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유아발달 수업 개선 실행연구

        채혜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유아발달 수업을 개발 및 운영하면서 수업을 개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유아발달 수업을 설계하고 유아교수 2인에게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유아발달 수업을 매주 수행하면서 연구자 성찰과 연구참여자 관찰을 실시하였다. 셋째, 플립러닝을 적용한 발달 수업을 성찰하여‘일장일단 온라인 수업’, ‘개개인이 살아있는 교실’, ‘함께 만들어 가는 수업’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이런 성찰 과정을 거쳐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유아발달 수업을 재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용한 영유아발달 수업을 계획, 실행, 성찰 및 재계획 과정을 거치면서 수업 개선에 대한 방향점을 제시하고 수업에서 능동적 학습자의 배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classes and derive implications while developing and operating child development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first, child development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 were designed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after review by two early childhood professors. Second, child development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 were performed every week while researcher reflection and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onducted. Third, by reflecting on child development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 we explained ‘Ups and Downs: online class’, ‘a classroom where each individual lives’, and ‘classes created together’. Finally, through this reflection process, child development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 were re-plann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directions for improving classes through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reflecting, and re-planning courses with child development classes using Flipped Learning method. It also confirms the active learning of learners in the clas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와 부모가 인식한 유아 강점에 대한 메타포 분석

        채혜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부모들이 유아의 강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은유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사 62명, 부모 70명이 ‘유아의 강점을 이다. 왜냐하면 이기 때문이다’라는 은유분석 설문지에 작성한 내용을 수집하였고, 체계적 은유분석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성격강점으로 순수, 활력, 용기, 친절, 사랑, 긍정, 자유와 학습강점으로 모방, 몰입, 창의성, 개방성, 관찰력, 호기심, 끈기, 가능성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와 부모가 지닌 유아의 강점에 대한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었고, 이는 유아의 강점교육에서 유아교사와 부모와의 협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young child's strengths through metaphor analysis. 62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70 parents completed a prompt, “The strengths of young child is like . Because it is .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their reas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We categorized character strengths as pure, vitality, courage, kindness, love, positive, freedom and learning strength as imitation, flow, creativity, openness, observation ability, curiosity, tenacity and possibility. We could se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f young child 's strength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co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i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s strengths.

      • KCI등재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채혜경,황해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further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s. Th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192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sangnam - do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est in interpersonal competence is very much, and most early childhood teacher are trying hard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cognize that interpers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is necessar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empathic understanding of others as the most important goal of interpersonal competency promotion, and perceived linguistic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 - expression as important and feasibl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program method appeared in the workshop, once a semester, less than 5 sessions, 60-90 minutes. Third, the most important point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program is to reflect the voices of the field and to consider the need for the director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 program operation. The major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aid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program development progra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flect on the needs and perceptions of these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역량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유아교사의 행복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인관계역량 증진과 관련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설문지를 제작하고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92명에게 제작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응답받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역량에 대한 관심은 많은 편이며, 대인관계역량 증진에 대해 대다수의 유아교사가 노력하고 있고,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는 대인관계역량 증진의 목표는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으로는 언어적 의사소통기술, 자기표현을 중요하고 실행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프로그램의 방법으로는 오프라인의 방법 중 워크샵, 실시주기는 한 학기에 1번, 5회기 이하, 실시시간은 60-90분 이하의 응답이 가장 높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발 시 고려할 점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줄 것과 프로그램 운영이 고려할 점은 원장과 유아교사의 필요성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다수의 유아교사는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현장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도를 반영하여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시사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부모가 인식하는 유아 행복에 대한 이미지 탐색

        채혜경,박리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image of parents on happiness of young children by using Q methodology. The Q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review of various literatures and replies on open ended questionnaire of 105 parents. After categorizing Q population with 352 statements, 44 Q samples with 44 statements were selected. The results that 40 parents were asked to Q sort 44 statements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agreements analyzed using PQ method program. The results produced the three parents’s image about young children’s happiness. The image can be labeled as follows: 1) family relationships: happiness from warm-hearted family relationships 2) free play: positive emotions such as fun, amusement from playing one’s favorite game 3) problem-solving and achievement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fulfillment and satisfaction from dealing with hard work and overcoming difficult situations. 본 연구는 유아 행복에 대한 부모의 이미지 유형과 그 특성을 Q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유아기 부모 105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수집된 352개의 진술문을 범주화, 분석하여 최종 44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P표본으로 선정된 40명의 유아기 부모들이 Q분류한 결과를 PQmethod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유아 행복에 대한 이미지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인 ‘가족관계’는 가족이라는 따뜻한 울타리에서 만들어내는 관계로 설명하였다. 제 2유형인 ‘자유로운 놀이’는 유아들이 스스로 좋아하는 놀이를 하면서 기쁨, 즐거움 등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느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제 3유형인 ‘문제해결 및 성취경험’은 유아들이 힘든 상황을 극복하고 어려운 과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보람, 성취감, 뿌듯함 등을 느끼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행복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의 의미를 알아보는 데 의의가 있다.

      •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유아교사 관계 네트워크 분석

        채혜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유아교사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유아교사 8명에게 12회기 동안 실시하고 프로그램 실시 전후 관계 네트워크를 조사하였다. 관계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 집단의 링크, 밀도, 평균연결, 군집화 계수가 증가하였으며, 네트워크의 중심성도 변화하였고 뭉쳐있는 집단 구성도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으로 인해 유아교사 개개인의 변화뿐 아니라 유아교사 집단의 관계 네트워크도 긍적적으로 변화하는데 실직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아동의 행복감, 집행기능곤란과 학교적응 간의 종단적 관계

        채혜경 ( Hyekyoung Cha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감, 집행기능곤란 및 학교생활 적응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에서 수집된 9차(2016년), 10차(2017년), 11차(2018년)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각 요인에 대한 초기값과 변화율을 무변화모형과 선형변화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아동의 행복감, 집행기능곤란, 학교적응은 시간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감 초기값이 학교적응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집행기능곤란 초기값이 학교적응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이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 아동의 행복감과 집행기능곤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happines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school adjustment through a longitudinal study. A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using the 9th (2016), 10th (2017), and 11th (2018) panel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n Children’s Panel.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for each factor, focusing on the no-change model and the linear change model with variance, it was found that children’s happines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school adjustment change over time. Second, the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happiness on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justment was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the initial valu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on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justment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feelings of happines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play major role in predicting school adapt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성취압력, 양육행동, 아동의 그릿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채혜경 ( Hyekyoung Cha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취압력, 양육행동, 아동의 그릿,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의 11차(2018)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성취압력과 양육행동이 그릿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취압력과 양육행동은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권위 있는 양육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그릿을 부분 매개하여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어머니의 권위있는 양육행동, 성취압력, 그릿이 영향을 미치며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주요한 변인으로 양육행동과 그릿의 관계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grit, and school adjustment. Using the 11th (2018) panel data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in which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parenting behavior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grit. First, mother’s achievement pressure and parenting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rect influence of the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on school adjustment,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partially mediated grit.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vealed the influence of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achievement pressure, and grit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grit as a major variable for increasing school adaptation.

      • KCI등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유아교사 관계 네트워크 분석

        채혜경(Chae, Hye-K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 적용에 따라 유아교사가 속한 집단의 관계 네트워크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곳의 유아교사 각 8명, 총 16명에게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유아교사 대인관계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12회기 동안 실시하고 프로그램 실시 전후 관계 네트워크를 조사하였다. NetMiner 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로 연결망 분석을 한 결과, 첫째, 프로그램 적용 후 유아교사 두 집단의 링크 수, 평균 연결거리, 밀도 및 군집화 계수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노드 간 평균거리는 줄어들었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후 유아교사 두 집단의 인접중앙성 점수는 모두 높아졌고, 뭉쳐있는 소그룹이 변화하였으며 관계 네트워크의 연결망이 더 촘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으로 인해 유아교사의 개인의 변화뿐 아니라 유아교사 집단 구성원들의 관계가 더 가까워지고 집단 네트워크가 조밀하게 발전되는 유아교사 집단의 역동적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network changes of the group in which the early childhood teacher belong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An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on 16 teachers, 8 teachers from each 2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nd the relationship network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using the data collected by the NetMiner 4 program, first,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number of links, average degree, density and clustering coefficient of the two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ed, and the average distance decreased. Seco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closeness centrality scores of both grou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ed, the clustered small group changed, and the connection of the relationship network appeared to be denser. These results revealed implications for not only individual chan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also dynamic chang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ups in which the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group grow closer and the group network develops densely due to interpersonal relations promotion program.

      • KCI등재

        아동의 자율성, 교사-아동 갈등관계, 학교환경과 아동의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채혜경 ( Hyekyoung Chae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자율성, 교사-아동 갈등관계, 학교환경과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2019년의 11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의 행복감, 아동의 자율성, 교사-아동 갈등관계, 학교환경과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 교사의 지지와 자유로운 의사소통, 친구들의 지지와 즐거운 반 분위기, 엄격한 규칙과 지시적 분위기는 각각 자율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아동-교사 갈등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아동의 자율성은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아동-교사 갈등관계는 자율성과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이는 아동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동의 자율성, 교사-아동 갈등관계 및 학교 환경을 함께 살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utonomy,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and school environment that affect children’s happines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happiness, children’s autonomy, teacher-child conflict relationship, and school environment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2019 11th data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eachers’ support and free communication, support of friends and a pleasant class atmosphere, strict rules and directive atmosphe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utonomy and happiness, respectively,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hild-teacher conflict relationship. In addition, children’s autono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and child-teacher conflic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utonomy and happiness. This suggests that children’s autonomy and school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improve children’s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