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현 희곡 「김치국씨 환장하다」 연구

        최상민(Choi, Sang-mi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80 No.-

        이 글은 장소현의 「김치국씨 환장하다」를 대상으로 양식적 특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규명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여러 선행연구자는 그의 희곡이 강한 희극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선행연구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한편으로, 그 희극성의 작동원리가 고전 소설 「옹고집전」의 ‘진가쟁주담’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이며, 나아가 통일문제, 혹은 분단문제와 관련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성찰적인 주제의식이 ‘꿈구조’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장소현의 희곡 「김치국씨 환장하다」는 새로운 사조에 힘입어 90년대 연극계 전반에 등장한 발랄하고 유쾌한 ‘연극적 희극성’을 주된 양식적 특징으로 삼고 있다. 이른바 ‘진가쟁주담 유형’ 인물과 ‘카니발적 난장’, ‘패스티쉬 기법’ 등의 기법이 그것이다. 이는 우리 고전 서사물에서 차용된것으로 ‘연극적 희극성’을 강화하는 데 일정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는 앞선 시기 소위 분단희곡들이 보여주었던 주제에 대한 진지하고 무거운 접근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둘째, 장소현의 희곡 「김치국씨 환장하다」에 나타난 이런 극적 특징은 등장인물 스스로가 자신을 성찰적으로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이분법적 세계를 극복하고, 자기성숙의 길로 나아가게 하는 등 주제의식의 구현에 기여한다. 여기에 더해 고전 서사물에서 자주 등장하는 ‘꿈 구조’를 자주 차용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작품의 이분적인 세계를 초월하고 자기성숙에 이르게 하려는 성찰적인 성격의 주제의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를 통해 90년대 분단희곡을 읽는 새로운 해석적 지평을 확대하는 한편, 그간 영성했던 관련 연구에 자극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amatic narration of the play “Mr. Kim, Chi-Gook Goes Crazy” by Jang, So-Hyeon and interpret its meaning. Many studies show that his work is strongly inclined toward comedy. This study positively accept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onfirmed several facts. First, the main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play “Mr. Kim, Chi-Gook Goes Crazy” is its lively and cheerful “theatrical comicality,” a style that was prevalent in the overall theatrical world of the 1990s in what was a new trend at the time. Jang, So-Hyeon selects modernistic techniques such as “carnival-like mess,” “real/fake competition type character,” and “pastiche.” This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serious and heavy themes depicted in the so-called division plays in the past. Second, it also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thematic consciousness, that is to say, the characters overcome the dichotomous world through the process of introspection and then move toward the path to self-maturity. Moreover, the play “Mr. Kim, Chi-Gook Goes Crazy” by Jang, So-Hyeon uses the “dream structure” as a strategy to reveal the thematic consciousness, which contributes to leading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is work to the self-reflective characteristic.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ave the way for a new interpretive horizon for reading a play dealing with the division in the 1990s. Moreover,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timulus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후보
      • 고전압 가스차단기용 EMFA 3차원 동작 특성 해석

        최상민(Sang-Min Choi),강종호(Jong-Ho Kang),정현교(Hyun-Kyo Jung),Rae-Eun Kim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4

        고전압 가스 차단기에서는 긴 스트로크 동안 가스반발력을 극복하고 빠르게 차단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가 필요하다. 기존에는 공압식, 유압식, 스프링 액추에이터와 같은 기계적인 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기존 액추에이터에서는 소음, 에너지 손실, 고가격의 단점이 있어, 근래에 들어 PMA, 모터와 같은 전기적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전기 액추에이터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기계적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다. 전자석 조작기의 연구 필요성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전자석 조작기 Electro Magnetic Force driving Actuator(EMFA)가 개발되어 고전압 가스 차단기에 적합하다고 분석되었다. EMFA의 동특성을 얻기 위한 과도상태 해석에서는 2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얻은 전자기적 해석을 회로, 운동방정식과 연계하여 시간차분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하지만 2차원과 3차원의 전자기 해석은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정확한 전자기 해석을 위해 3차원 동특성 해석을 수행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 KCI등재

        극작가 박동화의 로칼 인식과 실천

        최상민(Choi, Sang-Min)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39

        This study analyzed plays by Park Dong-hwa including 〈My monologue has not ended〉 (1959) and 〈Afterglow〉 (1962) through the prism of place, space, and locality. This prism heavily depends on Lefebvre’s concept of ‘social space’. These two works have been selected to analyze how the author’s space perception and practice appeared through the principle before/after the April 19th Revolution in 1960 as a new milestone in the era. Place and space, together with time, are the original prospects of existence. Therefore, they could reveal the meaning of local beings because these concepts make it possible to see the solidarity and iso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relationships with other objects. Moreover, the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values to understand the concrete aspect and psychological reality of their relationships, the status in the society where he belongs to, and his status or perception of the world. The facts verifi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ocality of the plays by Park Dong-hwa reveal the dual gaze of the subject viewing the space. It is the result of the subject’s perception and spatial practice through interactions of contexts, including ‘survival of traditional character’ and colonial ‘hybridity’. Secondly, the locality of the plays by Park Dong-hwa is revealed through the rewriting of locality. For this, he is attempting to rediscover the peripheral value of locality and to create narratives of victory, which could be verified through the fact that the key impetus of play narratives is shown by peripheral characters in most ca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orizon of play history or regional literature history by overcoming the bias of existing research that focuses on the central literary world and theatrical world.

      • KCI등재

        희곡의 공간론의 이론과 전망 ―김태수 희곡 『옥수동에 서면 압구정동이 보인다』를 중심으로

        최상민 ( Sang Min Cho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에 의해 극이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극은 곧 공간이다. 그러나 학계의 공간에 대한 이해나 연구동향은 단순히 무대형상화와 이를 위한 무대화 과정의 핵심주체와 방법적인 면에 치중하고 있다. 이는 희곡텍스트를 둘러싼 공간논의의 지극히 일부만을 향한 관심표명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비록 무대공간이 관객과의 소통을 이루는 최초의 접점을 이룬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이는 반성이 필요한 지점이다. 본 연구는 우선 희곡의 공간을 둘러싼 기왕의 논의를 정리하였다.(1장)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개별 작품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은 어떤 모습을 띠게 될 것인지를 살폈다. (2장) 그러나 이런 방식의 공간 이해는 문학작품 속에 반영된 공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해당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에 이르게 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최근 인문지리학과 비판지리학적 성과를 소개하고(3장),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생산된 공간개념이 어떤 방식으로 작품 속에 드러난 현실과 인간의 삶에 투영되는지를 살핌으로써 새로운 작품이해에 이르게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4장) 본 연구의 성과를 통하여 기왕의 연극(희곡) 공간론에 더하여 인문지리학적, 혹은 비판지리학적 공간연구 방법론이 무대화를 위한, 나아가 작품의 상상적 독서를 위해 일정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새로운 공간론의 전개를 통하여 문학작품 속에 투영된 공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보다 근본적인삶의 맥락과 현실의 이면을 드러낼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Understanding about drama is just understanding about the space, at the point of interpreting by the method of space structure. But, the understanding and study trend about the space of the academic world is pointing of merely the stage shaping and the core subject of staging courses for this and at methodical sides. This is revealed the limits at the point of interest expression for the only small part of space-theory discussion surrounding drama text. Although we consider that the stage space makes the first point of contact of a good understanding with audience, this needs reflection. This study was arranged the past discussion surrounded with the space of drama (chapter1). Based on this, it was studied that shape it would be tasting interpretation about the concrete individual works(chapter2). But understanding the space in this way has a limit that it doesn``t get a deep interpretation on that work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space reflecting in the literary work. Therefore, it was introduced the achievement of human geography and critical geography lately (chapter3) through this by researching how space idea produced socially showed the reality revealing in the work and human life, it tried to show that it could be reached a new work understanding (chapter3) Through the achievement of this study, it is trying to emphasize that the past methodology can be contributed steadily for the imaginary reading of works and for staging. And also through the spreading of new space-theory an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pace reflecting in the works, it is emphasized that it can be the means of more fundamental life`s context areal revealing the other side of reality.

      • KCI등재

        캐비테이션 발생에 따른 해군 수상함정 방청도료(EH 2350) 적합성 검증에 관한 연구

        최상민(Sang-Min Choi),이지혁(Ji-Hyeog Lee),백용관(Yong-Kawn Beak),정현섭(Seob-Hyeon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5

        군의 수상함정은 다수 해역에서 작전 업무 수행을 실시하며, 부식이 되기 쉬운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해군 운용 함정들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의 방식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나, 캐비테이션에 의한 선저구조물에 부식 및 손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선체의 부식은 함 작전운용성능 저하 및 함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서 함정 선체의 방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군에서 운용중인 함형별로 사용하는 방청도료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그 중 주 방청도료로 사용하고 있는 EH 2350과 미 해군에서 선저 구조물 보호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특수도료인 금속보수제 DuraTough DL과 특성 비교 및 내마모성 시험을 통해 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객관적인 검증을 위하여 함이 해수 환경에 노출된 것으로 고려하여 마모 cycle과 마모 하중 조건을 다수 설정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해군 수상함정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청도료(EH 2350)의 적합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aval surface vessels, which were often exposed to harsh marine environment, tended to be corrosive due to military operations on various sea-areas and courses. Although R.O.K Navy applied various methods to protect further corrosion, the hull corrosion occurred due to cavitation were found on the naval surface vessels at regular and occasional docking. Hull corrosion was a critical factor directly to affect the lifetime of ships and their operational capabilities adversely. In this paper, EH 2350, which was the main anticorrosion paint used by R.O.K. Navy, was compared with DuraTough DL by used by the U.S Navy to collect materials related to anti-corrosion paint. In addition, the paint compatibil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wear abrasion test. Assuming that it was exposed to sea-environment various both abrasion cycle and weight for objective verification. by varying both the abrasion cycles and weights.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the EH 2350 conformity, which was used in Naval surface vessels, was secured.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지도에서 비계설정하기 - 실용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최상민 ( Choi Sang-m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2 No.-

        자기소개서 쓰기는 학습자의 현실적인 관심과 요구를 반영한 실용적인 글쓰기이다. 이 글은 실제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대학생 글쓰기 수업에서 어떤 방식의 비계설정하기가 가능한지를 모색한 것이다. 학습자를 교수주도적인 단계에서 자기주도적인 과제해결 단계에로 이끌기 위해서 두 가지 방식의 비계설정작업이 가능하다. 거시적 차원의 비계설정과 미시적 차원의 비계설정하기 그것이다. 이 글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 차원의 비계설정하기(macro-level scaffolding)는 설명하기(offering explanation) 방법을 통하여 학습목표나 방법을 안내하고, 나아가 글쓰기의 단계적 문제해결과정을 안내하는(Inviting student participation) 단계이다. 이 때 학습자의 목표인식이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것이 되게 하기 위해서 그 내용은 학습자로 하여금 강의후에 자신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 둘째, 미시적 차원의 비계설정하기(micro-level scaffolding)는 글쓰기의 구체적인 장면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세부적인 각 단계의 활동전략을 안내하거나, 알맞은 시범 보이기를 통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글쓰기를 가능케 하는 단계이다. 시범 보이기의 방법으로는 이미 교육계에 소개된 TA, ta, PM 등의 방법들을 응용하여 필요한 문제해결 모형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Writing to self-introduction is practical writing that reflects learner`s realistic interest and needs. This paper, considering actual example, gropes for some way of scaffolding at a college writing class. In order to lead learners from the stage of teacher-leading to that of self-leading in working out task, two way of scaffolding are possible. These are macro-level scaffolding and micro-level scaffolding. The following is an confirmed outcome through this paper. First, macro-level scaffolding guides a goal or a method of study through offering explanation. Added to this, that is a step to guide a successive course of resolving problem in writing. At this stage, in order that learners recognize the goal concretely and practically, the contents should include definite guidelines for learners about what to do and how to do after class. Second, micro-level scaffolding guides detail guidelines on each part of the stage to resolve problems in writing. Also, that is the stage that causes learners to self-leading writing through showing proper example. It is expected to construct required model of resolving problem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applying already presented ways to the educational world like TA (Thinking Aloud), ta (talk aloud), PM (Performance Modeling).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지도에서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 문제

        최상민 ( Sang Min Choi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3

        이 글은 대학생 글쓰기 지도에서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위해 기획되었다. 글쓰기 지도에서 평가는 학습자의 과제 수행과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관찰하고, 적절한 비계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특정의 교수·학습 과정을 실행하고, 학습자내부에 일어난 변화나 향상(성취도)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은 학습자의 실제적인 (글쓰기)‘능력향상’이나, ‘교수학습의 개선’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관련 주체들에게 훨씬 의미있는 교육적 판단―예컨대,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며, 그 구체적인 실상의 측정을 통하여 교수자에게는 교수-학습에 있어서 유의미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과 같은 ―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이 제안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은 대학생 글쓰기 지도의 두 가지 목표인 ‘글쓰기 능력의 개발과 신장’에 기여하기 위한 판단의 근거로서 설정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은 교수학습 차원의 요구와 함께 개인별 서열화라는 목표를 위해 공정하고 타당한 기준이라는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 셋째, 평가 준거의 설정과 활용은 위의 두 가지 평가목표를 위해 과정평가와 결과평가라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층위에서 이뤄질 필요가 있다. 즉, 과정평가는 글쓰기 능력의 신장이라는 일정한 교육목적을 지향하는 방향에서 준거의 설정과 활용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고, 결과평가는 개인별 서열화의 요구에서 준거의 설정과 활용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This writing is planned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of the setting and using of ``evaluation criteria`` in the college writing instruction. The evaluation in the writing instruction should be observed learner`s task performance and the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and should be included the process of scaffolding proper false works. Also it should be able to measure the changes and the improvement happening to learner`s inner, carrying out the special teaching learning process. The setting and using of evaluation criteria in the college writing instruction should be able to guarantee learner`s practical writing ``capacity improvement`` or teaching learning improvement. So it will be able to offer the basis of judgement more meaningfully to the related subjects. The contents which this writing offer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setting and using of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set and used as the basis of judgement for contributing, ``the development and the increase of writing capacity``, the two goals of college writing instruction. Second, the setting and using of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made as a level of fair and valid criteria for the purpose of individual ranks with the demand of teaching learning dimension. Third, the setting and using of evaluation criteria needs to be made at the two different layers of process evaluation and result evaluation for the upper two evaluation goals. That is, process evaluation is that the setting and using of criteria should be made in the direction of a certain educational purposes, the improvement of the writing skills, result evaluation is that it should be made in the needs of the individual sequ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