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위공 서희 묘역의 고고학적 의미

        주영민 영남고고학회 2024 嶺南考古學 Vol.- No.99

        국가 수립 이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고려 분묘유적은, 1968년에 사적 제164호로 지정된 진주 평거동 고려고분군, 1988년에 사적 제323호로 지정된 윤관 장군의 묘 등이 유일하고, 이 두 유적의 사적 지정 준거는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 위상은 특정 시기를 대표할 수 있는 역사성과 상징성을 가지고 동시에 대체할 수 없는 존재가치의 희소성과 유일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 관인분묘의 원형을 상실한 윤관 장군묘가 사적으로 지정될 수 있었던 것은 인물이 가진 국난극복의 상징성 때문이었다. 이러한 견지에서 서희 묘역을 살펴보면 고려의 관인분묘의 외형을 일부 유지하면서 조선시대 관인분묘로 변모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희 묘역의 이러한 양상은 묘역이 고려시대에 처음 조영되어 조선시대에도 계속 유지․관리되고 있었던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서희 묘역의 고고학적 검토를 통해서 종래의 연구와 같이 고려 전기 관인들이 일률적으로 매장지로 개경과 근기 지역을 선호하였는지는 의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 고려 시기 묘지명 자료를 재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적어도 고려 관인들이 본격적으로 개경과 그 일원을 매장지로 활용한 시기는 문종 시대부터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렇다면 고려의 각종 제도가 법제화되고 개경의 위상이 새롭게 확립되었던 고려 문종 이전 시기에는 고려 관인들이 비록, 본거지를 개경으로 이거를 하였음에도 여전히 자신들의 출자지와의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려 문종 이전 시기에 서희 묘역이 지금의 경기도 여주시에 조영 되었을 가능성은 크다고 판단된다. Goryeo’s grave remains that have been designated and managed as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include Goryeo’s old tomb group in Pyeonggeo-dong, Jinju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 164 in 1968 and the tomb of General Yun Gwan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 323 in 1988 only, and the criteria for designating these two remains as historic sites exhibit several problems. In general, the status of a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has the historicity and symbolicity that can represent a specific period, and importantly, the irreplaceable scarcity and uniqueness of the value of existence should be equipped at the same time. Nevertheless, the tomb of General Yun Gwan which lost the original form as Gwaninbunmyo in Goryeo could be designated as a historical site because of the figure’s symbolicity in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Looking at Seo Hee’s tomb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find the aspect that it was transformed into Joseon’s Gwaninbunmyo while maintaining part of the appearance of Goryeo’s Gwaninbunmyo. This aspect of Seo Hee’s tomb is understood to show that the graveyard was first formed in Goryeo and then maintained and managed continuously in Joseon, too. Nex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examination on Seo Hee’s tomb, it is questionable whether early Goryeo officials uniformly preferred Gaegyeong and Geungi areas as burial sites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reinvestigated the material of epitaphs put in graves in Goryeo.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ime when Goryeo officials used Gaegyeong and areas around it as burial sites in earnest was from the time of King Munjong. Then, during the time before King Munjong in Goryeo when various systems were legislated in Goryeo and Gaegyeong’s status was newly established, it seems that Goryeo officials still maintained a bond with where they were born even though they moved their home base to Gaegyeong.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Seo Hee’s tomb was built in Yeoju, Gyeonggi-do during the time before King Munjong in Goryeo.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남지방 일제강점기 송탄유가마 연구

        주영민 영남고고학회 2018 嶺南考古學 Vol.- No.82

        Since there are few relics excavated, research on pine oil kilns in Yeongnam Province has been mostly focused on figuring ou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m relying on literatures with no precise analysis on the remains. Therefore, it has failed to give clear explanation about the fact that the firing room of pine oil kilns was rebuilt twice with different material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uthor conducted analysis on the relics of pine oil kilns that have been excavated so fa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t first, the pine oil kiln was similar to the one producing oil made of pine resin collected. Furthermore, this author found the pine oil kiln first devised around 1938 and also two photos showing how the pine oil kiln was working. Along with that, this author suggests the valid possibility of colony Chosun’s traditional masters mobilized to apply their technique and operate the kilns in the background of the pine oil kilns completely equipped to the extent of performing their functions properly after several times of improvements made although they had exhibited many problems before. Next, this author analyzed the attributes rela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pine oil kilns and learned that building pine oil kilns was l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systematically based on thorough planning as part of securing resources they needed. Also, to induce the people to participate in it voluntarily, at first, they encouraged it as a side job for farm families; however, in the end, the colonial government enforced the monopoly system for pine oil to control it. Accordingly, pine oil kilns were built mostly in the foot of a mountain near the village where there were many people residing. In fact, all the colonized people including children got mobilized systematically to collect the byproducts of pines. 영남지방 송탄유가마 연구는 발굴유적이 소수여서, 대상 유구에 대한 세심한 분석 없이 문헌기록에 의지한 역사적 의미 파악에 치우쳤다. 그렇기 때문에 송탄유가마의 소성실을 두 번에 걸쳐 다른 재료로 재축한 것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근간으로 현재까지 영남지방에서 발굴된 송탄유가마 유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해보았다. 분석 결과 송탄유가마는 처음에는 채취된 송지를 원료로 사용해서 기름을 생산하는 가마와 모습이 유사했던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1938년경 처음 고안된 송탄유가마의 조업 모습이 담긴 2장의 사진을 새롭게 찾는 성과도 있었다. 이 밖에도 처음 송탄유가마를 축조 했을 때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일제가 여러 차례 송탄유가마를 개량하여 조업할 수 있을 정도로 완비할 수 있었던 배경에 식민지 조선의 전통 장인의 기술과 가마 운영에 이들이 동원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송탄유가마의 속성분석을 실시하여 규격화된 송탄유가마의 축조는 부족한 자원의 확보를 위한 일환으로, 식민정부의 치밀한 계획 하에 관주도로 조직적으로 실시되었던 것을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기사를 활용하여 재차 확인하였다. 또한, 일제는 송탄원유 생산의 주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처음에는 농가부업으로 장려하고, 송탄유가마를 인구 밀집 지역 인근의 산기슭에 축조하여 아동에 이르기까지 소나무 부산물 채취에 조직적으로 동원하였다. 그러나 종국에는 정부가 가격을 통제하는 전매제도를 실시하여 식민지인을 기만하였다.

      • KCI등재

        Performance Analysis of a Vacuum Pyrolysis System

        주영민,오광철,이강률,김대현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바이오시스템공학 Vol.4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a vacuum pyrolysis system, to analyze bio-oil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for farm-scale capacity. Methods: The biomass was pyrolyzed at 450℃, 480℃, and 490℃ on an electric heat plate in a vacuum reactor. The waste heat from the heat exchanger of the reactor was recycled to evaporate water from the bio-oil.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bio-oil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oisture content (MC) in the bio-oil was approximately 9%, the high heating value (HHV) was approximately 26 MJ/kg, and 29 compounds were identified. These 29 compounds consisted of six series of carbohydrates, 17 series of lignins, and six series of resins. Conclusions: Owing to low water content and the oxygen content, the HHV of the bio-oil produced from the vacuum reactor was higher by about 6 MJ/kg than that of the bio-oil produced from a fluidized bed reactor.

      • KCI등재

        산성 유적으로 본 나말여초 진주 지역 호족 - 산성 유적을 중심으로 -

        주영민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3

        나말여초기 진주 지역에 등장한 호족 세력인 윤웅․왕봉규․유문은 자신들만의 거점을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후삼국 爭霸時期 왕건과 견훤으로 대별되는 세력과의 관계 속에서 진주를 두고 존폐를 달리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삼국으로 분열된 시기에 진주 지방의 호족세력이 서로의 존폐를 두고 다투던 지역인 하동군․남해군․고성군 내에서 실시된 산성 유적에 대한 조사 성과를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강주의 대호족 윤웅이 남해군 고현면 일대의 대국산성과 임진성을 경영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그간 문헌 기록에 전적으로 의탁하여 잘못 이해한 왕봉규의 거점이 의령이라기보다는 하동인 것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여 보았다. 이 과정에서 대가야 때부터 중요한 대외 교섭 항인 多沙津의 위치가 하동 정안산성 주변인 것을 명문기와의 출토를 들어 논증하여 보았다. 아울러 거류산성에서 출토된 ‘租倉’名文瓦와 주변 유적을 살펴, 과거 거류산성이 육상과 해상 교통로의 요충지에 축성되었기 때문에 유문이 양곡을 운반한 곳으로 비정하여 보았다. Hojok that appeared in Jinju, during late Silla and early Goryeo including Yun Ung, Wang Bong-gyu and Yu Mun grew mainly around their own base independently. However, we can see that the way of their existence differed in Jinju within their relations with the forces identified by Wang Gwon and Gyeon Hwon in the period of Later Three Kingdom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relics of fortresses conducted in Hadong-gun, Namhae-gun, and Goseong-gun, the regions dotted with the struggles of hojok in Jinju for their own existence during the period when the country was divided into Later Three Kingdoms. As a result of it,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great hojok in Gangju, Yun Ung, may have managed Daeguksanseong and Imjinseong located in Gohyeon-myeon of Namhae-gun. Above all, this study presents a persuasive opinion that Wang Bong-gyu’s base must have been Hadong although so far, it has been wrongly identified as Uiryeong entirely based on literatures. In the proces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the location of Dasajin, the port that was used from Daegaya for crucial negotiations with the outside should have been around Hadong Jeongansanseong through the excavation of myeongmun giwa, Furthermore, examining relics found around ‘Jochang’ Myeongmunwa excavated in Georyusanseong, this study supposes that it must have been a place that Yu Mun used to deliver grain as Georyusanseong was built in the strategic point of traffic routes on land and sea previ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