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불면증 환자에게 적용한 단기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최수정,이영희,Choi, Su-Jung,Yi, Young-Hee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08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 the effects of the Abbreviat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ACBT) on chronic insomnia. Methods: Study was one-group interrupted time series study that involved 13 adults(mean age=51.7, aged 25-77 years) with chronic primary insomnia who visited sleep disorder clinic of S Hospital from November 2004 to October 2005. The subjects received 2-session individual ACBT with 2 week-interval($1^{st}$: 1.5- 2hrs, $2^{nd}$: 20-30min). To measure the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sleep patterns, 3 times of insomnia severity index and sleep logs were completed(before ACBT, after ACBT, and 3-month after ACBT). The main outcomes were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sleep patterns(sleep onset latency, waking after sleep onset, and total sleep time, sleep efficienc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version program by Friedman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with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insomnia severity index, sleep onset latency, and waking after sleep onset, and increase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Conclusion: ACBT was effective in reducing subjective insomnia severity and improving sleep patterns. Sleep improvement was better sustained over time with ACBT.

      • KCI등재

        순환교대근무 간호사의 일주기유형에 따른 근무조별 수면시간, 사회적 시차, 주관적 수면장애 비교

        최수정(Choi, Su Jung),주은연(Joo, Eun Yeon),김경숙(Kim, Kyeong Sug) 한국기초간호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leep duration, social jetlag (SJL), and subjective sleep disturbanc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ronotype in rotating shift nurses. Methods: A total of 344 rotating 3-shift nurses (mean age 28.67 years) were recruited at one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They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used to assess their chronotype and sleep: the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MEQ), self-reported sleep duration of work days (SDWshift) and free days (SDFshift) in each shift (day [D], evening [E], night [N]), and sleep disturbance (Insomnia severity index, ISI). SJLshift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in midsleep (MS= sleep onset+1/2 sleep duration) between work days (MSW) and free days (MSF). Resul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chronotype groups according to the MEQ; morning (MG, 4.4%) intermediate (IG, 57.8%), and evening groups (EG, 37.8%). SDWD was shortest (4.68 hr) and SDFE was longest (8.93 hr) in the EG. SJLD was longest in the EG (3.77 hr), and SJLN was longest in the MG (7.37 hr). The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 was 33.3% (MG), 29.6% (IG), and 40.0% (EG), respectively, without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sleep of shift workers, it is recommended that the evening chronotypes should reduce the day shifts and the morning chronotypes should reduce the night shifts. We also propose a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se shift assignments can improve the sleep in shift nurses.

      • KCI등재

        폴리카보네이트의 저분자량 화합물 및 휘발성 유기물에 대한 접촉추출 영향

        최수정 ( Su Jung Choi ),윤경화 ( Kyung Hwa Yoon ),황인혜 ( In Hye Hwang ),이창용 ( Chang Young Lee ),김희승 ( Hee Seung Kim ),유승윤 ( Seung Yoon Yoo ),김연철 ( Youn Cheol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0 공업화학 Vol.21 No.5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내에 잔류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과 저분자량 화합물 함량 변화에 대한 연구가 케톤류(아세톤, 펜타논, 부타논)의 용매를 사용한 접촉추출 실험으로 수행되었다. 접촉추출 전 시료의 저분자량 화합물의 양은 2.6 wt%이었으나 아세톤으로 접촉추출 한 시료의 경우 0.96 wt%, 펜타논으로 접촉추출 한 시료의 경우는 1.53 wt%로 나타났고, 아세톤의 경우가 저분자량화합물 추출에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변화 확인을 위해서 GC-Mass를 이용하였다. GC-Mass 실험 결과 휘발성 유기물로 염화메틸렌, 톨루엔 등이 확인되었고, 정량한 결과 펜타논의 경우가 아세톤의 경우보다 VOCs 처리에 효율적이었다. VOCs와 저분자량 화합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서는 아세톤과 펜타논의 혼합사용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고 혼합용매 사용결과 부피비로 50:50에서 최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A study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low molecular weight (LMW) amount which is contained within bisphenol A polycarbonate (PC) was performed by the solvent extraction with ketone type solvents (acetone, butanone, pentanone). The LMW amount of untreated PC was 2.6 wt%, but the values of treated samples with acetone and pentanone were 0.96 and 1.53 wt%, respectively. Acetone is a more effective solvent than pentanone on the LMW extraction. Methylene chloride (MC) and toluene were certified and quantified by GC-Mass experiments, and the quantitative results indicated the fact that the pentanone was the effective solvent on VOC extraction. Focused on the change of VOCs and LMW amount, the use of co-solvent might be more useful,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o-solvent extraction showed that the optimum condition was 50:50 volume percent.

      • KCI등재

        사회적 분위기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최수정 ( Su Jung Choi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4 선물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사회적 분위기(mood)가 주식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에 관해 분석한다. 사회적 분위기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소비자기대지수 (CEI)와 자살율(또는 사고사로 인한 사망율) 등을 사회적 분위기를 나타내는 대용치로 사용하여, 사회적 분위기와 주가지수 수익률로 측정된 주식시장이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즉, 월간 소비자기대지수가 전월대비 10% 증가한다면 당월의 KOSPI 수익률은 전월대비 14.7% 증가한다. 사회적 분위기에 따른 주가지수의 변화는 시총이 작은 주식들로 이루어진 지수와 KOSDAQ 지수에서 더 크고 명확하게 드러난다. 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받는 주가지수의 변동은 차기월에는 대부분 반전되어, 그 심리적 영향은 사실상 매우 짧게 나타나고 따라서 시장의 경제적 인수들에 기반한 기본적인 정보(fundamental information)와 크게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existence of a mood effect in Korea Stock Market. Given the assumptions that changes in the Consumer Expectation Index and the numbers of suicides proxy for the social mood, I find that the aggregate stock market moves with the changes of investor sentiment, on average. The relation between the KOSPI and mood variables representing for investor sentiment is economical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xample, a 10% increase of the CEI relative to the previous month leads to a 14.7% rise of the KOSPI. The magnitude of the mood effect is even larger on the small cap stocks, especially in the KOSDAQ market. The contemporaneous changes in the KOSPI affected by the changes of investor sentiment are mostly reversed in the next month, suggesting that the mood effect is short-lived and seems to be unrelated to the fundamental information.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용융중합에 의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최수정(Su Jung Choi),윤경화(Kyung Hwa Yoon),김희승(Hee Seung Kim),유승윤(Seung Yoon Yoo),김연철(Youn Cheol Kim) 한국고분자학회 2011 폴리머 Vol.35 No.4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에 화학적 구조가 다른 두 가지의 분지제를 첨가하여 용융중합으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branched PC, B-PC)를 합성하였다. 분지제의 함량은 0.001∼0.005 mol% 내에서 조절하였다. 합성된 PC의 화학구조는 FTIR, 1H NMR과 13C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및 분해온도는 GPC, DSC와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hloro type의 분지제를 가지는 B-PC의 분자량이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유리전이온도는 분자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두 형태의 B-PC 모두 선형 PC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주파수(frequency) 영역에서 복합점도(complex viscosity)가 높게 나타났고, shear thinning 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Shear thinning의 정도를 표시하는 power law index(n)는 선형회귀분석에 의해 계산되었고 0.483∼0.996 범위의 값을 보여주었다. Phloro 타입의 B-PC가 높은 shear thinning 경향을 보였으며 이들 B-PC의 유변학적 특성은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branched polycarbonates (B-PCs) with two different branching agents were synthesized from melt polymerization. The contents of branching agent were in the range of 0.001∼0.005 mol%.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synthesized PC was determined by FTIR, 1H NMR, and 13C NMR, spectroscopy. The molecular weight, glass transition and degradation temperatures were determined by GPC, DSC, and TGA.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hloro type B-PC had a lower value than the other one,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creased with molecular weight. Compared with linear PC,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B-PC indicated an increase of complex viscosity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nd shear thinning tendency. Power law index(n) representing shear thinning was calculated by linear regression and the values were in the range of 0.483~0.996.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B-PCs were measured by a dynamic rheometer.

      • 제3분과 : 보호지역 보전 및 복원 ; 청산도 마을숲의 유형 및 보전 방안

        최수정 ( Su Jung Choi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청산도는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약 19. 2㎞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으로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로 선정되었다. 지금은 천혜의 관광자원과 풍부한 수산자원으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지만 한 때는 왜구의 침략이 잦아 도서금주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16세기 말경 다시 주민이 이주하여 정착하고 1681년(숙종7) 수군만호진이 설치된 이후부터는 서남 해안을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청산도 마을숲은 입도조들의 이주 경위와 입도 후 정착과정에 따라 다르게 조성되었다. 특히 청산면 지리 해수욕장은 수령이 200년 이상이나 된 곰솔 800여 그루가 백사장을 따라 길게 숲을 이루고 있는데, 김희서(1848~1927)에 따르면 청산도에 정착한 마을 주민들이 공동의 노력으로 조성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같이 마을숲은 마을의 역사, 문화, 신앙등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마을 사람들의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진 숲(박재철, 2006)으로 슬로시티와 같은 문화 마을이나 생태마을 조성에 있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Kang et al, . 2004). 따라서 본 연구는 청산도 마을숲의 유형을 분석하고 청산도 마을숲이 갖는 전통생태학적 마을숲의 역할을 제고하여 마을숲 보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4년 6월 9일부터 13일까지 5일간 현존하는 청산도 마을숲 5곳(신흥리 1개소, 읍리 1개소, 당리 2개소, 지리 1개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청산도 이주 역사와 마을숲 생성배경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청산도 마을숲 5곳을 전수조사하여 청산도의 역사적 배경과 입지에 따라 마을숲 유형을 나누었다. 마을숲의 유형 구분은 주민들의 마을숲 이용 방법과 조성 목적 및 역사에 관한 연구(강구찬, 2008)를 참고로 분류하였다. 식생 현황에 대한 조사는 층위별로 각 수종의 상대적 우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Curtis and McIntosh(1951)의 중요도(Importance Value)를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 I. P. ) 를 산출하여 각 군락의 식물사회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아가 마을숲 관리 현황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서 사진 촬영도 병행하였다 마을숲 유형 분류 결과 청산도 마을숲 5곳은 모두 수구막이와 비보의 기능을 갖추어 풍수적인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그 중 1)신흥리 마을숲과 4)당리 마을숲, 5)지리 마을숲은 해안가에 위치하여 선형으로 조성되었는데 이는 방풍 및 비보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읍리 마을숲과 3)당리 마을숲은 당집이나 당산나무가 존재해 당산숲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2)읍리 마을숲은 마을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여 숲 안쪽의 마을을 차폐하는 기능을 했고, 3)당리 마을숲은 마을 입구에 위치하여 당산제를 지내고 종교적인 기능을 했다. 특히 당리 마을숲은 김정호가 작성한 < 당리연혁지 > 에서 통일신라 경 왜구 침입을 피해 입도하여 마을을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이를 기리기 위하여 당집이 세워졌다. 또한, 당리마을 주민들은 1797년 청산도민 대표 3인을 보내 조세착취의 폐단을 상소하고, 돌탑을 쌓아 3인의 공적을 기린 것으로 전해진다. 3)당리 마을숲의 경우 남쪽 해안가가 바로 내려다보이는 위치 때문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4)당리 마을숲은 해안가에 위치하여 3)당리 마을숲을 차폐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했다. 마을숲 식생 현황은 1)신흥리 마을숲의 경우 교목층에서 곰솔이 98. 4%, 아교목층에서 붉가시나무가 100%로 우점하였고, 관목층에서 39. 38%로 누리장나무가 우점하였다. 2) 읍리 마을숲은 교목층에서 느티나무가 44. 5%로 우점하였고, 비술나무가 14. 9%로 차우점하였다. 아교목에서는 느티나무와 붉가시나무가 50%로 우점하였다. 3)당리 마을숲과 4)당리 마을숲, 5)지리 마을숲은 모두 교목층에서 곰솔이 100%로 우점하였는데, 3)당리 마을숲은 아교목층에서 47. 7%로 붉가시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에서 51. 08%로 보리장나무가 우점하였지만 4)당리 마을숲과 5)지리 마을숲에서는 아교목층에서도 곰솔이 100%로 우점하였다. 4)당리 마을숲은 관목층에서 멀구슬나무가 13. 2%로 우점하고 구기자나무, 팽나무, 사철나무 등이 7. 2%로 차우점하였지만 5)지리 마을숲은 관목층에서 29%로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였다. 청산도 마을숲에서 곰솔이 우점하는 이유는 17, 18세기 청산도진을 설치하고 송전(松田)관리를 위해 곰솔림을 조성하였기 때문이다. 청산도진은 선박건조나 건물건축의 용도로 지방관청과 중앙관청에 이중으로 목재를 납세하였다. (김경옥, 2004). 하지만 현재 청산도 전역은 관광 상품으로서 자연자원인 청보리밭이나, 돌담밭을 활용하고 있다. 현대의 건축 양상이 변화하여 더 이상 소나무를 식재하고 있지않기 때문이다. 청산도만의 특색 있는 곰솔림을 마을숲으로 보전하기 위해서는 문화와 역사의 가치를 재해석하여 옛 비보 및 방풍림 으로서 마을숲의 기능을 살리는 마을숲 경관 연결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2)읍리 마을숲은 수구막이 숲으로 산지 사이에 있는 평지에 조성되어 양쪽 산줄기를 잇는 숲의 다리 구실을 한다. 하지만 지금은 겨우 보호수만 지정하고 마을숲에 대한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4)당리 마을숲의 경우에도 해안을 따라 선형의 곰솔림이 유지된다면 슬로시티 청산도의 ‘느림길’ 과도 맥락을 같이하고 마을숲을 활용하여 생태마을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3)당리 마을숲은 현재 서편제 촬영 장소와 연결되어 있어 답압으로 곰솔 하부에 일부 토양침식이 진행되고 있다. 벤치나 휴게시설이 숲 안쪽 곰솔 그늘 주변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5)지리 마을숲의 경우에도 주변 해수욕장을 이용하는 관광객들의 답압으로 나지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이다. 하층 식생을 다양하게 식재한다면 답압의 피해를 줄이고 송림을 보전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송림의 나무높이는 방풍림을 지난 바람이 지면에 미치는 거리뿐만 아니라 경작지에 미치는 그늘의 범위를 결정하여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친다(이도원 2001). 해안숲이 가지는 평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면 마을숲의 다채로운 이용과 경관 조성이 가능할 것이다. 청산도 마을숲은 기본적으로 왜구의 침입에 방어하고, 자신들의 삶을 고립되게 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청산도의 ‘고립’의 역사를 드러내어 ‘소통’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마을에서 일어나는 삶이 마을 자연경관과 어우러지는 물질적, 정서적 관계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한양도성 주변 보전대상 수종 선정 및 관리방안

        최수정 ( Su Jung Choi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한양도성은 한국의 전통 풍수 개념에 입각하여 주변 지형과 지세를 이용하여 축조되었다. 또한 600년이 넘는 오랜세월 동안 도시 안의 자연경관과 한국 전통 정신이 보존된인류 문화유산이다. 본 연구는 한양도성 주변 지역에 대한역사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한양도성의 가치를 높일수 있도록 한양도성 주변의 보전대상 수목을 선정하고 이를보호,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한양도성에 심겨진 전통 수종을 문헌을 통해 조사한 후,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보전대상 수종 선정은 서울시 한양도성 수목보호관리지침에서 보존림, 상징수, 경관수로 구분한 것을 참고하여 문헌조사를 통한수종 목록과 현장조사를 통한 수종 목록을 비교하였다. 보전대상 수종의 보호관리방안은 한양도성 수목보호관리지침을 참고하여 현장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수목 보전을 위한보전구역 설정과 수목 보전을 위한 관리 지침을 수립하였다. 관리 대상 수목은 한양도성 수목보호관리지침에서 도성에 피해를 주는 수목, 조망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 수목, 도성주변 외래수종 및 귀화식물, 환경부 지정 생태계 교란 식물목록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문헌은 한양도성이 축조되기 시작한 1395년부터 최근 2015년까지의 연구와 전통 조경공간의 수종에관한 연구를 검토하였고, 한양도성 주변 지역에 기록된 수종을 살펴보았다. 현장조사는 2015년 4월 중에 이루어졌다. 현장조사 조사대상은 한양도성 전체 약 18km로 6개(백악, 인왕, 숭례문, 남산, 흥인지문, 낙산)의 지역으로 나누어 성곽 잔존구역 5m 내외를 주요 식생조사의 범위로 삼았다. 연구 결과 문헌에서 조사한 한양도성 수목은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보고서(2013)를 참고하여 총 78종을 목록화하였다. 한양도성 주변에 관한 문헌에 기록된 수종은 7과 9속 11종으로 이중 소나무, 잣나무, 복사나무 등은 관상을 위해심겨졌고, 뽕나무와 사과나무 등은 경제적인 목적으로 심겨졌다고 구분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한양도성 주변 수종 식물상은 50과 84속 91종 10변종 4품종으로 총 10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분류된 수종은 나자식물(11.4%), 피자식물(88.5%)로 이중 장미과 15종(14.2%), 소나무과 7종(6.6%), 콩과, 노박덩굴과, 물푸레나무과 5종(4.7%) 순으로 조사되었다. 문헌조사와 현장조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문헌에서 발굴된 종 중 현장에서 출현하지 않은 종은 총 31과 69속77종으로 나타났다. 문헌 비교 결과 현장조사에서만 출현한종은 44과 72속 81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헌조사 결과와 현장조사 결과를 종합한 한양도성 보전대상 수종은 뽕나무와 소나무를 포함한 총 19과 20속 25종으로 선정하였다. 구간별 보전대상 수종은 백악지역의 역사적인 상징물로서 1·21사태 소나무를 상징수로 선정하였다. 또한 군사시설내부의 소나무림은 한양도성의 상징수뿐만 아니라 경관수로서도 가치가 있어 소나무 군락 전체를 보존림으로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인왕지역 중 사직터널 인접한 부근에 심어진 뽕나무는 한양도성 밖에 거주하는 백성들의 생활사를 엿볼 수 있으므로 상징수로서 가치가 있다. 숭례문 지역은 도심 발달로 내사산과 접해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성곽이 많이 소실되어 경관수나 상징수로 선정할 만한 수목이 존재하지 않았다. 남산 지역은 내사산의 상징 수종인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비율이 높아 특히 남산 팔각정 근처 성곽 주변의 느티나무가 경관수로 자리할 수 있다. 흥인지문지역은 광희문 주변으로 소나무림이 경관수로 식재되어 있다. 낙산 지역은 높은 구릉지를 따라 성곽이 이어져 성곽안쪽 이화마을, 장수마을의 상징수로서 뽕나무가 있다. 보전 및 관리대상 수종의 관리 방안으로 첫째, 한양 도성의 내부 5m, 외부 5m를 수목 보호구역으로 설정해야 한다. 둘째, 한양도성 주변 수목 보전 관리를 위하여 도성의 훼손을 막기 위해 보전을 필요로 하는 수종은 목본류와 덩굴식물류로 나누어 관리해야 한다. 셋째, 한양도성 주변 관리대상 수종의 관리방안은 한양도성이 전통 문화유산이므로 도성과 인접한 5m이내 식재된 외래식물의 관리가 중요하다. 가이즈까향나무, 스트로브잣나무, 중국굴피나무, 칠엽수, ‘쇼조노무라’단풍나무, 일본잎갈나무 등 외래종은 이식이필요하다.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중등직업교육 발전방향 탐색

        최수정(Su-jung Choi),김진모(Jin-Mo Kim),김영흥(Young-heung Kim),박자경(Ja-kyung Park),박주원(Ju-won Park)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일어나게 되는 여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중등직업교육의 발전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중등직업교육의 발전비전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 목표 및 과제를 설정하고 학계 및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등직업교육의 발전 비전은 ‘지속가능하고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한 중등직업교육’으로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다. 둘째, 이에 따른 전략 목표로는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한 학교, 학생 중심의 스마트 수업,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지원, 포용적 교육생태계, 안전하고 행복한 교육환경으로 구성하였다. 각 전략목표에 대해서 델파이 조사 결과 일부 전략을 제외하고는 모두 타당한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고 미흡한 문항은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제언으로는 중등직업교육의 발전방향으로서 도출한 연구결과를 타당화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검토하여 후속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등직업교육 발전방향 탐색 결과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방안과 사업이 마련되어야 하고, 학교구성원을 대상으로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고 이를 대응하기 위한 발전방향의 탐색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new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o cope with the various changes that will occur after COVID19.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strategic goals and tasks to realize it were set,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academic and field experts to verify the validit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pinions were gathered that the vision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was generally valid as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at can be operated sustainable and flexibly’. Second, the strategic objectives were composed of flexible schools responding to change, student-centered smart classes, employment support for decent jobs, an inclusive educational ecosystem, and a safe and happy educ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for each strategic goal, opinions were collected as all valid except for some strategies, and insufficient questions were revised and presented. As a sugges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research methods to validate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a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carry out follow-up research, and a specific plan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