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적혈구제제용 백혈구제거필터 RF300의 성능평가

        권소영,조남선,송순녀,이주연,임아현,이현미,지영천,서창식,박윤희 대한수혈학회 2012 大韓輸血學會誌 Vol.23 No.1

        Background:Use of universal leukoreduction for prevention of leukocyte associated transfusion reactions is common practice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newly developed leukoreduction filter for red blood cells (RBCs), the RF300 (Kolon Industries, Inc, Gumi, Korea). Methods:Filtration time, RBC recovery, residual leukocyte count, and leukocyte removal rate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quality of RBCs after filtration, percent hemolysis was monitored for a period of 21 days. Performance of the RF300 (N=78)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Bio-R O2 plus (Fresenius, Hamburg, Germany), the Pall Purecell RC (Pall Co., Washington, USA), and the Sepacell R-500N (Asahi, Tokyo, Japan). Results:The shortest filtration time was observed using the RF300 (P<0.05). Using the RF300, recovery of RBC was 96.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wo filters (P<0.05). Mean residual leukocyte count was 0.26×106/unit, with a leukocyte removal rate of 3 log. Using the RF300, mean percent hemolysis was 0.32% at day 21, which was comparable with that of two filters, but lower than that of one filter (P<0.05). Conclusion:The RF300 meets all established quality requirements for conduct of safe and effective leukoreduction of RBCs. Background:Use of universal leukoreduction for prevention of leukocyte associated transfusion reactions is common practice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newly developed leukoreduction filter for red blood cells (RBCs), the RF300 (Kolon Industries, Inc, Gumi, Korea). Methods:Filtration time, RBC recovery, residual leukocyte count, and leukocyte removal rate were evaluated. To assess the quality of RBCs after filtration, percent hemolysis was monitored for a period of 21 days. Performance of the RF300 (N=78)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Bio-R O2 plus (Fresenius, Hamburg, Germany), the Pall Purecell RC (Pall Co., Washington, USA), and the Sepacell R-500N (Asahi, Tokyo, Japan). Results:The shortest filtration time was observed using the RF300 (P<0.05). Using the RF300, recovery of RBC was 96.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wo filters (P<0.05). Mean residual leukocyte count was 0.26×106/unit, with a leukocyte removal rate of 3 log. Using the RF300, mean percent hemolysis was 0.32% at day 21, which was comparable with that of two filters, but lower than that of one filter (P<0.05). Conclusion:The RF300 meets all established quality requirements for conduct of safe and effective leukoreduction of RBCs.

      • 포스터 11 : 헌혈자 선별검사 HBV NAT와 HBV ChLIA의 검사결과 비교

        박영란,이은정,김정식,지영천,김종훈,임가영,서영익,이미경,김준년,김명한,조남선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경(Background): 대한적십자사 중앙혈액검사센터는 2007년 6월부터 B형 간염에 대한 헌혈자 선별검사를 ChLIA(Chemiluminescence immunoassay)로 시행하였으며 2012년 7월부터 HIV-1, HCV, HBV NAT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TMA(Multiplex Transcription-Mediated Amplification)가 도입됨에 따라 HBV NAT를 함께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HBsAg ChLIA와 HBV NAT의 검사결과를 비교하여 헌혈자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법(Methods): 본 연구는 2012. 8. 1~2013. 8. 31까지 대한적십자사 중앙혈액검사센터에 의뢰된 헌혈자 검체 1,428,217건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뢰 검체 중 특별 검체나 의료기관검체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HBsAg ChLIA는 Abbott사의 Prism장비(Abbott Diagnostics, Abbott Park, IL)와 해당 전용시약을 사용하였고, HBV NAT는 Procleix Tigris System장비를 이용하여 Procleix Ultrio Plus시약(Novartis/GenProbe, Emeryvelle, San Diego, CA)을 사용하였다. 모든 헌혈자 검체에 대하여 두 종류의 검사가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두 검사 모두 개별검체를 사용하므로 검체의 교차오염을 예방하였다. HBsAg ChLIA의 경우 선별초회검사에서 양성 또는 HOD(High optical density)로 판정되면 다시 2웰로 재검하여 2웰 중 1웰이라도 양성이면 최종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선별초회검사와 재검 모두 판정기준은 시약설명서에 준하여 S/Co 값이 1.0 이상은 양성, 0.8 이상 1.0 미만인 경우는 HOD로 판정하였다. HBVNAT의 경우 초회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되거나 무효(Invalid)로 두 번 연속 판정되는 경우 HIV-1, HCV, HBV 구별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고 HBV NAT 구별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되는 경우를 HBV NAT 양성으로 결과를 처리하였다. 결과(Results): 전체 의뢰된 헌혈자 검체 1,428,217건 중에서 HBV NAT 양성은 761건, HBsAg ChLIA 양성은 621건으로 양성률은 각각 0.05% 0.04%로 예상과 달리 HBsAg ChLIA 양성률이 더 낮았다. HBV NAT 양성 761건 중 HBsAg ChLIA 양성은 565건, HOD 1건그리고 음성이 195건으로 HBV NAT 양성 건수의 25.62%에서 HBsAg ChLIA 음성이었다. 반면에 HBsAg ChLIA 양성 621건 중에서 HBV NAT 음성은 56건으로 HBsAg ChLIA 양성건수의 9.01% 정도였다. 또한 대한적십자사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HBsAg ChLIA HOD45건 중 1건이 HBV NAT 양성으로 판정되었다. 고찰(Discussion): 바이러스 및 생명체의 형질의 본질이 되는 핵산(DNA 또는 RNA)을 추출,증폭함으로써 그 존재 유무를 파악하는 HBV NAT 결과는 양성이지만 HBsAg 음성을 보이는 경우 이를 HBV 잠재 감염(Occult HBV Infection, OBI)이나 잠복기(Window period)로 생각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이러한 HBV 잠재 감염 또는 잠복기가 195건(25.62%)으로 전체HBV NAT 양성건수 761건을 고려하면 상당히 많은 건수이다. 따라서 이러한 두 검사결과의 불일치에 대한 정확한 판별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타 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 동안 대한적십자사 혈액검사센터에서 자체적으로 HBsAgChLIA의 판정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HOD(0.8≤S/Co<1.0) 45건 중 NAT 양성 1건이 나온 만큼 해당 판정기준은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수혈의 안전성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