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에 관한  성인 학습자의 인식 연구

        최건아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provide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However, these programs have a shortage of analysis of adult learners’ needs and awar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establishing proper writing curricula by analyzing various adult learners’ needs for writing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d texts that adult learners, as graduate school students, composed, to identify the type of writing curriculum they seek.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specific needs about the purposes and implementation of writing education. Participants felt that there writing is important in their personal and career lives and, at the same time, felt an unwillingness to write. They also said there are problems in writing education because of its discontinuity and administrators’ opinions on writing programs. Participants’ desire for writing education was related to authenticity, accessibility, connecting other areas with writing, and career needs. These imply that an investigation of the contexts of adults’ writing will be important in the future.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들은 공교육과정의 주된 범위가 아닌 까닭에 대체로 평생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제공된다. 그런데 성인 학습자 들이 어떤 작문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작문교육을 둘러싸고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식에 따라 다양한 직업과 연령의 성인 학습자들이 작문 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 과 요구를 갖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추후 바람직한 작문 교육과정 수립에 이 바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들에게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바람직한 작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도록 하고, 프로그램 제안 서에 작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표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이 기술한 내용을 토대로 작문 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작문 교육의 목표와 실행 차 원의 인식을 드러내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작문 교육 실행의 방해 요인, 바람직 한 작문 교육의 요건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참여자들은 작문이 일상과 대 인관계, 직업생활 전반에 걸쳐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대체로 작문이 어렵고 꺼 려지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작문 교육이 생애에서 불연속적으로 이루 어진다는 점, 관리자의 의지에 따라 교육 실행이 영향을 받는 점을 교육 실행의 어려움으로 들고, 실제적 교육, 성인 학습자들이 접근하기 용이한 교육, 작문 외의 영역과 연계한 교육, 직업적 필요를 충족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 로 보았다. 연구를 통해 성인들이 처한 작문 맥락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들 에게 적절한 작문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 필자의 쓰기 과제 선호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최건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preference for writing tasks. 370 freshmen participated and they revealed their needs and preference for writing tasks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focused on writers’ immanent or extrinsic elements when they prefer certain writing tasks. Writers’ subjectivities, self-examination or interaction, learning for writing, content learning, level of writer’s knowledge and instructors' grading were the influence factors on participants’ preference for writing tasks. these results mean that researchers and writing educators should consider various elements harmoniously to construct writing tasks and writing education. 쓰기 과제는 쓰기 과정 및 쓰기를 통한 학습 과정을 조정하는 축으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쓰 기 과제를 다룬 여러 선행 연구는 필자로서 학습자보다는 과제 자체의 구성 요인에 대한 탐색에 집중해 온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쓰기 과제의 수행 주체로서 학습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대학의 학습자들이 쓰기 과제에 대해 갖는 선호의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함 으로써, 대학 작문 교육에서 과제 설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신 입생 370여 명을 대상으로 서술형 설문을 진행하여, 이들이 장르, 주제 설정, 분량을 포함한 쓰 기 과제의 각 차원에서 보이는 선호의 근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크게 주관성, 자 아성찰 및 의사소통, 쓰기에 대한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 필자의 수준, 평가 측면의 영향을 받 아 특정 쓰기 과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쓰기 과제 의 설계에 다양한 요소들이 균형 있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 평가 일변도의 쓰기 교육을 지양 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국어교육에서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의 의의 및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최건아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19 淸大學術論集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ways to applicate visu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of American states’ visual literacy education, several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o build some principles to fulfill visual literacy education, individual teachers should collaborate with students, schools and local institutes. Second, lingual communica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visual literacy practices simultaneously. Third, teachers need to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to understand visual literacy. Forth,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s very important. Fifth, well-balanced education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considering whol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과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에 대한 연구

        최건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3

        This paper studies the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persistence. The elements of learning persiste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Five categories of a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supportive service satisfactions,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academic conscientiousnes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29 questions that tap into these categories were developed, and 100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these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nd between students’ comprehension and students’ interest. In addition, students’ writing competition was related to learning persistence, too. These results mean students’ communication performance is related to their emotion and other social elem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consider students’ performance, awareness, universities’ human resource and infrastructure in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fit to students’ environment and authentic compensation system are also important.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지속의향과 의사소통 능력 간 관계에 대해 탐색함으로써 대학에서의 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는 학습지속의향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고,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의 학습지속의향을 측정하였다. 학문적 통합성, 사회적 통합성, 지원 체계에 대한 만족도, 재학 기관에 대한 충실도, 학업 성실도에 해당하는 총 29개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 학문적 통합성과 사회적 통합성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도출되었으며 또한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학생의 흥미도 간 상관관계도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의 언어적 의사소통 수행에서 인지와 정서, 기타 사회적 요인 간 관계도 엿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여러 차원 중 작문 능력에 주목하여 보았는데, 참여자들의 학습지속의향 점수와 작문 능력 간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결과도 도출되었다. 이는 의사소통 능력이 학습지속의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학습지속의향을 증진시키는 것과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연관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연구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제언한다. 첫째, 학습지속의향을 발달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대학 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한편, 작문 능력 등 의사소통 능력의 계발도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언어적 의사소통을 교육할 때 학습자의 수행과 인식, 대학의 인적, 물적 환경 제공의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셋째, 대학 의사소통 교육에서는 학습자의 환경에 맞는 의사소통 방법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의사소통을 포함한 대학 교양교육에서는 학습자의 동기를 북돋을 수 있는 실제적인 보상체계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KCI등재

        上代神名의 借音表記

        崔建植(최건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9

        This study discusses various aspects of 164 Chinese characters used in Ancient literature for transcribing Japanese Gods" names by means of pronunciations. Previous studies tend to exclude proper names such as Gods" nam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different from common nouns.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the way of transcribing Japanese Gods" names in homophonic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that of other nouns found in Ancient Japanese literature. The reason for the same way of transcribing common and proper nouns is that the same principle was applied to all the transcriptions in the ancient literature such as Ki and Shoki in the early eighth century. This study analyses the ratio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commonly found in both Gods" names and people"s names. The most popular pattern is Ryakuon-gana, which is followed by Rengō-gana and Nigō-gana: Ryakuon-gana, a new pattern of transcription, began to be dramatically and widely used, compared to Rengō-gana and Nigō-gana, old patterns of transcription. The ratio is higher in Ki than in Shoki since using Chinese characters for meaning as well as for pronunciation is common in Ki, where there are noteworthily the same Chinese characters that are used for both their meaning and pronunciation.

      • KCI등재

        읽기 목적에 따른 독자의 읽기 과정 특성 연구

        최건아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9 No.-

        본 연구는 읽기 목적에 따라 독자가 어떤 읽기 과정을 경험하는지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서는 대학생 독자 8인이 ‘학습’ 및 ‘여가’ 목적의 읽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생성한 사고구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이들이 설정한 읽기 목적에 따라 다른 읽기 과정을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세부적으로는 목적 설정의 주체, 텍스트 유형에 따른 차이도 확인되었다. 학습 목적으로 읽을 때 참여자들은 내용 자체를 이해하는 데 집중한 반면 여가 목적의 읽기에서는 심미적 반응을 더욱 강하게 드러내기도 하였다. 스스로 학습 목적을 설정한 독자는 다른 독자에 비해 더 능동적인 읽기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하였다. 온라인 텍스트를 읽음에 따라 보인 읽기 과정의 특성들도 새롭게 조명되었다. 한편으로, 참여자들은 설정한 읽기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전략을 구사하기도 하여 교육적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학생 독자들이 목적에 맞는 읽기 전략을 구사할 수 있고 읽기 과정 중 직면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이 더 많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readers experience the rea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reading. In this study, eight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for both learning and leisure purposes, and the think-aloud they generated during the reading proces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erent reading processes depending on the reading purposes, and that the differences were related to who set the purpose and the type of text. When reading for learning, participants focused on text comprehending, while for leisure reading, aesthetic responses were stronger. And a reader who set his own learning goal experienced a more active reading process than other r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text-reading process were also newly characterized.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were found to use strategies that were not aligned with their reading goals, indicating a need for instructional support.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ways to help student readers use purposeful reading strategies and address the challenges they face during the reading process.

      • KCI등재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대학생 소그룹 활동에 관한 연구

        최건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Speech anxiety is a very important issue especially for college students. There are lots of undergraduates who want to overcome their own speech anxiety and researchers need to investigate how we can instruct and help them. This research explored w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and think in small group activities for overcoming speech anxiety. 8 stud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 researcher composed journals and analyzed texts, dialogues and interview protocols participants produc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participants’ various experiences. First, in this study, small group functioned as a foundation of support for overcoming speech anxiety. Second, participants detected influence factors affecting speech anxiety. Third, participants tried to balance self evaluating and self-respect. Fourth, participants got to spontaneity of presentation.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장차 직업세계에서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할 대학생들에게 발표 불안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의사소통 연구자들은 어떻게 이들을 지도하며 도울 수 있을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발표 불안을 극복하고자 하는 소그룹에서 대학생들이 어떤 경험과 사고를 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8명의 자발적인 참여자들과 연구자가 8회 과정의 소그룹을 운영하는 동안 생성된 참여자 저널 글, 대화록, 인터뷰, 연구자 저널 글, 발표 녹화 화면 등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자발적으로 구성된 ‘소그룹’ 자체가 발표 불안 극복에 유용한 환경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발표 불안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스스로 탐색해 냈으며, 각 요인이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참여자들은 자기 긍정과 엄격한 자기 평가 간의 조화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넷째, 참여자들은 소그룹에 참여한 이후 발표 상황에 대한 자발성이 증진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 학습자들이 발표 불안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지역 교육환경에 대한 주민 인식과 요구 분석 - 충청북도 11개 시·군을 중심으로 -

        최건아,하민철,김영배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는 지역 교육환경에 대해 지역민들이 어떤 인식과 요구를 갖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지역 교육환경 개선 및 교육 서비스 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서는 연령, 성별, 거주지(시·군)에 따라 716명의 충청북도 도민을 설문 응답자로 표집하였으며, 이들의 설문 응답결과를 통계 분석 및 워드 클라우드 도출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민 요구의 특성에착안하여 지역별 특화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년 취·창업, 일자리 문제와 연계한 교육환경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학교 시설 복합화에 대한 요구를 다각적으로 수용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넷째, 응답자들이 지닌 전 생애에 걸친 교육 지원 요구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공교육 질 개선에 대한 요구가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지역 맞춤형 교육환경구축에 관해 더욱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wareness and needs of local residents about the local educational environments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ocal education. 716 residents of Chungbuk were selected based on age, gender, and region of residence (city/county), and the results of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tools and word cloud derivation techniques. As a result,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a specialized environment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residents' needs. Second, we ne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the employment and job issues of youth. Third, we need to accommodate various needs for complexifying school facilities. Fourth, participants' needs for lifelong education were identified. Fifth, there is a clear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We hope that there findings would stimulate further discussions on how to improve localized education environments.

      • KCI등재

        국어과 예비 교사의 쓰기 과제 구성에 관한 연구

        최건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국어과의 예비 교사들이 중등 학생 대상의 쓰기 과제를 구성할 때 무엇을 고려하는지, 과제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의도한 대로 과제를 구성하는지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쓰기 교육 및 교사 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국어과 예비 교사들이 구성한 쓰기 과제의 내용과 과제 구성 의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쓰기 과제에서 ‘과제 수행 결과물로서 텍스트가 갖추어야 할 요건’ 및 ‘필자에게 요구되는 수행’ 차원의 내용을 다양하게 제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학습자의 수행 측면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쓰기 과제를 구성하였다. 대체로 참여자들은 완성된 텍스트 자체의 요소에 관한 것보다 학생 필자의 학습과 관련한 요소들에 집중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쓰기 과제 구성의 의도와 실제 구성 결과 간에는 다소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 구성에 관한 참여자들의 지식과 경험의 부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어 쓰기 과제 구성 및 쓰기 교육에 관한 더욱 세밀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Writing tasks are important instruments to improve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This means that languag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writing tasks are proper for students and what tasks are not. There, however, have been scant researches that investigated how researchers can help pre-service teachers to make high quality writing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design writing tasks, what elements they regard and what traits they revealed in the process of making writing tas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nts composed writing tasks with elements demanded in texts such as ‘theme’, ‘audience’, ‘purpose’, ‘contents’, ‘mode and expression’ and ‘genre’, and requirements for student writers as ‘thought’, ‘using information’, ‘performing process-centered writing’ and ‘performing above writing’. Second, participants were affected by various elements, especially factors about learning, ‘student writers’ learning’, ‘traits of student writers’ and ‘considering conditions of writing task performing’, when they compose writing tasks. Third, there was a gap between the purpose of building writing tasks and authentic writing tasks participants made. From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more various elements comprising writing tasks should be explored. Second, the usefulness of each type of writing task has to be verified in diverse perspectives. Thir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hat help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student writers’ interest or level of ability to use them in making writing tasks is needed. Fourth, pre-service teachers need more sufficient experiences bridging their intention to make tasks and the authentic tasks they make.

      • KCI등재후보

        예비 교사의 진로 탐색 저널 쓰기에 대한 연구

        최건아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문교육 Vol.24 No.-

        본 연구는 학습자로서 예비 교사들이 저널 쓰기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의 저널 쓰기 사례를 분석하였다. 저널에서는 학습 내용 또는 상황에 대한 논평, 지난 저널 읽기를 통한 재진술, 양식 변경을 통한 저널 쓰기 촉진과 같은 ‘학습 및 성찰’ 측면의 특징, 사건의 나열, 양식 변경에 따른 제한점과 같은 ‘정체’의 특징이 나타났다. 연구에서 다룬 사례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으나, 예비 교사들의 지속적, 자기주도적 학습 도구로서 저널쓰기는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첫째, 다양한 양식의 개발, 둘째, 저널 쓰기 자체에 대한 학습 기회 제공, 셋째, 저널 쓰기가 자기 주도적 학습과 연계되도록 돕는 교육과정 마련, 넷째, 지속적인 면담 체계 및 관리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analyzes pre-service teachers’ journals, and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nvestigated the ways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utilize in journal writing.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traits of learning and introspection like ‘comments on learning contents and situations’, ‘reading past journals and rewriting’, ‘empowering journal writing by using new types of journal modes like mobile messenger’, and also traits of inactivity like ‘listing fragments of information’, ‘limitation by using mobile messenger’.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and educators need to make various formats for journal writing, help students to learn how to write journals, make curriculum to connect journal writ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construct systems that will allow constant conversation and moni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