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자의 학문관 고찰

        지준호 ( Chunho Ch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6

        순자(荀子)는 학문을 중시하여, 사람이 학문을 통하여 도덕과 예의를 익혀 천하의 가장 존귀한 존재가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순자의 학문관에는 학문 자체에 관한 논의 뿐만이 아니라, 학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수신(修身) 등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방법들이 복합적이며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전개되고 있으며, 예(禮)와 악(樂) 등 사회적인 질서 유지에 필요한 인륜과 규범을 배우는 도덕적인 실천 및 인간관계에 따른 환경의 작용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다. 순자가 말하는 학문의 목적은 학문과 배움을 통하여 선비[士]와 군자(君子) 그리고 성인(聖人)에 이르는 사회적 인재를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학의 경전(經典)을 공부하고, 예(禮)를 실천하는 것을 학문의 주요내용으로 삼았다. 삶의 철학이며 실천윤리적 내용을 담고 있는 유학(儒學)은 시대를 고민하는 지성인이 딛고 서 있는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특히, 학문을 익히고 예의를 실천하여 사회에서 요청받는 지성인이자 정치가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피력하고 있는 순자(荀子)의 학문관은 내성외왕(內聖外王)을 지향하는 유학의 이상과 그 궤를 같이 한다. Xun zi emphasized that the person became the most precious being in the world by learning moral and courtesy through the Study. It is said that the view of Xun zi``s Study was organically connected with not only argument of the Study itself but also the various theories and methods regarding the moral training related closely to Study. And it is said that the humanity needed social order keeping such as ritual and music, moral practice as a result of learning the norm, and environmental function related human relationship are important. The goals of the Study, according to Xun zi, are to cultivate great persons like Classical scholar, Gentleman, Sage by learning. To the end,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is to learn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to fulfill manners. The confucianism which is philosophy of life and has contents of practical ethics is set at the time which a man of intellect to the agony of times is standing. According to the view of Xun zi``s Study, it is emphasized the person should be intellectuals and politician who society is required by learning of the Study and practice of manners. And it usually goes along with the confucian``s ideal oriented inner sage and outer sovereign.

      • KCI등재

        중국불교의 교판론에 대한 교육적 이해 - 천태(天台)의 오시팔교판(五時八敎判)을 중심으로

        이승철 ( Seungchul Lee ),지준호 ( Chunho Chi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중국 교학불교의 독창적 이론인 교판론(敎判論)에 대한 교육학적 입론을 전제로 그 교육적 함의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소개의 논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중국 사상사에서 불교의 전래와 수용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교판론이 요청된 필연적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체 교학에서 교판론이 갖는 위상과 역할을 검토하고 있다. 둘째, 천태교학이 제기하는 교판론을 특히 경전 분류의 준거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판에 대한 교학불교의 실제 사례를 확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앞선 논의들을 통해 제기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소략한다면 교판론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교판론은 난무하는 지식으로 인하여 교육의 본의가 위협받을 때 이들 속에서 옥석(玉石)을 가려내야 하는 교수자의 책무와 태도, 그리고 이를 위한 실천적 사례를 적시(摘示)하고 있으며, 또한 교육의 내용이 정형성을 갖는 상황에서 교육내용과 학습자를 매개하는 교수자는 지식의 전달자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창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인가라는 실존적 딜레마에 관한 불교적 대답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introductory topics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yobanron, which is an original theory of Chinese teaching and learning Buddhism. First, by examining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Buddhism i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he explored the inevitable circumstances in which Kyobanron was requested, and by doing so, he considered the position and role of Kyobanron in the whole teaching and learning. Secondly, the actual case of Kyoban Buddhism against Kyoban is confirmed by examining Kyobanron (the theory of Kyoban) proposed by Tendai Kyogaku (study of the Tendai sect)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Finally, it pres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rais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issues. To simplify the discussion on this, Kyobanron has the following educational significance. Kyobanron presents the responsibilities and attitudes of professors who should be selected from among them, and practical cases for this purpose when the essence of education is threatened by excessive knowledge, and it also presents Buddhist answers about the existential dilemma of whether professors who mediate between education and learners should become knowledge transmitters or creators in situations where the content of education is stereotyp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