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인식에 대한 연구

        채문희,심혜인 한국범죄심리학회 2019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5 No.2

        As of 2018, there are 2.3million foreigners staying in the country, and the Justice Ministry expects the number to exceed 3 million within the next five years. The study looked into the perception of social distinctions and factors of influence on foreign workers among male educators at the Central Police Academy. We looked at the level of social distinctions against foreign workers, the level of negative feelings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negative stereo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박사과정 수료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제1저자) ** 박사과정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교신저자) * Ph.D. Candidate / Police administration at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First Author) ** Doctroal Student / Department of Police and Criminal Justice in Dongguk University(Corresponding Author)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sensitivity was relatively high, and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sensitivity was low, which could be seen as high acceptance level. But when it comes to being my family's spouse, it turns out that the acceptance level is relatively low. Also, negative response and stereotypes about foreign workers were relatively low.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tereotypes and negative response, the lower the social distance, and the lower the level of police education students for foreign workers, the report showed. Therefore, preliminary police officers are recognized for the need for education and awareness changes in minority groups, including foreign workers. Furthermore, methods and research are needed to change negative response and negative stereotypes 200만명이 넘는 외국인 국내에 체류하고 있으며, 40만명 이상의 외국인 근로자가 있는 현 시점에서 외국인 범죄는 증가하는 수준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범죄자에 대한 연구와 관련 대책 방안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남자 경찰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여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을 비롯하여, 부정적 감정, 부정적 고정관념의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개인요인을 통제요인으로 하여 사회적 거리감의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부정적 고정 관념과 부정적 감정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경찰교육생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수자집단에 대한 교육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교육의 수업 및 수업횟수 등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하여 경찰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소수집단교육에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나아가 부정적 감정과 부정적 고정관념을 변화시키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보호관찰공무원의 탈진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채문희,이승현 한국보호관찰학회 2019 보호관찰 Vol.19 No.1

        While it is common knowledge that probation/parole officers are exhausted from excessive working hours supervising paroleesㆍprobationers and job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only few research to explor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the practice of probationㆍparole officers and to propose policies to solve burnout problems of probation/parole officers. We analyzed 185 survey responses from the probationㆍparole officers in Seoul, Gyeonggi,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The results show that fear of physical injury from probationers/parolees and non-regular work(work without any compensation)influence burnout of probation offic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bation workforce. There are various ways to reduce non-regular work(work without any compensation)such as securing volunteers workforce and through recruit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tect probation/parole officers from threats from probationers/parolees and to support victimized probation/parole officer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make probationers/parolees recognize the severity and certainty of punishment when they harm the officers in order to reduce the officers' fear and to provide medical support to the probation officers who have already suffered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mage. 보호공무원의 경우 실무에서 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원호와 지도감독을 수행하고 있어 과도한 업무시간과 직무특성에서 오는 탈진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나 이를 해결하 기 위한 조사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보호관찰공무원이 실무에서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 탈진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의 현장업무 담 당 보호관찰공무원 185명의 설문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정규 근무(무임 금), 업무수행에 있어 보호관찰 대상자로 부터의 육체적 피해두려움이 보호관찰공무원 의 탈진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보호관찰 인력 의 충원이 필요하다. 인력충원을 통해서 무임금 업무를 줄이고 봉사인력을 확보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보호관찰대상의 보호관찰공무원에 대한 위협행위를 근절과 피해보호관찰과에 대한 처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호관찰대상자가 보호관 찰공무원에게 물리적ㆍ심리적 위해를 가할 경우 처벌의 엄격성과 확실성을 인지시켜 보호관찰공무원의 두려움을 줄이는 한편, 대상자로부터 이미 정신적ㆍ육체적 피해를 받은 보호관찰공무원에 대한 의료지원과 같은 구체적 지원정책의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채문희,이승현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esilience of marine police offic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using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the 'Study on maritime police welfare condition and establishment of mid and long term welfare strategy' (2018). Results: First, the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level was low (0-10), accounting for 81% of 715 patients. The median (11-20) was 119, followed by 13.49% and the major (21 or more) was 48, 5.44%.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marine police officers is serious because about 19% of the total has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Second,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resilience showed 9% of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which was the main cause of post - traumatic stress. Especially,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red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marine police officers, the policy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arine police officers is to reduce the experience of the trauma with the operation of the family relationship support program such as work -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ursue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lem drinking, in order to step forwards a healthier maritime police.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수준을 파악하고,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양경찰 복지 실태조사 및 중장기 복지전략 수립’ 연구(2018) 에서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이 약하다는(0-10) 응답자가715명으로 전체의 81%를 차지하였고, 중간(11-20)은 119명으로 13.49%, 심함(21 이상)은 48명으로 5.44%의 비율 순으로 나타났다. 즉, 전체의 약 19% 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가지고 있어 해양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가 심각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회복탄력성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9%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외상후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주요원인임을 검증하였고, 특히 긍정성의 하위변수인 생활만족도가 외상후 스트레스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양경찰조직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문제를해결하기 위하여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과 지속적인 외상관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전화금융사기 범죄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채문희(Chai, Moon He),박찬혁(Park, Chan Hyeo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3

        우리나라에서 전화금융사기 이른바 ‘보이스피싱’ 범죄가 발생한지 불과 10년여 정도가 지났다. 2006년 5월에 처음 보이스피싱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후 매년 수천 건씩 발생하여 서민경제를 침해하는 주범으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인터넷과 통신기술의 발전은 우리 삶에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역기능을 초래하였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전화금융사기 범죄이다. 보이스피싱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끊임없이 시도되고 있으며 최근 가상화폐의 등장은 보이스피싱에 새로운 수법으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음을 실제 사례를 통해 증명한 바 있다. 이처럼 전화금융사기 범죄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필요한데 이 논문에서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 수사기관과 금융기관의 미흡한 공조, 신고포상금 제도의 실효성 부족 그리고 대포통장에 대한 처벌 약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첫째 모니터링제도의 실효성 확보방안에 제안하였으며 인력관리와 채용방식 그리고 업무에 대한 역량강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둘째 수사기관의 적극적인 협력과 공조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위해 전화금융 사기 범죄의 전담팀과 인력증원 그리고 핫라인 활용방안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셋째 현재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포상금제도를 피해금액에 따라 차등화 하는 방안과 징벌적배상제도 원리의 도입을 통해 적극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죄에 악용되는 대포통장 억제를 위해 금융기관 간의 정보공유 와 처벌강화 그리고 고객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외에도 전화금융사기 범죄에 취약한 고객과 계층을 위해 맞춤 관리·감독 방안과 대국민 홍보의 중요성을 함께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실제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전화금융사기 범죄는 여러가지 상황이 갖추어졌을 때 성립되는 범죄로써 금융기관, 수사·감독기관 그리고 국민들의 주의와 관심까지 모든 요소가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진화하는 범죄에 대한 신속한 대체를 위해 제도개선과 금융기관의 노력 그리고 국민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Voice phishing is the criminal practice to gain access to personal data and financial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rewards by using social engineering over the telephone system. Recently government has tried to distribute precautionary measure and response procedures for ‘voice phishing because of the increase of electronic bank frauds. However, ‘Voice phishing’ crime has still occurred and has been advanced. It is difficult for legal authorities to monitor and trace of the criminal practice. This study examines voice phishing crime and discuss the issue of phishing attacks. And it is considered the real cases as well as the problems and preventive measures of them. In this paper, various problems are pointed out which is including the limit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insufficient cooperation with investigative agencies, and lack of the effective reporting syste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eventive measures to reduce the damage generated by voice phishing effectively. First, this study proposed the effective monitoring system. Second, active cooperation with investigative is needed. Also, it is necessary to set up a hotline and to form a specialized team of financial fraud. Third, the current reward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Finally, it emphasized the need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vestigation institutions.

      • 88서울올림픽 문화포스터에 나타난 국가 정체성 디자인

        문희(Moon Heechae) 한국디자인사학회 2021 Extra Archive: 디자인사연구 Vol.2 No.2

        1980년대 한국은 빠른 경제발전과 함께 정치적으로는 민주화의 열망이 들끓는 격변을 겪어냈다. 디자인 또한 이 시기에 큰 도약과 더불어 변화 요구에 직면했고, 그 해법으로 동시대 한국미를 찾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1980년대를 관통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었던 88서울올림픽 디자인 중 문화포스터를 통해 국가 정체성 디자인이 한 시대를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살핀다. 88서울올림픽은 디자인전문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체계적 디자인 전략을 구현하고자 했다. 처음 디자인전문위원회에서 표방한 국가 정체성은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반영하되, 현대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시각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12명의 외부 디자이너가 참가한 문화포스터에서는 1980년대라는 정치, 경제, 문화적 격변기의 국가 정체성에 대한 그 시절 디자인계의 다양한 인식이 드러난다. 소재면에서는 전통과 역사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접근을 시도했지만, 타자의 취향에 맞춘 수동적 이미지상이라는 일제식민지배의 잔재가 여전히 남아있었다. 하지만 당시 심의 회의록에 따르면, ‘왜색’은 최우선 경계대상이었다. 대신 문화포스터에서는 동시대 한국미를 표현하는 조형 언어를 모색해 올림픽이라는 축제를 흥겹게 되살리고자 했다. 이는 세계 속 한국 디자인의 주체성을 회복하려는 시도로 읽을 수 있다. 이처럼 주체적 동시대 한국미를 표현하고자 했던 88서울올림픽 문화포스터 디자인을 통해 ‘국가 정체성’이 디자인사를 읽는 하나의 방법으로 작동함을 검증한다. In the 1980s, Korea was a period of upheaval,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aspirations for democratization. Design also faced a demand for change with a big leap at this time, and tried to find contemporary Korean beauty as a solution. This study examines how national identity design reflects an era through cultural posters among the designs of the 1988 Seoul Olympics, which were important historical events that passed through the 1980s. The 1988 Seoul Olympics tried to implement a systematic design strategy, led by a Design Committee. The national identity advocated by the committee was to create a modern and future-oriented visual image, while reflecting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Korea, but to create a modern and future-oriented visual image. However, since 12 designers participated, the cultural poster reveals various aspects of Korean design for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1980s. In terms of objects, a broader approach to tradition and history was attempted, but remna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a passive image tailored to the taste of others still remained. However, if we look more closely at the process of deliberating the cultural poster, it can be seen that ‘Japanese colonial style’ was the top priority. Instead, the cultural poster tried to revive the festival called the Olympics by seeking a formative language that expresses contemporary Korean Aesthetics. This can be read as an attempt to restore the subjectivity of Korean design in the world. Through the 1988 Seoul Olympic cultural poster design, which was intended to express the subjective contemporary Korean Aesthetics, wit is verified that ‘national identity’ works as a way of reading the Design History.

      • 변색된 유전치의 순측접근에 의한 치수치료 및 레진수복

        채문희(Moon-Hee Chae),송제선(Je-Seon Song),최형준(Hyung-Jun Choi),김성오(Seong-Oh Kim) Asia association of Disability and Oral health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and Oral Healt Vol.10 No.2

        Traditional method of pulpectomy for a necrotic primary anterior tooth was done on lingual side. But it could not recover the discoloration of crown effectively. For the purpose of treating the discoloration of crown after lingual pulpectomy, additional methods of crown restoration were needed like : celluloid crown, open-faced crown, rasin-faced crown. Neverthless, these kinds of complete coverage methods had some disadvantages such as possibility of tooth fracture by increased tooth prepa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lingual pulpectomy, labial treatment c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It is a method that treats necrotic pulp through the labial access opening. After finishing the pulp treatment, discolored labial tooth structure was removed extending from access opening. Discoloration of deep area could be masked effectively using opaque sealant. Cavity on labial side was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This labial approach method has several advantages. First, it gives a direct vision for effective pulp treatment which is also very useful for children with poor behavior. Second, most of lingual tooth structure could be saved and occlusal contact of lingual surface remains undisrupted. Only nonfunctional discolored labial surface may removed. Third, complete removal of discolored part of a labial tooth and immediate resin restoration could be done effectively after pulp treatment. Moreover, it also could be used for pulp treatment having serious dental caries on labial surface with sound lingual tooth structure. This report presents cases with discolored upper anteior primary tooth, approaching labial side with successful restoration.

      • KCI등재후보

        고빈도호흡기를이용한 신생아 이송

        이승현,채문희,조혜정,류일,심소연,손동우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4

        Purpose: To present and evaluate a system of high-frequency oscillatory ventilator (HFOV) during intra-/inter-hospital neonate transport. Methods: The system includes a charged HFOV (SOPHIE, Fritz Stephan GmbH, Düsseldorf, Germany), an incubator, and E-oxygen/air-cylinders with connections to the HFOV. The test lung was evaluated at the high and medium ventilator settings used for infants to determine the operating time of HFOV. The time required to exhaust the gas supply was checked, and the HFOV was operated until the low-battery alarm sounded to determine the operating time of the batteries. Results: The batteries provided electrical power for at least 60 mins, and the oxygen and air-cylinders lasted at least 20 mins. The system has been used frequently for the intra-hospital transport, from delivery rooms to ICU and from ICU for surgery. The system has been used twice for the inter-hospital transport of infant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pulmonary hypertension to another hospital 45 km away (one hour distance). In one case, the ambulance’s electrical power supply failed, causing the system failure during the last 5 mins of transport. However, with the complete check and simulation of the system and the ambulance bulk oxygen/electric supply, the second patient was transported successfully in stable condition. Conclusion: The system was useful for intra-/inter-hospital transport of the neonates on HFOV. For the transport time of 60 mins,fully charged HFOV, 2 E-oxygen-cylinders, and 3 E-air-cylinders seemed to be sufficient. H-oxygen-cylinder and ambulance electrical power supply should also be provided for safe and efficient transport between hospitals. 목적: 원내나 원외로의 신생아 이송 시 사용할 수 있는 고빈도환기법의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이를 평가하여 제시한다. 방법: 이 시스템은 충전된 고빈도진동호흡기 (SOPHIE, Fritz Stephan GmbH, Düsseldorf, Germany), 보육기 한 대, 고빈도진동호흡기에 연결되어있는 E 산소실린더와, E 공기실린더로 구성되었다. 고빈도진동호흡기의 작동시간을 평가하기 위해, 신생아에 사용하는고도와 중등도의 환기 세팅에서 모형폐를 사용하여 가스공급이 소진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충전지의 지속시간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원부족 경고음이 울릴 때까지 고빈도진동호흡기를작동시켰다. 결과: 충전지는 최소 60분간 전력공급이 가능하였으며 산소와 공기실린더는 적어도 20분간 유지됐다. 이 시스템은 분만장에서 집중치료실로 이송하거나 집중치료실에서 수술을 위해 이송할 때 자주사용하고 있고, 이 시스템으로 기관지폐이형성증과 폐동맥고혈압이있는 신생아를 구급차로 한 시간 걸리는 45 km 떨어진 타병원에 이송했던 두 번의 경험이 있다. 첫 사례의 경우 구급차의 전력공급이부족하여 이송 중 마지막 5분간 고빈도진동호흡기의 사용이 불가능하였으나, 두 번째 사례에서는 시스템을 완벽하게 준비하고 실제 이송과 흡사한 시뮬레이션으로 구급차의 산소와 전력을 완벽하게 점검하여 환아를 안정적인 상태로 성공적으로 이송할 수 있었다. 결론: 우리가 제시한 이 시스템은 고빈도진동환기중인 신생아의원내와 원외이송에 유용하다. 60분간의 이송을 위해서는 완벽히 충전된 고빈도진동호흡기와 두 개의 E 산소실린더, 세 개의 E 공기실린더가 필요하며 구급차의 H 산소실린더 및 전력공급 또한 병원간의안전하고 효율적인 이송을 위해 준비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