경영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2022년 한 해 동안 기업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기업경영연구를 통해 생산되는 지 식과 정보가 기업경영에 어떠한 도움을 주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먼 저 한 해 동안 게재된 논문을 학문영역, 연구유형, 자료원천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 학문영역별 논문들의 주요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2022년 기업경영연구에는 48편의 논문이 게재되었다. 인사조직 17편, 재 무회계 14편으로 두 영역에 많은 논문들이 게재되었다. 연구유형을 보면 실증연구가 3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자료원천은 2차 자료 21편 및 설문지 자료 18편이었다. 이러한 분석에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pursues to analyze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for the year of 2022. The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idng to academic areas, research types, and data sources. In addition the main contents of papers in each academic areas were summarized. Forty-eight papers were published in 2022. There are 17 papers of management and HR area, fourteen papers of finance and accounting area. In terms of research type, empirical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with 36 papers, and the data sources were twenty-one secondary data and eighteen were questionnaire data.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 진성리더십이 군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최우재,송하동 대한경영학회 2014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군 조직의 집단 및 개인수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LMX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진성리더십은 리더 스스로 진정성을 갖고 부하들과 진실된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부하들로 하여금 조직이 추구하는 집단 및 개인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성리더십이 개인수준 조직효과성을 높일수 있다고 보았다. 이때 소대장의 진성리더십을 집단수준으로 상정하고, 개인수준의 효과성과 다수준 분석을 위해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활용하였다. 또한 LMX의 질이 높을수록 그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SEM(Structrual Equatioin Modeling)을 통해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표본으로 설정한 육군 소대급 45개 제대 460명이 응답한 설문을 통해 가설은 검증하였으며,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은 집단수준 효과성(집단성과, 집단효능감)과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수준 효과성(조직시민행동)과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진성리더십이 개인수준 효과성(전투사기, 조직시민운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MX는 진성리더십과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 연구가 주로 다루어 왔던 연구 대상의 범위를 넓혀 군 조직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분석결과를 볼 때 진성리더십은 군 조직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진성리더십이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매카니즘과 조건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개인창의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최우재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5 경상논총 Vol.8 No.1

        본 연구는 개인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이론적 모형 설정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를 통해 세 가지 핵심 변수를 제시하였다. 첫째 직무특성이다. 개인이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직무의 특성이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이 수행하는 직무가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고 개인의 행동의 결과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면 개인창의성은 높아질 것이다. 둘째, 학습목표지향성은 새롭고 도전적인 과제를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발전 및 학습의 기회로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수행하려는 성향을 말한다. 학습목표지향성이 높은 개인은 도전적인 과제을 선호하고 창의적 태도와 행동을 보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셋째, 팀은 개인이 업무를 수행하는 최소 단위이다. 따라서 팀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디이어와 행동에 대해 지지한다면 개인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와 같은 세 가지 변수들은 개별적으로 개인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상호작용을 통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론적 모델에 기반하여 향후 수행될 실증적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안전보건경영은 어디까지 와있는가? :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최우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2 기업경영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안전경영의 개념을 소개하고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에 앞서 건설산업을 중심으로 실태조사결과를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안전경영을 통한 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있다. 안전보건경영은 사업주가 자율적으로 사업장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잠재적으로 유해 및 위협 요인을 개선하는 등의 제반활동을 말한다. 안전보건경영 실태조사의 결과를 보면,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안전보건관리의 활동과 의사소통에 보다 많은관심과 투자를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해서는 대기업이 더 많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개정 및 보완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였다. 중대재해처벌법의 제정과 시행으로 관심이 높아진안전보건경영은 이해관계자들의 상반된 의견으로 인해 지향점을 찾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기업, 근로자, 정부, 지자체 등 각 주체의 개별적인 노력과 함께 일관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안전보건경영에 대한 연구는 공학적 관점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건설현장 사고의 주요한 원인이 안전문화와안전의식의 부족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전문화와 안전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프로젝트 수행과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최우재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1

        본 연구는 대학교 수업 중에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 수행이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조직에서 팀은 업무를 통한 생산성이 발휘되는 최소의 단위이다. 따라서 대학교에서 팀 프로젝트 수행은 학습을 위한 교수설계인 동시에 대학생들의 팀워크와 협업 역량을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연구를 위해서 학기 초(T1)와 학기 말(T2)에 각각 셀프리더십,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동기를 측정하고 그 차이를 각 변수의 향상도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팀 프로젝트 수행은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향상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자기효능감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멘토링, 학습사, 진로준비행동이 진로전망에 미치는 영향

        최우재,문승태,김재필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멘토링의 경험, 학습사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들 변인들은 매개변수인 진로준비행동을 통해서 대학생들이 진로전망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교 383명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PC Win(ver. 1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 내적 신뢰도(Cronbach α),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 경험, 학습사는 진로준비행동을 13%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둘째, 멘토링 경험, 학습사,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전망을 39%정도 설명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사는 진로전망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간접효과가 있었으며, 멘토링 경험은 직간접적으로 진로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직접적으로 진로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학습사, 멘토링 경험 변인은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변인으로 종속변인인 진로전망에 직·간접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ursue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entoring experience, history of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futur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383 students from 4 university in the area of Jeolanam-do and Gwangju-si were involved in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were employ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with SPSS/PC(ver. 15.0). The results show that mentoring experience and history of learning accounts for thirteen percents on varia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tion of career future is also explained thirty-nine percents by mentoring experience, history of lear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us, history of learning has no direct impact, but indirect impact on career future, while mentoring experience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career future.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mentoring experience and history of learning have impact on career future throug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