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초년생의 조직몰입과 선도적행위, 상사․동료지원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주홍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activity,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For the study, survey was carried out of 147 newcomers who worked in first graduate job.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activity of newcomers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for newcomers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of newcomers has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activity,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of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This study is aimed at newcomers who have graduated from a four-year college and who are employed in large companies for less than three years,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generalization in terms of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and manufacturing worke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newcomers in various industries and companies who have graduated from highschool and junior colle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to overcome limitations of testing mediation with regression analysis. 이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조직몰입과 선도적행위, 상사․동료지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을 졸업하고 첫 직장에 취업한 사회초년생 14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초년생의 선도적행위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초년생에 대한 상사․동료지원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초년생의 직무만족은 조직몰입과 선도적행위, 상사․동료지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대기업에 재직 중인 3년 미만의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하고, 응답자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제조업 종사자라는 측면에 일반화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보다 다양한 기업과 산업분야의 신입사원, 고졸 및 전문대졸자 등 다양한 특성의 신입사원을 대상으로도 본 연구의 결과가 적용이 가능한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검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 등과 같은 방법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스트레스 및 문제해결력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주홍석,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 status, career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The specific objective wa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which corresponds with empirical data; to analyze the effect of career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on career decision statu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A total of 1,039(male 557, female 467) data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instrument was used in the research for the data collection. The survey instrument consisted of career stress inventory, problem-solving inventory, career decision status, and demographic item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Win statistics packages and AMOS 18.0 version.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t index of research model among career stres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areer decision status were identified unsuitable. Thus, correction model was chose as optimal model. Second, career stress is effect in the negative to career decision status, bu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s effect in the positive to career decision status. Third, there was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decision statu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other career stressor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uld feel. Second, the research model should be investigated in various groups to figure out that the research model could be adopted on whole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if there is the deviation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study, model should be amplified to be more comprehensive model that broad and plentiful information about career decision status of adolescent. 이 연구는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와 문제해결력이 진로결정수준에 끼치는 과정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 1, 2, 3학년 480,826명이었으며, 유층화 군집과 유층화 비율표집을 활용하여 총 1,188명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로는 질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질문지는 진로스트레스, 문제해결력, 진로결정수준,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에는 불성실응답자를 제외한 12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1,039명(남 557명, 여 467명)의 자료가 사용되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스트레스와 문제해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진로스트레스가 문제해결력을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인과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기준치를 다소 벗어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진로스트레스의 관찰변인 중 외부갈등과 내부갈등의 측정오차 간에 상관된 측정오차를 가정한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하여 진로스트레스는 부적으로, 문제해결력은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생의 진로스트레스는 문제해결력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과 개인 및 조직 특성의 관계

        주홍석,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level of work adjustmen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More exactly, the aim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newcomers’ work adjustment distal outcom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antecedent variables of work adjustment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pre-entry knowledge, post-employment expectation, proactivity,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t work) and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adjustment proximal outcomes(task mastery, role clarity and social integration). To undertake this study,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with a work experience of less than 3 years were set as target population and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 large corporations, of which 223 were used for analysis. T-test, F-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 difference was found on the level of work adjustment based on gender while it differed based on the years of work experience. Second, among the antecedent variables of work adjustmen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t work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post-employment expectati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t work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pre-entry knowledge, proactivity, social support at work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work adjustment proximal outcome. Fifth, work adjustment proximal outcome has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variables of work adjustment(proactivity, social support at work) and work adjustment distal outcome(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Finally, discussion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graduate newcomers. 이 연구는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 수준과 개인 및 조직 특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었다. 즉,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 원거리 결과(조직몰입, 직무만족)와 개인 및 조직차원의 직업적응 선행변인(입사 전의 지식, 입사 후에 대한 기대, 선도적 행위, 조직사회화 전략,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의 관계를 구명하고, 그 관계에서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역할 명확성, 과업 숙달, 사회적 통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근속기간 3년 미만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을 목표모집단으로 설정하고, 20개 대기업 신입사원 400명을 설문하였고, 최종 223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가설은 수집된 자료를 활용한 t검증, F검정, 표준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 수준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근속기간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적응 선행변인 중 조직사회화 전략과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사 후에 대한 기대, 조직사회화 전략,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사 전의 지식, 선도적 행위,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이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적응 선행변인 중 선도적 행위는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를 부분 매개하여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장 내 사회적 지원은 직업적응 근거리 결과를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응과 관련된 학술적, 실용적 논의와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사용 환경교육 u-Learning 콘텐츠 개발

        서우석,주홍석,남중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이 연구는 환경교육 담당자들이 환경교육 유러닝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교사용 환경교육 유러닝 콘텐츠’를 개발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콘텐츠 개발에 있어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자는 구체적인 개발절차를 거쳤으며, 개발 과정에서 학생용 유러닝 콘텐츠 분석, 문헌분석,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환경교육 콘텐츠는 총론 2차시와 초등학교 교사용 2차시, 중학교 교사용 2차시, 고등학교 교사용 2차시, 총 8차시로 구성된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해서 대학 교수 및 환경교육 전문가로부터 평가를 받았고, 평가결과 개발된 교사용 유러닝 콘텐츠는 교수설계 측면과 교육내용 측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 및 개발된 콘텐츠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첫째, 개발된 콘텐츠를 교사들에게 제공하여 학습하도록 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개발된 교사용 환경교육 콘텐츠가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미 개발된 학생용 콘텐츠와의 연계 및 공동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 및 학생들을 위한 유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교사들이 유러닝 콘텐츠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양성과정과 교사연수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education u-learning contents for teachers. To ensure valid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the researchers went through a specific development proces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u-learning contents for student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hosted expert forums. Develope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consisted of eight lessons. The contents consisted of introduction and lesson fo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middle-school and high-school. Each lesson was allocated two hour. The u-learning contents were evaluat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nd both in term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content received an excellent score. Recommendations for applying the content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contents should be used by teachers who teach regarding to environment, and ne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Second, in order to utilize the contents for teachers widely, it is required to co-distribute with the contents for students. To this end, the u-learning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eacher-education and teacher in-service training for take advantage of them.

      • KCI등재

        병사들의 군 복무 가치 제고방안을 위한 연구

        정철영,주홍석,김태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understand real condition about the military service value of soldiers in the army and to deduct implications of strategies which let soldiers recognize the military service value and induce soldiers to serve miliary service spontaneously and actively.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1) Suggesting the meaning of the military services values and analyzing policies related with the military service value of soldiers in the army. (2) Understanding real condition about the military service value of soldiers in the army by a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of which questionnaire is based on the result of first step. (3) Based on understanding, deducting implications of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ilitary service value. The following eight find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Recognition about the rationality and the usefulness of military service should be highlighted in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ilitary service value. (2)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ilitary service value of college students who will be conscripted. (3) The role of soldiers in the army should be emphasized to improve importance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4) To improve rationality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reasonably for military service and to improve conditions of military service. (5) To improve usefulness recognition of military service, the opportunity that only military service can provide should be emphasized and promoted. (6) It is required to offer the opportunity that promote self-examination to soldiers during military service. (7)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elf development of soldiers and to guarantee the time of the self development to soldiers. (8) It is urgent to eliminate elements that hinder the military service value of soldiers. 이 연구의 목적은 병사들의 군 복무 가치 인식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병사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군 복무 수행을 유도할 수 있는 군 복무 가치 제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병사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 복무의 합리성과 개인차원의 이익에 대한 인식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입대 전 대학생에 대한 군 복무 가치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군 복무의 중요성 인식 제고를 위해 군에서의 병사 역할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군 복무의 합리성 인식 제고를 위해 군 복무에 대한 합리적 보상 및 군 복무 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군 복무의 이익 인식 제고를 위해‘군 생활만이 개인에게 줄 수 있는 경험과 역량개발 기회’를 강화 및 홍보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병사들에게 자신의 삶과 진로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병사들의 자기개발 시간 보장 및 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군 복무 가치 인식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없애는 방안이 시급하다.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운영 우수사례 분석

        정철영,주홍석,조영아,전지민,정지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korean colleges through the study of exemplary management cases of World Class College(WCC) using the Network Text Analysis. To do this, best practices in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each WCC colleges were first collected (38 cases), then using the Network Text Analysis, key words of those cas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looking at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key wor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rds ‘improvement’, ‘global’, ‘training’, ‘abroad’, ‘employment’, ‘reinforcement’ had high level of degree centrality and Eigen vector centrality. This implies that those key words have high frequency of exposure as well as degree of influence, meaning that they are forming a hub within the whole network.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re were four types(cluster 1~4) of clusters formed by the networks between the 65 key words that were extracted. Cluster 1 was found to mainly explain aspects related to the word ‘global’, ‘management’ and that were linked with key words such as ‘reinforcement’, 'system', ‘building’, 'ability' and 'abroad'. For cluster 2, the following words ‘employment’, ‘student counselling’, were found to be linked together to with key words such as 'student', 'development', ‘support’, and ‘career’. Cluster 3 was found to mainly explain aspects of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that were linked to the key words ‘talented person’, ‘personality’, ‘leadership’ and ‘innovation’. In the case of cluster 4, industrial-college cooperation were represented by key words such as ‘industry’, ‘professionalism’, ‘in business’,‘association’, ‘manpower’, and ‘cooperation’, that were interconnected and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industry-college coope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orientations and policies for education and management of korean colleges were proposed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 운영 우수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전문대학의 효과적인 교육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세계적 수준의 전문대학(WCC) 운영과 관련된 각 WCC 대학의 운영 우수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38편의 우수사례 내용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WCC 운영 우수사례의 주요어를 도출하고, 주요어 간의 구조적 특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향상, 글로벌, 양성, 해외, 취업, 강화 등의 주요어가 연결중심성과 아이겐벡터중심성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주요어들이 노출빈도가 높은 동시에 영향력이 높은 중심 주요어로 전체 네트워크에서 허브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WCC로 선정된 우수한 전문대학들은 향상, 글로벌, 양성, 해외, 취업, 강화 등의 주요어로 대표되는 특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65개의 핵심 주제어 사이의 네트워크는 4개 유형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었다. 클러스트 1은 글로벌과 운영을 중심으로 향상, 시스템, 구축, 능력, 해외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글로벌 역량 강화 및 지원시스템 구축을 의미하고 있었다. 클러스트 2는 취업과 상담을 중심으로 학생, 개발, 지원, 커리어, 관리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학생 취업 및 경력관리지원을 의미하며, 클러스트 3은 양성과 융합을 중심으로 인재, 인성, 리더십, 창의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차별된 인재 양성을 의미하고 있었다. 클러스트 4는 산업체와 전문성을 중심으로 실무, 연계, 인력, 협력, 산학 등의 주요어와 연계되어 현장 전문성을 의미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의 교육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연구결과 활용 및 후속연구를 위한 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교기업지원사업의 교육 및 수익지표를 통한 학교기업 유형 분류

        정철영,오창환,주홍석,이건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chool-based enterprises supported by government from the educational criteria and commercial criteria, and to classify school-based enterprises by the type.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rate of field study investment, vocational high schools are running centrally for education, however university and college are centrally for commercial benefit. Second, the percentage of the school-based enterprises which have low benefits from both educational point and commercial point is quite high. Third, there are certainly different types of school-based enterprises, so financial assistance system and legal regulation should be customized. Fourth, each type of school-based enterprises is advanced differently such as operating, supporting, and improving. Fifth, many school-based enterprises don't have enough ability to spin-out with weak economic independence.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irst, the type of school-based enterprise such as the one centered educational point, and the other centered commercial point are should be considered to give financial support. Second, the criteria should be clarified from economic independence whether to spin-out or kick out. 이 연구는 정부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기업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교기업을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교육적 지표와 수익적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교기업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교급별 학교기업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전문계 고등학교의 학교기업은 교육중심으로 하는 교육중심형 학교기업, 전문대학의 학교기업은 교육중심으로 하는 교육중심형 학교기업, 대학교의 학교기업은 수익중심으로 하는 사업중심형 학교기업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기업의 성과에 따른 유형을 구분한 결과, 후진형 학교기업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 수익 지표를 통해 학교기업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형태의 학교기업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지원방식 및 법률적 규제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넷째, 각 학교기업의 유형별로 운영 및 지원, 개선영역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스핀아웃(Spin-out)을 고려할 때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학교기업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중심형 학교기업과 수익중심형 학교기업이 분명하게 구별되는 만큼 이를 예산 지원에 있어 반영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 기업의 재정적 자립수준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퇴출과 졸업을 결정하는 기준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산림분야 유망직업 선정 연구

        신윤호,이건남,주홍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4

        Recently according to the increased utilization possibility, expansion of service sector utilizing forest, and international attention on the forest resource, environment changes surrounding forest have led to rising the demand for professionals associated with forest field. In this study, potential future occupations were sele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est in jobs of the forestry sector. To pursue this goal, the environment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finding out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sector jobs, and potential future occupations in forest fields were driven. And the Delphi survey with 10 experts of forest and vocational studie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draf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est therapists and guides, forest biomass researchers, forest researchers of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ers of forest pest control, researchers of forest resource breeding, forest ecological restoration technicians, forest protection technicians, forest disaster experts, foreign species surveyors, forest therapists(doctors), and amenity researchers of forest ecology, were selected as potential future occupations in forest fields. Seco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potential future occupations were higher vocational employment opportunities, expected increases in the number of workers for the future profession, high-income profession, taking advantage of th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and policy direction of Korea Forest Service. For this reason, selected future occupations in forest fields can be positioned as a profession which are not seasonal employment/lower revenues but guaranteed continued employment/regular incomes. Third, since potential future occupations depend on the era,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uture forestry and related industries. Plus a system associated with developing professionals in the forest sector should be established to meet the demands of new jobs and manpower for future. 산림의 자원 활용가능성의 증가와 산림을 활용한 서비스업의 확대, 산림에 대한 국제적 관심증대 등 산림을 둘러싼 환경변화와 활용 가능성의 증대로 이와 관련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분야 일자리에 대한 관심 증대를 위해 산림분야 유망직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분야 일자리 현황과 정책과 신림분야 유망직업 도출을 위한 환경분석을 하고 유망직업 초안을 도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산림 및 직업연구 전문가들 등 10인으로부터 산림분야 유망직업의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분야 유망직업으로 산림테라피스트 및 가이드, 산림바이오매스연구원, 산림생물자원 연구원, 산림병충해방제연구원, 산림자원 육종 연구원, 산림생태복원기술자, 산림보호 기술자, 산림방재전문가, 해외수종검사원, 산림치료사(나무의사), 산림생태 어메니티 연구원이 산림분야 유망직업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유망직업 선정 기준으로 취업기회가 높은 직업 또는 향후 종사자 수의 증가가 예상되는 직업, 소득이 높은 직업, 전문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직업, 산림청의 정책적 방향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과거와 같이 계절에 따라 고용이 단절되고 낮은 수익의 직업이 아니라 지속적인 고용이 보장되고, 일정한 수입이 보장되는 직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유망직업은 시대, 시기에 따라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향후 산림과 관련된 산업들이 어떻게 발전해 갈 지를 주시하고, 이와 관련된 새로운 일자리의 발생과 인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산림분야 전문 인력의 수급과 양성과 관련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 KCI등재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 개발을 위한 델파이 분석

        정철영,양안나,이종범,주홍석,조영아,심지연,박성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or Index to measure level of Public Consciousness for Veterans. Based on the literature, a definition of the Veterans was derived and a prototype of three sub-elements, nine indicators were derived. With the Delphi method, the validity of the draft was confirmed by two rounds. Data from each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analyzed for means, standard deviations, degree of coincidence and convergence in opinion, agreement rate, and degree of consensus by SPSS 18.0 version. Whether Delphi survey would continue or not an additional round, was determined by agreement rate(80% or more), CVR(>0.56 in case of 12 experts), and degree of consensus(standard deviations<0.80). As the results of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Public Consciousness Index for Veterans is consisted of three sub elements(Understanding Index for Veterans, attitude Index for Veterans, sympathy Index about policy for Veterans), nine indicators. Public Consciousness Index for Veterans is such as a goal index and it is derived respectively from veterans on mandatory service and veterans as a career for medium-and-long-term service. It is converted to 100 point scale, and it scores between 0 to 100. 이 연구의 목적은 제대군인 관련 정책수립과 실행, 평가의 기반이 되는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대군인 개념, 정책영역, 제대군인 관련 조사 및 설문지 문항을 분석하였고, 다양한 지수 및 지표 등을 분석하여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를 구성하는 하위지수 및 개별지표를 도출하고 구조화하였다. 개발된 지수는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는 제대군인 및 제대군인 정책에 대한 국민의 의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적·역사적으로 형성된 개인적·집단적 인식, 태도 및 감정의 정신작용에 대한 지표들을 종합하여 산출한 단일 값을 의미하며 둘째,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의식지수」는 ⑴제대군인에 대한 이해지수, ⑵ 제대군인에 대한 태도지수, ⑶ 제대군인지원 정책에 대한 공감지수 3개의 하위지수로 구성된다. 셋째, 하위지수는 다시 ① 제대군인에 대한 기본 이해, ②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애로사항에 대한 이해, ③ 제대군인의 기여 인식, ④ 제대군인에 대한 대우, ⑤ 제대군인 능력에 대한 인식, ⑥ 제대군인 지원정책에 대한 관심도, ⑦ 제대군인 지원정책에 대한 이해, ⑧ 제대군인 지원정책의 적절성, ⑨ 제대군인 지원정책 확대의 필요성의 총 9개의 개별지표로 구성된다. 넷째,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 의식지수는 목표지수 성격으로 의무복무 제대군인과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에 대한 국민 의식지수로 각각 산출되며 각 대상에 대한 국민 의식지수는 100점 환산점수로 산정되어 0에서 100사이의 값을 가지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