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독도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허은철(Eun Chul Heo),최예솔(Yea Sol Choi),홍윤선(Yoon Sun H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독도교육이 공식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초등학교의 현 실정을 이해하고, 향후 초등학교 독도교육의 내실화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독도교육의 실천 주체인 초등교사 8명을 심층 면담하여 초등교사의 독도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독도교육의 필요성, 독도교육의 실천 모습은 교육부 및 선행연구들이 추구하는 방향성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계기 교육 수준의 교사 의존적 수업, 수업자료의 질적 한계,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소외 및 그로 인한 수업시수 부족과 교육의 깊이 결여 등 현실적인 한계들이 독도교육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독도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듈 방식의 독도 전문 교육과정 개발 및 보급, 교사와 학생들을 위한 직접 체험의 기회 확대, 그리고 교사 협력 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of the Dokdo islands (Dokdo) with regard to its educational introduc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find ways to enhance and revitalize Dokdo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future. To this end,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the implementers of Dokdo education, were interviewed in-depth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Dokdo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Dokdo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practice of Dokdo education were appropriate for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practical limitations such as teacher-dependent classes at the level of civic education, quality limitations of class materials, alien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lack of class hours and depth of education were obstacles to Dokdo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modular Dokdo specialized curriculum, expand hands-on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teachers and students, and establish a teacher cooperation network as a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enhance Dokdo education.

      • KCI등재

        창의적 환경 유형별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특성 분석

        김미숙(Mee sook Kim),최예솔(Yea Sol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3

        This study reviewed the creative environmen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home and school and categorized such environment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level. The study then analyzed what difference its type mak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reative personality. In addition, it also attempted to identify how much their creative personality is influenced by such creative environment and what unique influence individual factors of such creative environment may have on their creativit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n 1,139 students in grade 3 and 6 of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s measurement tools, both creative environment inventory(CEI) and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CPI) were utiliz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is, the creative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nd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such creative environment carri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of creative personality.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creative environment at both home and school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unique influence on creative personality and, in particular, the creative environment at home has a relatively larger unique influ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formulated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respect to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가정과 학교의 창의적 환경을 살펴보고, 환경의 특성 및 수준에 따라 유형별로 범주화한 뒤, 그 환경 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창의인성 특성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창의적 환경이 초등학생의 창의인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창의적 환경의 하위요인별로 그 고유한 영향력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6개 초등학교의 3학년과 6학년 학생 총 1,13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창의환경검사(CEI)와 창의인성검사(CPI)를 활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창의적 환경은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그 유형에 따라 모든 창의인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과 학교의 창의적 환경은 창의인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고유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가정환경의 고유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창의적 환경 및 창의인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중·고 학생의 그릿(Grit)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및 성별·학년별 특성

        김미숙(Kim Mee sook),이성회(Lee Sung hoe),백선희(Paik Sun hee),최예솔(Choi Yea S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장기적 목표에 대한 끈기와 열정’(Duckworth et al. 2007)을 의미하는 ‘그릿’의 중요성은 성공적인 삶에서 꾸준히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의 환경 요인 및 성별·학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1학년,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총 4,9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의 진단을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경제적 환경, 가정 및 학교환경 대부분의 변수들은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학교에서의 친구들의 지지와 즐거운 반 분위기, 가정에서의 새롭고 다양한 경험 권장과 책 권수는 긍정적 영향을, 학교와 가정에서의 엄격한 규칙과 지시적 분위기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릿의 성별·학년별 차이를 진단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학년별 차이는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릿을 지속적으로 계발하고 이에 힘입어 성공적으로 과업을 수행해나갈 수 있는 학습자를 기르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요인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tudents’ grit scores and the sex and grade differences in those grit scores. From 17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 total of 4,954 students (Grade 1, Grade 4, Grade 7, and Grade 10) were surveyed.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actors including SES and various aspects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grit scores, which were composed of perseverance of efforts and consistency of interest. Especially, peer support and supportive class atmosphere in school was an influential factor positively affecting students’ grit scores while strict rule and directing atmosphere both at home and school negatively influenced the grit scores. Also, additional two way ANOVAs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s in grit scores were significant across the four grades,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across sex. These findings implied that it was important to foster supportive home and school environments in order to help students increase their g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