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AD/CAM을 이용하여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지대치 보철물 제작 증례
채민정,이청희,Chae, Min-Jeong,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4
국소의치 장착자에서 2차 우식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지대치 치료 후 크라운 재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기존 국소의치가 잘 기능하고 있고 환자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할 수 없을 경우에는 기존 국소의치에 맞도록 지대치 보철물을 제작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고, 기공과정이 복잡하다. 국소의치를 지지하는 지대치에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의 원본 모형이 있고 참고점이 될 수 있는 다른 치아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CAD/CAM을 이용하여 retrofitting 보철물을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지대치의 포스트, 코어 및 보철물이 복합적으로 탈락하여 내원한 환자에서,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을 이용해 기존 국소의치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높은 적합도와 조정 과정의 최소화 등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학생의 PC Skillreporting System과 기본마네킹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효과 비교
채민정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1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the effect on knowledge, self-efficacy,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ance accuracy between PC Skillreporting System and Conventional Manikin of College Students. This resea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 6 to 13, 2010.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college students of non-health related departments at S college in G metropolitan city and 57 students were conveniently sampled(experimental group 29, control group 28). The treatment of this stud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was modified by the author, guided by Park Dae Seong (2010-a), Park Jeong Mi (2006), Park Dae Seong (2010-a) and skill test paper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orea Association of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2009). The effect of this program was evaluated by the scales for knowledge, self-efficacy, performance ability. Accur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assessed with data stored and managed in PC Skillreporting System applying 2005 Resuscitation Guidelines.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x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aired t-test, t-test using SPSS 14.0 vers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Hypothesis 1, “Experimental group will get higher scores in knowledg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2.397, p=.024). 2. Hypothesis 2,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higher self-effic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3.566, p<.001). 3. Hypothesis 3,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higher skill performance abi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2.641, p=.014). In conclus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using PC skill reporting system was effective in enhancing knowledge, self-efficacy, skill performance ability and accuracy. Therefore, adop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using PC skillreporting system will be required to increase of accuracy artificial respiration, chest compression and self-confidence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ey words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C skillreporting system, Self-efficacy, performance ability
청소년 자살생각, 자살시도의 영향요인 분석: 스트레스, 외로움, 절망감의 상호작용효과
채민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4 청소년상담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를 연속적인 과정으로 두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자살생각을 하는 청소년들 중에서 어떠한 청소년들이 자살시도에 이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체집단 51,850명, 자살생각 집단 7,350명, 자살시도 집단 1,213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을 투입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성별, 학년, 경제적 상태가, 심리적 변인으로는 스트레스, 외로움, 절망감이 도출되었으며, 자살생각을 가진 청소년들의 자살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업성적과 절망감이 도출되었다. 또한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와 외로움, 외로움과 절망감, 절망감과 스트레스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으며, 자살시도에 대한 외로움과 절망감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 자살생각에서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영향을 주는 요인과 심리적 요인 간 상호작용효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방하는 개입과 자살시도를 예방하는 개입의 차별화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that impact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suicidal ide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suicidal attempts. Using the data from the 2022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this study perform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1,850 adolescents in total, consisting of 7,350 in the suicidal ideation group and 1,213 in the suicide attempts group.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gender, grade level, and economic status were identified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impacted suicidal ideation, and stress, loneliness, and helplessness were identified as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impacted suicidal ideation. Also, academic performance and helplessness were the variables that impacted suicidal attempts among those with suicidal ideation.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stress and loneliness, loneliness and hopelessness, and hopelessness and stress on suicidal ideation we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loneliness and hopelessness on suicidal attempts were significant as well. These findings clearly show that there exist risk factors and interaction effects of some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process from suicidal ideation to suicidal attemp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and to prevent suicide attempts in adolescents was discussed.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적용한 고효과 프로그램 참여 유형화 연구: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채민정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3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high-impact practices participation in universit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ir characterisitcs and supportive environments on these profil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ir learning outcomes.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types of high-impact practices participation; type 1(weak participation type, 54.2%), type 2(excellent participation type, 10.5%), type 3(learning communities participation type, 18.3%), type 4(integrative learning participation type, 17.0%).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gender, grade, major and supportive environments prove to be predictors of identifying profiles. Moreover, they indicate differences in their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student outcom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이중 잠재계층분석을 적용한 원격수업 장단점 경험의 탐색적 연구: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채민정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2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대학 교수·학습과정 질 관리 조사(NASEL)에 참여한 H 대학 재학생 725명을 대상으로 이중 잠재계층분석을 적용하여 원격수업 장점과 단점요인의 잠재계층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분석 결과, 먼저 원격수업 장점요인과 단점요인을 토대로 각각 잠재계층분석을 수행한 결과 장점과 단점 모두 2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이중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도출된 잠재계층은 4개 유형이었으며 도출된 유형 간에 원격수업 장단점 지표 및 개인별 특성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원격수업 경험에 대해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활용 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채민정,이은주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敎育心理硏究 Vol.37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various adaptation pathways of out-of-school adolescents about to enter adulthoo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ways of utilizing their time and examine the changes over time. For this, seven items(sleep, educational institutions, work, personal study, lethargy, hobbies, and friendship)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the first year to the third year of the Academic Interruption Youth Panel Survey(n=398), to determine the ways of time util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e adolescents in the first year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i.e., academic-leisure group, high-working group, and medium-working group. For those in the second year, five subgroups were identified, i.e., high-working group, medium-working group, and self-education group, academic-institution group, and helpless-hanging out group. Furthermore, for those in the third year, four subgroups were identified, i.e., working group, self-education group, academic-institution group, and helpless-hanging out group. Subsequently, a latent tran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from the first year to the second year, the high-working group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medium-working group, and the medium-working group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medium-working group, and the academic-leisure group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helpless-hanging out group. From the second year to the third year, the high-working group and medium-working group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working group, and the self-education group and academic-institution group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academic-institution group, and the helpless-hanging out group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helpless-hanging out group.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patterns of utilizing their time were more diverse and more likely to change over time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Different interven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 Upon investigating how the 24 hours of a day are utilized, out-of-school adolescents displayed more diverse ways than general students, and the change over time was significant. The diversity increased up to two years after dropping out from school and the ways of utilizing their time were highly likely to change. For out-of-school adolescents to enter efficiently into adulthoo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that consi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on various careers and advancement in the early stages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간호학과 신입생을 위한 대학적응프로그램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전공선택동기,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채민정,박신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10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대학적응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전공선택동기,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총 47명이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신입생을 위한 진로탐색시간을 활용하여 도입단계, 자아탐색단계, 진로탐색단계로 구성하여 2024년 3월부터 4월까지 1주에 3시간씩 총 7주간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하였고, SPSS/WIN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적응프로그램에 참여 후, 진로준비행동(t=-2.46, p=.018)과 대학생활적응(t=-2.22, p=.031)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t=-1.64, p=.108)과 전공선택동기(t=-1.76, p=.084)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적응프로그램은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추후 간호대학 신입생이 1학년부터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여 대학생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college adjustment progra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tudy subjects were freshmen in the nursing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G City, and 47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intervention program comprised an introduction, self-exploration, and career exploration phases using the career exploration time for new students. It was conducted 3 hours a week for seven weeks from March to April 2024. Data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after participating in the university adaptation progra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2.46, p=.018)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2.22, p=.031)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 -1.64, p=.108)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1.76, p=.084)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llege adaptation program for freshman nursing students is effective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 systematic and effective customized program so that freshman nursing students can choose and prepare for a career that suits them starting their first year and completing their college life.
F-18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에서 보이는 위(stomach) 섭취 양상의 임상적 의의: 위 내시경 소견과 비교 평가
채민정,천기정,임상무,이상우,변병현,김성은,김유철,최창운 대한핵의학회 2005 핵의학 분자영상 Vol.39 No.6
목적: FDG PET에서 위(stomach)에 보이는 다양한 FDG 섭취 양상들이 임상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고 유의한 병변의 특징적 양상을 밝혀 내어 좀 더 정확한 PET 판독을 유도하여 임상적 처치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6월에서 2004년 8월까지, 15개월 동안 FDG PET과 위 내시경을 모두 시행한 위 절제술을 받지 않은 피검자들 중에서 두 검사간 간격이 1주일 이내인 총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PET 영상의 분석은 섭취 정도의 측면에서 시각적 섭취 정도와 max.SUV를 사용하였고, 섭취 모양의 측면에서 국소적, 미만성, 비대칭성의 섭취 양상을 인자로 분석하였다. 내시경 소견은 악성 병변, 염증성 병변, 비염증성 병변, 정상 소견으로 분류하였고, 염증성 병변은 다시 궤양, 위염(만성위염, 기타위염)으로 분류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t-test와 Mann Whitney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악성 병변의 경우 시각적 섭취 정도에서 grade 4,5, max.SUV 7.95 4.38로 높은 섭취 정도를 보였으며, 섭취 양상은 국소적 섭취 양상이었다. 이러한 기준에 따른 결과는 다른 병변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염증성 병변, 비염증성 병변, 정상 소견에서는 시각적 섭취 정도가 grade1∼5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섭취 양상도 국소적, 미만성, 비대칭적인 다양한 양상이었다. 이러한 양성 염증성 병변, 비염증성 병변, 정상 소견 병변들 간에는 섭취 정도와 양상의 인자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위의 악성 병변은 양성 병변에 비해 높은 FDG 섭취 정도를 보이고 섭취 양상에 있어서는 대개가 국소적 섭취 양상이었다. 그러나 위의 양성 병변과 정상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섭취 정도와 섭취 양상을 보여 주었고, 각 병변들간에 또는 정상의 생리적 섭취와 구별할 수 있는 소견은 제시하기 어려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