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디 괄약근 기능 이상으로 인한 소아의 재발 급성 췌장염 1예

        최병호,박선민,김호각,김정미,홍석진,김정옥,조민현,최병호,Choi, Byung-Ho,Park, Sun-Min,Kim, Ho-Gak,Kim, Jung-Mi,Hong, Suk-Jin,Kim, Jung-Ok,Cho, Min-Hyun,Choe, Byung-H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2

        저자 등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았던 재발성 급성 췌장염의 14세 소아 환자에서 오디 괄약근 운동 검사로 오디 괄약근 운동 이상을 진단하고, 내시경 췌관 유두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Recent studies suggest that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SOD) is one of the possible causes of unexplained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in children. A 14-year-old boy who had suffered from idiopathic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was diagnosed with SOD. Abdominal ultrasonography, computeriz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revealed no evidence of stone, tumor, or pancreatic ductal anomal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and sphincter of Oddi manometry (SOM) revealed elevated basal pressure and tachyoddia consistent with SOD. Hence, an endoscopic pancreatic sphincterotomy was performed.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SOD in a child. ERCP and SOM may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multiple unexplained attacks of pancreatic pain and negative abdominal imaging.

      • KCI우수등재

        3 차원수치(次元數値)모델을 이용(利用)한 동지군해(東支郡海)의 태풍해일(颱風海溢)의 산정(算定)

        최병호,Choi, Byung Ho 대한토목학회 198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 No.4

        황해(黃海) 및 동지나해(東支那海)의 동수역학적(動水力學的) 3차원수치(次元數値)모델이 이 해역(海域)의 조석(潮汐), 해일(海溢), 항류순환(恒流循環) 및 조경(潮境) 등(等)의 물리적과정(物理的過程)을 연구(硏究)하기 위해 개발(開發)되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동지군해(東支郡海)의 3 차원(次元)모델은 1978년(年) 하절(夏節)의 5 일간(日間), 태풍(颱風)(웬디호(號))에 의(依)해 야기(惹起)된 해일(海溢)에 의한 해류분포(海流分布)를 산정(算定)하는데 적용(適用)되었다. 산정(算定)된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지역적(地域的) 수심별해류분포(水深別海流分布)가 제시(提示)되었으며 분석검통(分析檢討)되었다. 본(本) 연구(硏究)는 역학원리(力學原理)에 입각(立脚)한 동지군해(東支郡海)의 태풍해일(颱風海溢) 예보체계(豫報體系)의 수립(樹立) 위(爲)한 첫 시도(試圖)로서 수행(遂行)된 것이다.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numerical model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intermediate scale processes in the region. The model was applied to the three dimensional computation of the typhoon induced curr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for a 5 days period in Summer, 1978. The circulation pattern showing depth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urrents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s presented and analyzed. This initial study has been undertaken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amme of establishment of real-time forecasting schemes based on dynamic principles.

      • KCI우수등재

        아라비아만(灣)의 조석(潮汐)모델

        최병호,Choi, Byung Ho 대한토목학회 198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8 No.2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아라비아만(灣)(페르시아만(灣))의 기본적(基本的)인 조석역학(潮汐力學)을 연구(硏究)하기 위한 2차원(次元) 조석수치(潮汐數値) 모델을 수립(樹立)하였다. 모델외해경계(外海境界)는 만동측(灣東側)의 육붕단(陸棚端)에 위치(位置)하며 위도상(緯度上) $1/12^{\circ}$, 경도상(經度上) $1/10^{\circ}$의 격자해상도(格子解像度)를 갖는다. 수립(樹立)된 모델은 $M_2$, $S_2$, $K_1$, $O_1$ 및 $N_2$ 분조(分潮)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이용(利用)되었는데 외해개방경계조건(外海開放境界條件)은 Schwiderski의 해양조석(海洋潮汐) 모델로부터 취하였다. 주분조(主分潮)의 독립적(獨立的)인 등진폭(等振幅)과 등위상도(等位相圖)가 제시(提示)되었으며, 기존영국수로부(旣存英國水路部)의 조석도(潮汐圖)와도 비교검토(比較檢討)되었다. $M_2$분조(分潮)와 $M_4$분조(分潮)에 의한 반일주기(半日週期)의 최대해저응력(最大海底應力)벡터가 이 해역(海域)의 토사이동(土砂移動) 방향(方向)을 추정(推定)하기 위해 제시(提示)되었다. A fully non-linear two-dimensional model for studying basic tidal dynamics within the Arabian Gulf has been formulated. The model extends to the east as far as continental shelf edge and has a mesh resolution of 1/12 degree latitude by 1/10 degree longitude. The developed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dominant $M_2$, $S_2$, $K_1$, $O_1$ and $N_2$ tides adopting the open boundary tidal information from Schwiderski's global ocean tidal model. Computed co amplitude and cophase charts were presented independently and comparison between these charts and existing Admiralty tidal charts were made. Maximum bottom stress vector during the semidiurnal period due to $M_2$ and $M_4$ tides are also presented to suggest the possible direction of sediment movement in the region.

      • KCI우수등재

        동지나해(東支那海)의 SEASAT 위성(衛星) 고도계(高度計) 자료분석(資料分析)

        최병호,Choi, Byung Ho 대한토목학회 198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5 No.3

        1978년(年) NOAA/NASA의 SEASAT 위성(衛星) 고도계자료(高度計資料)를 이용(利用)한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해면변위(海面變位)를 연구(硏究)하기 위한 초기노력(初期努力)이 서술(敍述)되었다. SEASAT 운용기간중(運用期間中)의 동지나해(東支那海)의 두 태풍통과시기(颱風通過時期)를 선택(選擇)하여 공간적(空間的), 시간적(時間的) 변화도(變化度)가 큰 천해조석(淺海潮汐), 해일(海溢) 및 지구조석(地球潮汐)에 대한 고도계(高度計) 자료경정(資料更正)을 하였는 바 일련(一連)의 작업(作業)을 일관(一貫)된 고도계처리체계(高度計處理體系)를 수립(樹立)하여 수행(遂行)하였다. 초기결과I(初期結果)들이 제시(提示)되었으며 추후(追後)의 연구(硏究)에 대한 토의(討議)를 하였다. 본(本) 연구(硏究)는 추후(追後) 이용가능(利用可能)한 해양위성(梅洋衛星)의 고도계자료(高度計資料)를 철저(徹底)하게 이용(利用)하여 동지나해(東支那海)의 국지해양학적(局地海洋學的)인 특성(特性)을 규명(糾明)하기 위한 첫 시도(試圖)로서 수행(遂行)된 것이다. An initial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sea surface topography in the East China Sea using the SEASAT-A altimeter data. Over the study area for the two major typhoon surges generated during the SEASAT mission, space and time variability of the shallow water tides, meteorological effects and earth tides were removed from the altimetric measurements using the systematic procedures which include the two-dimensional sea model of the East China Sea. The analysis of ten flights over the ground track for the typhoon periods were presented and discuss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ies. This initial study has been undertaken in association with the programme of establishment of systematic altimeter data reduction system for the study of shelf dynamics in the East China Sea.

      • 종방향 보강재로 보강된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의 극한강도 해석

        최병호,박성미,황민오,Choi. Byung Ho,Park. Seong Mi,Hwang. Min Oh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1

        현재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원통형 쉘구조로 이루어진 타워구조의 대형화가 추진되면서 제작, 운반 편의성, 단면효율성, 경제성 제고를 위해 다각형단면 기둥구조물의 활용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의 극한강도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고 관련 기준이나 지침이 명확히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쉘구조물을 다각형구조물로 대체하여 제작될 경우 축방향 압축에 대한 내하력 향상 효과를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해석모델은 지름 2m, 두께 20mm인 원형강관 프로토타입 풍력타워 구조를 참고로 하여 이에 내접하도록 결정한 6~12각형 단면 형상으로써 높이 10,000mm인 3차원 기둥모델을 구현하였고 유한요소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각 subpanel의 중앙에 종방향 보강재를 설치하였을 때 국부좌굴에 대한 내하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종방향보강재로 보강한 모델을 구성하여 비교 해석을 수행하였다. 종방향 보강재의 제원은 미국 SSRC 제안식을 기준으로 삼았다. 탄성좌굴해석을 통해 탄성좌굴모드 형상을, 비선형비탄성해석을 통해 최종파괴모드 및 극한강도를 얻었다. 보강 전 후의 탄성좌굴 해석 결과로부터 최소모드의 고유치 값을 비교하였다. 각 subpanel 단면 중심부에 한 개의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탄성좌굴강도가 4배 가량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보강재(n=1) 설치에 따라 유효 폭두께비가 1/2로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비선형해석결과로부터 subpanel의 단면중심에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보강재가 위치한 곳에 고정점이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국부 좌굴모드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각형 단면 기둥구조의 내하력 성능, 즉 국부좌굴강도에 영향을 준다. 충분한 강성을 갖는 종방향 보강재가 설치된 경우, 극한상태에서도 유효폭두께비가 줄어드는 것과 같은 강도 향상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각 해석결과 극한강도를 DIN code, Migita와 Fukumoto의 제안식, SSRC 설계제안식 등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장골의 해면 입자골 또는 블럭골을 이용한 치조열의 재건에 관한 비교 연구

        최병호,이충국,민연숙,홍순재,Choi, Byung-Ho,Yi, Choong-Kook,Min, Yon-Sook,Hong, Soon-Xae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1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27 No.2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forms of iliac cancellous bone grafts better restore alveolar clefts. Study design : Forty consecutive patients who required a unilateral alveolar cleft graft were studied. Group I (20 patients) had reconstruction with iliac cancellous particulate bone grafts and group II (20 patients) had reconstruction with iliac cancellous block bone grafts.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Results : The group with the block bone grafts showed less postoperative problems and better incorporation of the bone graft than the group with the particulate grafts. Conclusion : Surgical reconstruction of alveolar process defects in patients with alveolar cleft using iliac cancellous block bone is a more reliable method than particulate bone grafts both for closing the oronasal fistula and for building interalveolar septal height.

      • KCI등재

        소아에서 연쇄상 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의 임상양상의 변화

        최병호,추미애,홍은희,황현희,조민현,고철우,Choi, Byung-Ho,Chu, Mi-Ae,Hong, Eun-Hui,Hwang, Hyun-Hee,Cho, Min-Hyun,Ko, Cheol-Woo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2

        목 적 : 최근 연쇄상 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APSGN)의 빈도가 증가됨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5년간 APSGN으로 진단된 환아의 임상양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APSGN으로 진단받은 63례를 대상으로 하여 진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2000년을 기준으로 1992-2000년에서 발병한 33례와 2001-2006년에 발생한 30례로 구분하여 임상 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나이, 성별, 단백뇨 정도, 육안적 혈뇨 유무, 항생제 사용 여부 등으로 구분하여 임상 양상을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63명 중 남자는 41명, 여자는 22명이었고 발병 당시 연령은 평균 7년 11개월이었다. 전체의 87%에서 인후염이 선행하였고 평균 12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으로 이행되었다. 육안적 혈뇨는 40례에서, 고혈압은 41례에서 있었다. 신염 발생 후 고혈압은 평균 7.8일, 육안적 혈뇨는 11.3일, 현미경적 혈뇨는 3.5개월 후 소실되었다. 2000년 전후 발병군을 비교하면 2000년 이후 발생군의 ASO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9) 다른 임상 양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 성별, 단백뇨 정도, 육안적 혈뇨 유무, 항생제 사용 여부 등은 신염 후의 고혈압과 혈뇨의 지속기간, 혈청 보체의 회복 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2000년 이후 발병된 APSGN은 ASO치의 차이를 제외하면 2000년 이전 발병군의 임상 양상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ASO 값의 차이와 APSGN의 빈도 증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recent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APSG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 changes of clinical findings/manifwstation in children with APSGN. Methods : Medical records of 63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PSGN in the deparment of Pediatr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2006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analyzed various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x, degrees of proteinuria, degrees of hematuria, and presence or absence of histories of systemic antibiotic use in children with APSGN, and compared the children with APSGN who were diagnosed between 1992 and 2000 to those who were diagnosed between 2001 and 2006. Results :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2-14 years(median 7.11 years) at the time of disease onset. Study patients consisted of 41 boys and 22 girls. APSGN followed infection of the throat in 87% of cases. Patient developed an acute nephritic syndrome 12 days after an antecedent streptococcal pharyngitis. Forty patients presented with gross hematuria. Fortyone patients had hypertension at the time of diagnosis. Hypertension disappeared within 7.8$\pm$8.2 days, gross hematuria within 11.3$\pm$17.2 days and microscopic hematuria within 3.5$\pm$3.9 months from the disease onset. Patients in 2001-2006 had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 of antistreptolysin O(ASO) titer.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ge, sex, severity of proteinuria, gross or microscopic hematuria, antibiotic therapy did not affec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glomerulonephritis. In other words, hypertension, duration of hematuria, recovery of serum C3 level a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time periods. Conclusion : Our data indicates that patients in 2001-2006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ASO titer. However,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clinical differences. To evaluate the causes of the resurgence of APSGN, a national epidemic is needed.

      • KCI우수등재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순환(循環) 및 유류확산(油類擴散)모델

        최병호,Choi, Byung Ho 대한토목학회 198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5 No.1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조석(潮汐) 및 해일(海溢)을 추정(推定)하기 위한 체계수립(體系樹立)의 초기연구과정(初期硏究課程)이 서술(敍述)되었다. 제시(提示)된 체계(體系)는 일기도(日氣圖)의 기압자료(氣壓資料)로부터 기상외력입력자료(氣象外力入力資料)를 작성(作成)하여 해양(海洋)모델에 의하여 해수위변화(海水位變化)와 해류(海流)를 산정(算定)하는 기법(技法)이 골격(骨格)을 이룬다. 이 초기체계(初期體系)에 의해 산정(算定)된 유황(流況)을 이용(利用)하여 오염물질(汚染物質)의 이동확산(移動擴散)을 추정(推定)하는 과정(過程)도 간단(簡單)히 서술(敍述)되었으며 인천만(仁川灣)의 유류확산(油類擴散) 및 이동추정(移動推定)의 초기결과(初期結果)가 제시(提示)되었으며 또한 토의(討議)되었다. 제시(提示)된 체계(體系)의 추후개선(追後改善)을 위한 토의(討議)도 수록(收錄)되었다. The initial stage of an investigation aimed at setting up a system for the prediction of tides and surge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are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scheme is to take pressure data from the weather charts, then to process the data 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meteorological forcing data to the sea model, which then computes the associated waterlevels and currents. The procedure of predicting the drift and spreading of pollutants using the flow field from the tide and surge computation scheme are also briefly described. Some preliminary results of predicting oil spreading in the Inchon Bay are presented and discussed. An indication of further development of the system is also given.

      • KCI우수등재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토사이동경로(土砂移動經路)

        최병호,Choi, Byung Ho 대한토목학회 198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 No.4

        황해(黃海) 및 동지나해(東支那海)의 비선형조석(非線形潮汐)모델을 이용(利用)하여 대륙붕상(大陸棚上)의 평균(平均), 최대해저마찰응력(最大海底摩擦應力) 및 평균(平均), 최대토사이동(最大土砂移動)포텐셜을 구(求)하였다. 모델로부터 산정(算定)된 평균(平均), 최대해저마찰응력(最大海底摩擦應力)의 분포(分布)와 토사이동경로(土砂移動經路)와의 연관성(聯關性)에 대(對)한 초기추정(初期推定)이 이루어졌다. A non-linear numerical tidal model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s used to derive the mean and maximum bed stress the mean and maximum transport potential on the continental shelf. It has provided a preliminary assessment of relation between sediment transport paths and the mean and maximum bed stress distribution determined from the numerical model.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주요(主要) 감조하천(感潮河川)에서 보름주기(週期) 수위변화(水位變化)

        최병호,안원식,김용윤,Choi, Byung Ho,Ahn, Weon Sik,Kim, Yong Yun 대한토목학회 198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5 No.3

        우리나라 주요(主要) 감조하천(感潮河川)에서의 보름주기수위변화(週期水位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한 초기노력(初期努力)이 서술(敍述)되었다. 낙동강(洛東江) 및 금강감조구간(錦江潮租區間)의 보름간의 조석(潮汐)을 재현(再現)하기 위한 l차원(次元) 동수역학적(動水力學的) 조석(潮汐數値)모델이 수립(樹立)되었다. 이 모델은 평균(平均)) 대조시(大潮時) 천조위(千潮位) 및 평균소조시(平均小潮時) 천조위(千潮位)가 전도현상(顚倒現象) 보이는 개략적(槪略的)인 위치(位置)를 판별(判別)하는데도 이용(利用)되었다. 보름주기수위변화(水位變化)의 기본적(基本的)인 물리과정(物理科程)을 LeBlond이 제시(提示)하는 모델에 의해 설명(說明)하였다. 이 초기연구(初期硏究)의 궁극적(窮極的) 목표(目標)는 우리나라 감조하천(感潮河川)의 조석역학(潮汐力學)을 이해(理解)하고자 하는데 있다. An initial attempt to investigate the forced fortnightly water-level modulations in major tidal rivers in South Korea is described. Simplified one-dimensional hydrodynamic numerical models were established to reproduce the fortnightly tides in the Keum River and the Nakdong River respectively. The models were also used to identify the approximate locations of the reversal of MLWS and MLWN in the Keum River and the Nakdong River. The basic features of this forced fortnightly waves are explained through scaling arguments proposed by LeBlond. The objective of this initi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idal dynamics of the major tidal rivers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