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과 외래에서 향정신성약물을 복용 중인 환자에서의 하지불편증후군

        지구덕,한승희,양명성,양창국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4

        Objectives : The purpose of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incidence of restless legs syndrome (RLS) in outpatients with psychiatric iltness. Methods : 146 adult patients (male 52, female 94) wcre selected from those who visited a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RLS was evaluated through an interview method using diagnostic criteria and a severity rating scale for RLS developed by the Intemational RLS Study Group (IRLSSG). The authors also applied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s Anxiety Inventory (BAI),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Bames Akathisia Rating Scale and neurological examination. Rcsults : Thirty-four (23.3%) among 146 subjects were diagnosed as having RLS. Fifteen (44.1%) among those 34 RLS patients reported to have developed their RLS after starting their psychotropic agents and only 4 patients (11.7%) had Cu-rrently been receiving treatment for their RLS. The RLS group showed higher BDI and BAI scores (p<0.01) and lower sleep quality (p<0.01) compared to those of non-RLS. The RLS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o-morbidity of Pa-rasomnias (χ²=8.5, P<0.01) and peripheral neuropathy (χ²=5.2, P<0.05). Conclusion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a substantial proportion of outpatients with psychiatric illness are suffering RLS. Our data suggest that clin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possible presence of RLS among their patients who are taking psychotropic agents.

      • KCI등재

        병원 형 Wee센터에서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청소년의 체험연구

        박민정,정여주,지구덕,신은자,김시내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ype of experiences adolescents go through when partic- ipating in group art therapy at hospital-type Wee center and the nature of those experiences.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019 to December 2019 by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chool malad- justed students in their adolescence who had previous experience with group art therapy at hospi- tal-type Wee center. Based on in-depth interviews, eight fundamental topics and 20 sub-topics were obtained based on Max van Manen’s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earch method, and the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e grows while participating in group art therapy at Wee center, by going through changes of acceptance a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nd understanding self and others is realized. Second, through group art therapy at Wee center, one realizes the power of art and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art therapists. Third, group art therapy at Wee center not only improves peer relations, but the necessity of group art therapy at Wee center is also re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trusting one’s institution and therapists. This study includes vivid descriptions of the experiences by adolescents in Wee center group art therapy who are unable to attend regular schools due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support group art therapy to establish itself as a professional program for adolescents in mental health care institutions and schools, as well as provide useful material to help the needs and to expand hospital-type Wee centers. 본 연구는 병원 형 Wee 센터에서 청소년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본질 이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병원 형 Wee 센터에서 집단미술치료를 경험이 있는 학교 부적 응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 면접을 바탕으로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 절차에 근거하여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0개 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Wee 센터에 서 집단미술치료를 하는 동안 집단의 소중함을 깨닫고, 자신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수용하는 변화를 겪으면서 성장한다. 둘째, 참여자들은 Wee 센터에서 집단미술치료를 하며 미술의 힘과 미술치료사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한다. 셋째, Wee 센터에서 집단미술치료를 하며 또래 관계의 개선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자신이 속한 기관과 치료자들을 신뢰하는 과정을 겪으며, 집단미술치료가 Wee 센터에서 꼭 필요한 존재임을 알아차 리게 된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이 다양한 정서적 어려움을 있는 청소년이며 한정된 입소기간으로 인해 추 가면접의 어려움 등의 한계를 갖고 있지만, 청소년들이 Wee 센터에서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생생하게 담고 있 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체험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정신건강 의료기관이나 학교 내에서 청소년을 위 한 전문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병원 형 Wee 센터의 필요성과 확대를 위한 유 익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병원 형 Wee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신은자,정여주,지구덕,박민정,김시내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verif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chool adaptation, empathy,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in the commissioned education program of the hospital-type Wee Center, and to seek efficient application of group art therapy in a commissioned education. Participants includ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and were recommended by the teacher in charge at the Wee Center. A total of 1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with 6 participa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group art therapy,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went through art activity in an art curriculum. For this research, 90-minute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September 2, 2019 to November 18, 2019, for a total of 12 times. The Korean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short form (EQ-short-K), school adjustment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7) and Draw-a-Story (DAS) were used as measurement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by comparing the pre-mean and post-mean valu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daptation and empathy of adolescents. Also, while depression and anxiety were found to decrease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effect was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Ou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run by art therapist helps adolescents to adapt to school who are receiving commissioned education at the hospital-type Wee Center. Second, both group art therapy and art activities in an art curriculum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 Third, due to the nature of the hospital-type Wee Center, it is necessary for an art therapist, who can handle both the dynamics of a group and the advantages of art program, to intervene.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our results are meaningful as a base data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rt therapy at the hospital-type Wee Center.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형 Wee 센터 위탁교육과정에서 실시 되는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학교적응, 공감,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검증하고, 위탁 교육에서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적용을 모색하는 데있다. 연구참여자는 Wee 센터 담당교사가 추천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12명의 중고등학생이며, 각 6명씩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미술 교과로 미술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기간은2019년 9월 2일부터 11월 18일까지이며,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한국판 단축공감 척도(EQ-short–K)와 학교 적응척도(School Adjustment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9),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7) 그리고 이야기그림(Draw-a-Story)검사이다.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집단에서 청소년 학교적응과 공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모두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지만, 실험집단에서 좀 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한 결론은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가 운영하는 집단미술치료는 병원 형 Wee 센터에서 위탁 교육을 받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와 미술프로그램 모두 우울감 감소에 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병원 형 Wee 센터의 특성상 미술 작업이 가진 이점과 함께 집단 내 역동을 다룰 수 있는 미술치료사의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병원 형 Wee 센터에서 미술치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변형된 창함수를 사용한 FIR 디지털 필터에 관한 연구

        강경,배상범,김남호,지구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03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4 No.1

        현대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라 신호처리 분야 중 디지털필터의 사용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영상처리, 디지털 음성처리, CATV 및 각종 통신 분야 등에서 카메라의 Detail processor, Y/C separator, Ghost제거 필터, 표준변환기(NTSC-PAL), Noise reducer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필터에는 일반적으로 IIR(infinite impulse response)과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구현이 용이하고 선형위상특성을 갖는 FIR 디지털필터를 설계하였다. FIR 디지털필터 설계에 있어서 통과대역의 차단주파수 부근에서 깁스(gibbs) 현상에 의해 생긴 리플을 완화하기 위해 window함수를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window는 고정된 값으로 되어 있으므로 설계목적에 적합한 window함수를 선택함에 있어 다소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설계목적에 따라 서 융통성있게 선택이 가능한 파라메터를 부가한 변형된 Hanning window를 설계하였으며,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디지털필터를 설계하여 기존의 Hamming, Hanning, Blackman, Kaiser window와 비교하였으며, 판단기준으로 peak side-lobe와 천이특성 등을 사용하였다. The use of digital filters in the signal process field is increasing rapidly with development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Especially, detail processors, Y/C separators, ghost removing filters, standard converters (NTSC to PAL or PAL to NTSC) and noise reducers, all of which use digital filters, tend to be used in digital video and audio processing, CATV and various communication fields. Generally, there are two different digital filters, the Rf (in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and the FIR (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in digital filter.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FIR filter which has the phase linearity and the easiness of creation. In the design of the FIR digital filter, the window function is used to alleviate the ripples caused by Gibbs Phenomenon around the cut off frequency of the band pass. But there're some problems to choose proper window function for the design destination due to its fixed valu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igned a modified Hanning window with new parameter which is adaptively chosen corresponding to design objectives. The digital filter was simulat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Hamming, the Manning, the Blacknan and the Kaiser window function. And we have used peak side-lobe and transient characteristics as standard of jud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