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우울증 유병률 조사

        최수련(Soo Ryun Cho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 사회정신의학 Vol.12 No.1

        목 적: 우울증의 조기 발견 및 치료는 정신보건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울증을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함으로써 정신 및 신체 질환의 일반적인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자살률 또한 낮출 수 있다. BDI는 일차 진료현장에서 비교적 쉽고 빠르게 우울증상을 발견할 수 있는 척도이다. 이 연구는 BDI를 이용하여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을 밝혀 지역 사회 정신건강 증진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온양 3동에 거주하는 주민 29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기초정보 및 BDI를 조사하였다. 우울증은 BDI 점수를 기준으로 남성의 경우 23점, 여성의 경우 24점 이상으로 정의하였고 우울증상은 BDI STEN 점수 7점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연령 보정 후 우울증의 유병률은 전체 8.9%, 남성 4.1%, 여성10.0%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전체 17.9%, 남성 12.5%, 여성 23.1%이었다. 우울증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정신과 질환의 가족력, 내과적 질환 등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교육정도, 수입, 결혼력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도농복합지역에서의 우울증 및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우울증 및 우울증 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울증상을 조기 발견, 치료한다면 지역사회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community mental health. Finding and treating depression early can improve general prognosis of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and reduce the rate of suicide. Using BDI, primary practitioner can easily find depressive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to suggest baseline data. Methods:We investigated 291 people who were residing in Onyang 3-dong and Dogo-myun, Asan-si, Chungcheongnam-do. Our research team visited their residence and gathered information using the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BDI. Depression was defined as BDI total score over 23 in males and over 24 in females. Depressive symptom was defined as BDI STEN score over 7. Results: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Asan-si was 8.9% in total, 4.1% among males, 10.0% among female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17.9% in total, 12.5% among males, 23.1% among females. The rel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was sex, family history of psychiatry and medical disease. Age, education years, incomes and marital stat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Preval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mixed region of urban and rural communities is similar with those among national wide sample. With mental service for those who are in high risk group, early detection of depressive symptoms from community will be needed to improve general health status.

      • KCI등재

        배추 SSR 마커를 이용한 무의 육성 계통 및 수집종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박수형(Suhyoung Park),최수련(Su Ryun Choi),이정수(Jung-Soo Lee),뉴엔 반단(Van Dan Nguyen),김성길(Sunggil Kim),임용표(Yong Pyo Lim) 한국원예학회 2013 원예과학기술지 Vol.31 No.4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무의 품종 육성 기반 확장을 위해 다양한 무 품종을 수집하여 재배한 후 원예적 특성이 양호한 자원을 선발하여 계통으로 육성하는 작업을 198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유전적 다양성은 작물의 개량에 있어 주요 소재이기에 자원의 수집을 통한 변이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자원 수집과 더불어 확보한 자원간의 다양성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자원확보의 방향성을 재고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이런 연구를 위하여 이미 배추에서 개발된 SSR 마커를 이용하여 계통분류학상 가까운 관계에 있는 무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 육성 계통과 도입자원 중에서 44점의 보유 유전자원을 재료로 하여 22종의 선발한 마커로 유전형을 분석하였으며, 이 중에서 ‘cnu_m139’와 ‘cnu_m289’ 등이 다형성 검증에 유용한 마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 유전자원의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결과, 무는 지역적 유래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품종성 연도에 따라 일부 그룹을 형성함을 알 수 있어, 최근 육성되고 있는 품종들과 기존의 품종과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그룹에 해당하는 계통들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차후 연구결과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비교적 적은 수의 마커로 분석했음에도 30년 이전에 육성종과 근래에 육성한 2000년대에 육성종을 구분하고, 한그룹 내에서 비교적 형태적으로 유사한 개체들이 그룹을 구성하는 대부분을 나타낸 결과는 SSR 마커가 무에 성공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배추에서 개발한 SSR 마커를 이용하여 무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 분석(유전자원 식별)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the early 1980s,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s has been breeding and collecting diverse radish breeds to select those samples with better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to ultimately expand and develop as good radish produce. Genetic diversity is a crucial factor in crop improvement an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obtain various variations through sample collection. The collected samples were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assess the level of diversity among the collections, and this procedure allowed for increased application of the gathered resources and aided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to secure further samples. Towards this e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SSR markers derived from Chinese cabbage samples could be transferred to the radish samples. Among the radish breeding lines and introduced resources, 44 lines were used as materials to analyze the genotype using 22 SSR markers select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that among all the selected markers, ‘cnu_m139’ and ‘cnu_m289’ were the most useful markers for diversity evaluation. The genetic relationship of the radish genetic resources showed that the geographic origins affected the diversity. Furthermore, the different types of radish groups were also determined by the year they were bred.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older radish breeds and the more recently developed radish breeds. Even thoug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markers were used in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the radish was bred 30 years ago or in the 2000s, and that the similar physical shapes comprised a particular group, showed that the SSR markers can indeed be successfully applied to to study the diversity within radish breeding lin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SR marker developed for the Chinese cabbage can be applied to examine the genetic diversit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genetic resource determination) of radish.

      • 일 도농복합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정신보건문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연구

        지은희(Eun Hee Ji),연병길(Byeong Kil Yeon),한창환(Chang Hwan Han),홍나래(Narei Hong),최수련(Soo Ryun Choi),권희정(Hee Jung Kwo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8 사회정신의학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산시 지역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아산시 정신보건사업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 법 2007년 2월 아산시 온양3동과 도고면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만 70세 미만 성인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최종 대상자는 31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CAMI)를 사용하였다. 결 과 아산시 지역 주민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는 덜 권위적이고 동정적으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정신보건문 제와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는 굉장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학력, 불교, 도고면 주민, 농업에 종사, 월수입 300만원 이상, 정신질환자와 접촉이 많은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특히 저학력층과 농업에 종사하는 집단은 정신보건 문제와 사업에 대한 인식도도 낮았다. 결 론 정신질환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대상을 우선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교정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정신보건문제 및 정신보건사업에 대한 인식도가 낮으므로 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의 제공 및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get basic data to develop plan and strategy of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services in Asan city. So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mentally ill an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among the residents of Asan city.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310 persons aged between 20 and 69 who live in Onyang 3-dong and Dogo-myeon, Asan-si, Chungcheongnam-do. Tool of the study is Community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 (CAMI). Results:The residents of Asan city showed generally positive attitudes to mentally ill. But they lacked the knowledge about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he lower educated, buddist, farmers, persons who live in Dogo-myeon, persons whose monthly income are above three million won, persons who have experience for contacting mentally ill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 the mentally ill. The lower educated and farmers lacked overall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too. Conclusion:The community education to reduce th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gainst the mentally ill should be actively and intensively concentrated upon the person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 Furthermore, systematic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should be constantly delivered to community resident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care services

      • KCI등재후보

        흰쥐 담즙울체간에서의 Glucose-6-Phosphate Isomerase 및 Fructose-1, 6-Bisphosphate Aldolase의 활성도

        최수련,김여희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7 계명의대학술지 Vol.16 No.4

        담즙울체간에서 glucose-6-phosphate isomerase(GPI)와 froctose-1,6-bisphosphate aldolase(ALS)의 활성도 변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 총담관을 결찰한 후 12시간부터 42일까지의 담즙울체간의 세포분획에서 이들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한편 혈청에서도 이들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총담관 결찰 후 흰주 담즙울체간의 cytosolic GPI의 활성도는 총담관 결찰 후 12시간부터 2일까지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motochondrial 및 microsomal GPI의 활성도는 각각 총담관 결찰 후 2일부터 42일 및 1일부터 28일까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총담관 결찰 후 흰주 담즙울체간의 mitochondrial 및 microsomal ALS 활성도는 다같이 총담관 결찰 후 2일과 3일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cytosolic ALS 활성도는 총담관 결찰후 1일부터 42일까지 약간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 담즙울체간에서는 mitochondrial 및 microsomal GPI 와 ALS는 그 활성도가 증가되는 효소이고 cytosolic GPI와 ALS는 그 활성도가 감소되는 효소이며, 담즙울체간에서 mitochondrial, 및 microsomal GPI와 ALS의 활성도 증가는 담즙울체간에서 그 합성이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라 생각된다. 또한 담즙울체시 혈정에서 GPI 와 ALS의 활성도가 증가된 것은 간의 괴사와 간세포막의 투과성 항진으로 이 효소들이 혈증에 다량 주출되어 나타난 결과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made to know the changes of glucose-6-phosphate isomerase (GPI) and fructose-1, 6-bisphosphate aldolase (ALS) activities in cholestatic rat livers. GPI and ALS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cytosolic,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preparations isolater from cholestatic rat liver, and in the rat serum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for a period of forty two days. The activities of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GPI in cholestatic rat live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the second day to the forty second day, and from the first day to the twenty eighth day, respectively, after the ligation. However, the cytosolic GPI activity in cholestatic liver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the twelfth hour to the second day after the ligation. The activities of both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ALS in cholestatic rat live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the second day to the third day after the ligation. However, cytosolic ALS in cholestatic liver was decreased slightly from the first day to the forty second day after the ligation.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of GPI and ALS in rat seru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from the twelfth hour to the seventh day, and from the first day to the forty second day, respectively,, after the ligation.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the biosynthesis of liver particulate-bound GPI and ALS are induced in response to cholestasis. And the elevations of both serum GPI and ALS activities seem to be leak of the enzymes into the blood from cholestatic l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