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오키나와 전쟁의 국가 폭력에 대한 분석

        차옥숭 ( Ok Soong Cha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1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본 논문은 오키나와 전쟁을 둘러싸고 오키나와와 본토가 서로 다른 견해로 인해 끊임없는 갈등관계를 갖고 있다는 데 주목하고 히메유리 학도대의 희생, 주민학살, 집단자살 등을 통해서 군국주의 논리와 민중의 논리가 어떻게 상충하고 있는가를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히메유리 학도대가 왜 오키나와 전쟁의 상징이 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전후 일본 민족주의가 전쟁의 희생자 관념을 부각시켜 군국주의에 대한 책임을 모면하려고 하였음을 밝혔다. 둘째 직접적인 주민학살의 명목인 스파이 혐의가 갖는 함의를 분석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참혹한 전장의 기억을 통해서 그들이 어떻게 타자화 되어 죽어갔는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집단자살에 관하여는 군민일체의 발로로써 자신의 의지에 따른 '순국사'라는 군국주의의 논리와 국가가 주민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 학살이라고 보는 민중의 논리를 분석해 보았다.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incessant conflicts coming from the different views about Okinawa Battle, and analyzes how the public perspective clashes with the militaristic one through the sacrifice of Hieyuri Students("Lily Crops" in English), the massacre of civilians and mass suicide. First, this article analyzes why the Himeyuri Students, so-called "Lily Corps", have become a symbol of the Okinawa Battle, and reveals Japan tried to avoid the responsibility of its militarism by highlighting the war victims. Second, it analyzes the implication of alleged espionage as the direct cause of the massacre of civilians, and shows how helpless people had to die based on the memoirs of people about the drastic war. Third, with regard to mass suicide, it also analyzes the militaristic claims that the "patriotic death" is out of voluntary choice and the civilian claims that it is clearly the massacre of civilians. To reveal the truth and learn the brutality of war is crucial to correctly understand the present reality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ast and to prepare peaceful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전쟁 폭력 여성

        차옥숭(Ok Soong Cha) 한국아시아학회 2009 아시아연구 Vol.12 No.2

        “우리는 때때로 심리적 외상을 준 사건이나 사고를 기억의 해법이 아니라 망각의 해법으로 풀려고 한다. 그러나 그것을 잊는다고 해서 잊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철저히 기억해서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하는 기억의 해법이 제대로 된 해법이다. 그래야만 부서진 신뢰가 회복되고 현실을 받아들이고 파괴되었던 인간 공동체의 의미를 되살리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오키나와에 거주했던 위안부 조선 여성들과 오키나와 여성들의 참혹한 전쟁의 기억을 통해서 어떻게 여성들이 폭력의 대상으로 타자화 되어 가는지를 살펴보려고 했다. 이것은 여성들이 겪은체험의 진상을 규명함으로써 봉인되고 수탈당해온 여성의 역사를 되찾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얻을 수 있었던 결론은 평화주의는 막연한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사람들이 더 이상 살고 싶어 하지 않는 그런 조건에 대항하는 투쟁이라는 것”과 진정한 여성인권 확보는 반전평화운동 속에서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아시아 여성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가나 민족적 경계에 갇히지 않고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유사한 식민지 경험을 한국가 여성들과의 연대활동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청된다는 것이다. We sometimes try to settle down the psychological trauma originated from an incidents or an accident not by the solution of remembrance but by the solution of forgetfulness. But traumatic happenings cannot be forgotten by the efforts to forget them. The right solution is to thoroughly remember the afflicting happening in order to make it never happen again. With the solution of remembrance, broken faith can be recovered, harsh reality can be accepted, and damaged meaning of the human community can be fixed. In this sense, this article explores how women has become an object of violence through the memories of Chosun comfort women and Okinawa women who experienced cruel war. That is, inquiring into the experience of these women can lead to recovering the history of women who were exploited and ignored. The conclusions I could get from this work are that pacifism is not a vague concept but "struggles against the harsh conditions under which people don`t want to live", that women`s rights can be gauranteed by antiwar peace movements, and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Asian women, it is urgently required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colonialism to conduct united movements beyond national and ethinic boundaries.

      • KCI등재

        대종교인의 독립운동과 사상의 변천 양상

        차옥숭(Cha Ok So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40 No.-

        동학혁명 이후 대종교의 독립전쟁, 무정부주의 항일 혁명운동에 이르기까지 역사 사회의 변형과 인격의 고결성을 결합하는 문제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작용했다. 중요한 것은 행동하는 개인의 내면성과 객관적 현실을 어떻게 하나의 통일된 전체로 형성하는가의 문제였다. 구한말로부터 1940년까지 시대적인 상황 속에서 당대의 지식인들은 어떻게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어떻게 세계를 인식하여 자기와 세계를 변형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은 자기와 세계의 변형이라는 실천적 지평 안에서 이루어 졌다. 이런 의미에서 이 논문에서는 인성론적인 탐구와 객관적 역사에 대한 이해와 변형의 문제를 한국 대종교 전통의 몇 분을 통해서 탐구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After the Donghak revolution, both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Daejongkyo and the anti-Japanese anarchist movement involved historical and societal transformations that saw the emergence of personal integrity as the most critical issue . The important question was how to combine the interiority of an acting individual and the objective reality as a unified whole.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to 1940, contemporary intellectuals could not help but question how to understand oneself within world in order to transform both the self and the worl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as sought on practical grounds, with the ultimate aim of transforming both the self and the world. In this sense, this paper explored theories of human nature, while understanding the objective changes that occurred throughout history in the cases of BaekPo Seo Il, Paikahm Park Eun-Sik, Danjae Shin Chae-Ho, and Woodang Lee Hoe-Yeong, all members of Daejonggkyo.

      • KCI등재

        국제혼인 이주여성 피해실태의 원인분석과 해결방안 모색

        차옥숭 ( Ok Soong Cha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1 No.2

        본 연구 논문은 국제 혼인 이주 여성들의 피해 실태를 중심으로 그 문제점과 원인을 살펴보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국제 혼인 이주의 발생 원인으로는 배출과 흡입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배출 요인으로는 경제적 어려움, 빈곤, 실업, 정치적 혼란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배후에는 전 지구적 자본주의 체계, 송출국과 유입국 사회와 정부, 국제결혼중개업체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이 작동하고 있다. 국제 혼인 이주여성들의 피해와 관련하여 이주 여성의 신분, 안정적인 체류, 국적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등에 관한 한국의 정책과 법은 상당히 취약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이주 여성들은 가정 내에서 권리를 주장할 수 없는 폭력에 방치되는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해결책 모색과 관련해서는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다문화 담론을 살펴보고, 2세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서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환경으로부터 이데올로기적으로 주입되는 영향에 대해 거리두기를 배우고 경계 밖으로 밀리고 폄하되는 외국인에 대한 선입견이나 적대감이나 인종주의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현재 독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상호문화주의 교육을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ality of the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ir emigration," and it also analyzes the major problems and their causes in attempt to find reasonable solutions. The immigration/emigration led by international marriage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interactions of "pushing-out" and "dragging-in" elements. "Pushing-out" elements are financial difficulties, poverty, joblessness, and political disturbance. In their background exist various social causes such as global capitalist market system, national or governmental polic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who get benefits from such immigration/emigration of people. The research reveals that, in Korea, constitutional supports ensuring legal status of the im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ital relations are not well established, and, as a result, leaving them and their kids exposed to inhumane family environment such as marital rape, violence, child abuse, poor education, etc. In an effort to find legal and practical solutions for those women suffered from international marriage, this study gives great attention to the "multiculturalism discourse." And, regarding the offspring education, it especially focuses on German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 The program makes children keep distance from the dogmatic knowledge resulting from outside environments and help them acquire the capability to reasonably analyze and resist racism, prejudice and antipathy against foreigners who are ignored and despised by local people.

      • KCI등재

        천도교의 음식문화: ‘만사지 식일완(만사지(萬事知) 식일완(食一碗))’ - 밥의 의미를 중심으로

        차옥숭 ( Cha Ok Soo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2 No.32

        이 글은 동학 천도교의 음식문화를 밥의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동학 천도교의 음식문화에 담긴 사상이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생태문제, 음식문화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논하였다. 동학 천도교의 음식에 대한 내용은 수운의 시천주(侍天主) 사상과 해월의 천지부모(天地父母), 경물(敬物), 물물천사사천(物物天事事天), 이천식천(以天食天), 내칙(內則), 내수도문(內修道文) 등에서 찾아보았다. 동양전통에서 무한한 궁극적 실재를, 무한한 절대를 유한한 개별자의 마음에서 찾고, 발견하고, 만나고, 하나가 되는 것이라면 수운의 시천주는 내 안에서 신령한 한울의 생명과 신성을 발견함과 동시에 내가 전체 우주의 뭇 생명들과 깊이 연결되어 하나를 이루고 있다는 생명의 존엄성과 연대성에 대한 자각이다(內有神靈, 外有氣化). 해월은 수운의 시천주를 ‘우주일기(宇宙一氣)’의 존재로 이해하여 사람만이 아니라 천지만물이 다 한울님을 자기 안에 모신 존재로 보고 물물천사사천(物物天事事天), 이천식천(以天食天)을 설명한다. 이천식천은 모든 만물이 서로를 먹이는 관계를 통해서 서로의 성장과 우주적 성장 진화를 도모한다는 것이다. 해월의 청수봉전(淸水奉奠)과 향아설위(向我設位)의 의미, 천도교인들의 매일 매일의 심고(心告)와 식고(食告)의 의미는 식사는 바로 제사요 제사는 바로 식사가 된다. 해월은 ‘밥 한 그릇의 이치를 알면 세상만사를 다 아는 것(萬事知 食一碗)’이라 고 했다. 천지의 젖인 밥은 나누는 것이고 함께 먹는 것이다. 생명의 밥은 사람을 먹여 살리고 사람 속에 생명을 불어넣어 힘이 되고, 그 힘으로 일하고 또 일해서 얻은 것을 서로 나누는 것이 한울님의 ‘일’이다. 여기에는 전체생명의 순환성, 다양성, 창조성과 생명 공경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끝으로 ‘건강한 밥상을 차리기 위해서는 우리가 발 딛고 사는 땅과 물, 우리를 둘러싼 환경을 건강하게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출발해서 밥 한 그릇을 모시는 태도에서부터 이웃과 자연, 온 생명에 대한 ‘모심’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한 살림 운동 등을 통해 동학 천도교의 ‘밥의 의미’가 어떻게 현재화 되어 실천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plores the food cultures of Donghak(or Eastern Learning) and Cheondogyo(or The Heavenly Way), especially centered on their own religious meanings of meals and how the thoughts of Cheondogyo embedded in its food culture have influenced on today’s ecological and food issu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ood represented in Donghak/ Cheondogyo, it examines Su-un’s thought, Si Cheonju(Bearing the heavenly god) and Haewol’s concept, such as Cheonji Pumo(天地父母: Heaven, Earth, father and mother/Heaven and Earth are parents), Kyungmul(敬物: Respect all things), Mulmulcheon Sasacheon(物物天 事事天; Everything in the world is heavenly god), Yicheon Shikcheon(以天食天: To feed heaven with heaven) as well as Haewol’s writings, Naechik(內則: Detailed Rules) and Nae Sudo-mun (內修道文: Cultivation of Cheondogyo adherents). In the (East-)Asian(Oriental) traditions, one looks for an infinite and ultimate existence and discover the infinite absoluteness in the minds of the definite individuals. And they try to meet the absolute and become union within it. On the other hand, Su-un's Si Cheonju is to discover Hanwool-nim (Heavenly God)’s sacred life and divinity within oneself(me) as well as to realize the dignity and affinity of life in the universe with which one is deeply connected and (attain) is unioned with it. Understanding Su-un’s Si Cheonju as Wooju Ilki(宇宙一氣: A spiritual energy of the universe), Haewol regards everything in the universe even human beings included as a being that bears Hanwool-nim within it. Based on this concept, Mulmulcheon Sasacheon and Yicheon Sikcheon can be explained. Yicheon Sikcheon means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related with (in the relation of) feeding each other so that they are propelled to grow together cosmically evolved.(and have been evolved) Haewol illustrates his Cheongsu Bongjeon(淸水奉奠: Offering pure water) and Hyanga Seolwi(向我設位: Setting up a table for ancestral rites towards oneself) to Cheondogyo adherents. Taking (consideration of)his theories, adherents' act of prayings(prayers) regarding the thoughts and the meals can be interpreted as taking(having) a meal itself. And it is also performing the ancestral rite at the same time. Haewol interpreted (mentions) Mansaji Sikilwan(萬事知 食一碗) as follows: “If you realize the natural law of a meal, you will be led to realize the law of the world”. Meals, that is Heaven’s milk, are to be shared and to be eaten together. The meals for life let people to survive and infuse power to live on, and in return, people work and share with what they obtain from their labor. It is the work that Hanwool-nim does. It implicitly involves the circularity, the variety, the creativity, and the respect for life in the universe. At last but not the leas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meaning of meals in Donghak/Cheondogyo is modernized and practiced in today’s context. It takes an example of the Han Sallim Movement which started with an awareness that preparing the healthy table must be followed by making the environment around us clean and healthy. This movement, then, suggests an attitude that respects a meal and further its vision to serve neighbors, the nature and all lives in the universe

      • KCI등재

        한국 그리스도교계 신종교 운동의 흐름과 특징

        차옥숭(Cha Ok So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5 한국종교 Vol.38 No.-

        이 논문은 해방 전과 후를 나누어 신령파 집단으로 대변되는 그리스도계 신종교운동의 흐름과 한국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해방 전 신비주의 전통은 신과의 합일을 지향하는 몰아적(沒我的) 신비체험, 신앙을 통한 치유, 하느님과의 직접 계시를 지향하면서도 당시 제국주의의 폐해와 엄혹한 식민지 현실을 날카롭게 인지하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해방 후 형성된 그리스도계 신종교 천년왕국운동에서는 한국 땅에 지상천국이 도래할 것이라는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탈사회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첫째, 해방 전 신종교운동의 흐름을 인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김성도, 백남주, 김백문, 황국주 등 그동안 잘 드러나지 않았던 인물들의 면면을 간단히 살펴보면서 해방 후 신종교운동에 미친 영향들을 살펴보았다. 6.25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전후하여 등장한 대표적인 기독교계 신종교는 나운몽의 용문산기도원, 박태선의 전도관, 문선명의 통일교로, 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둘째, 박태선의 전도관, 문선명의 통일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신천지를 중심으로 일제하 그리스도교 신종교운동의 어떠한 부분들이 해방 후 신종교 운동에 계승되어 왔는지를 조명하고, 이들 신종교운동에서 나타나는 한국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적 특징으로는 무(巫)적인 요소를 꼽았다. 특히 해방 후 영생불사를 말하고 지상천국을 말하던 전도관의 박태선, 통일교의 문선명, 신천지의 이만희 중 박태선과 문선명은 죽었다. 교조의 죽음을 극복하지 못하는 종교는 적합성을 상실하면서 사양의 길을 걷게 된다. 교조의 죽음의 공백을 극복하고 살아남는 이유를 근대적 종교의 경제력, 정치력, 조직력에서 찾았다.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trend of new religious movements of Christian lineage and its Korean characteristics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period. Korean Mystical tradition in the colonial period recognized harmful impact of imperialism sharply, but Millennium movement of Christian lineage in the post-colonial period often shows desocialized tendencies. This article focuses on religious figures such as Kim Sung-do, Baek Nam-ju, Kim Baek-mun, and Hwang Guk-ju to show tendencies of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colonial period. Influences of these figures on new religious movements in the post-colonial period are also examined, in particular Na Un-mong’s Yongmunsan Prayer House, Park Tae-sun’s Mission House, and Moon Sun Myung’s Unification Church. Some aspects of new Christian religion under Japanese rule that have preceded new religious movements of post-colonial period were also analyzed through the example of the Shincheonji Church of Jesus. In addition, we look into ‘Mu (巫)’ factor, a Shamanistic aspect of those movements as their Korean characteristic. However, new religions easily decline after the death of its founders who claimed immortality and heaven on earth. Survival of new religion seems to depend on its financial, political power, and ability to organize its foll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