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화의 지역경제 영향 분석: 수도권-비수도권 CGE 모형의 활용

        김의준,조희덕,Geoffrey J.D. Hweings,이창근 한국지역학회 2011 지역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간 일반연산균형모형을 이용하여 고령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지역 간 일반연산균형모형은 수도권 지역과 비수도권 지역의 두지역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분석 기간은 2006년-2030년의 25년으로 설정하였다. 지역별 인구연령별 노동생산성과 소비 특성이 모형에 반영됨으로써 지역의 인구 구성 변화가 국가 및 지역경제에 동태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가져다주는 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2006년 이후 25년간 고령화 추세가 지속된다면 국내총생산은 연평균 5.9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모두 전체 기간에 걸쳐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수도권 지역은2025년 이후 비록 기준년도보다는 지역내총생산이 감소하나, 전 기간과 비교해서는 지역내총생산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aging population on regional economies using an Interregional CGE Model of Korea. The CGE model is developed for three industrial sectors of two regions, namely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t of Korea. The model can identify how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activities are responding to the external shock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region with different labor productivities and consumption patterns of aging groups. This paper shows that aging population generates a comparatively nega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domestic economy, but the regional disparity gets reduced due to more serious reductions in the working population group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KCI등재

        교통부문의 지역별 자본스톡 추정

        하헌구,조희덕 대한교통학회 2002 대한교통학회지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교통부문의 지역별 자본스톡과 시설별 자본스톡을 시계열로 추정·제시하였는데 교통, 생활편의, 수리치수, 통신 등 사회간접자본시설 중에서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교통부문의 지역별 총자본스톡을 추정대상으로 하였고 추정대상 지역은 1970년대의 특별시, 직할시 및 도를 기준으로 하여 11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1968∼1997년 기간의 장기시계열을 추정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별 할당계수를 산정하고 이를 교통부문별 총차본스톡에 적용하여 지역별 자본스톡을 추정하는 지역별 할당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타일(Theil)의 불균등계수(Inequality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지역별 할당계수 대안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도로부문의 총자본스톡을 지역별로 할당하기 위한 지표로 지역별 포장도로의 연장(대안 1), 지역별 포장도로의 2차로 환산연장(대안 2), 지역별 포장도로의 2차로 환산연장을 지역별 표준지 평균지가로 가중한 값(대안 3) 등 3가지 대안을 설정하고 각 대안들의 예측력을 비교·평가한 결과 대안 2를 최적대안으로 선정하고 이에 기준으로 지역별 총자본스톡을 추정하였다. 철도부문의 총자본스톡을 지역별로 할당하기 위한 지표로 지역별 철도연장(대안 1), 지역별 철도연장을 지역별 표준지 평균지가로 가중한 값(대안 2) 등 2가지 대안을 설정하고 각 대안들의 예측력을 비교·평가한 결과 대안 2를 최적대안으로 선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역별 총자본스톡을 추정하였다.공항부문의 총자본스톡을 지역별로 할당하기 위한 지표로 지역별 공항시설 규모(대안 1), 지역별 공항의 부지규모를 지역별 표준지 평균지가로 가중한 값(대안 2), 지역별 공항의 시설규모를 지역별 표준지 평균지가로 가중한 값(대안 3) 등 3가지 대안을 설정하고 각 대안들의 예측력을 비교·평가한 결과 대안 2를 최적대안으로 선정되었으나 공항부지 면적의 경우 연도별 시계열 자료가 없어 차선 대안인 대안 3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항만부문의 총자본스톡을 지역별로 할당하기 위한 지표로 지역별 항만시설 규모(대안 1), 지역별 공항시설을 지역별 표준지 평균지가로 가중한 값(대안 2), 지역별 항만의 하역능력(대안 3) 등 3가지 대안을 설정하고 각 대안들의 예측력을 비교·평가한 결과 대안 3을 최적대안으로 선정하고 이에 따라 연도별 지역별 총자본스톡을 추정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estimated regional gross fixed capital stock of transport sector, such as road, railroad, airport and seaport during 1968- 1997 in Korea. We also compared our estimation results with those of Korea and Japan. As basic analytic method, we used the regional allocation method. To estimate regional gross fixed capital stock of transport sector, we used the basic data on national wealth surveys in 1997, regional land price index and regional facilities index in transport sectors. We used the most reasonable data in the process of estimation after reviewing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get the reasonable capital stock by regions, we chose the allocation index which can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result and the real regional capital stock in the process to allocate the total gross capital into the regions. Compared our results with those of other researches in Korea, estimates in our research project could be said more accurate than those.

      • KCI등재

        운항사 관점의 저밀도 도심항공교통 운항통제 운용개념 연구

        진성현,조희덕,김다니엘,김재우 한국항행학회 202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8 No.2

        본 논문은 운항사 시각에서 접근한 저밀도 도심항공교통(UAM) 운항통제 운영 개념 연구를 다루고 있다. 인구수 천만 이상의 메가시티의 증가와 이로 인한 지상교통 혼잡, 환경 오염, 미래 도시 인프라의 공급과 수요 문제 등 사회적인 문제가 이슈됨에 따라, 도시 내 교통 혼잡의 중요한 해결책으로 UAM이 전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UAM은 친환경적인 전기 수직 이착륙(eVTOL) 기술을 탑재하며, 도심 내외 주요 지점 간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교통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UAM 시장은 초기 실용화 단계에서부터 성장기를 거쳐, 성숙기 자동화 단계까지 저밀도에서 고밀도 환경으로 점차 성숙해감에따라, 안전한 UAM 운영을 위해서는 성장 단계별 UAM 운항 통제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UAM 시장 초기인 저밀도 운영환경 에서의 운영 제어 개념, 중요 인프라, 운영 시나리오 등을 운항사 시각에서 살펴보며, UAM 운항 초기 단계인 저밀도 환경내에서 UAM 운항통제 운용개념을 분석하여 UAM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rational facets of low-density urban air mobility (UAM) from an airline's perspective amid burgeoning concerns about urban congestion in megacities. UAM, employing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eVTOL) technology, emerges as a potential remedy to the challenges of traffic gridlock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As the UAM market progresses from initial stages to maturity, tailored traffic control systems become paramount. Focused on the context of low-density environments during UAM's inception, this research scrutinizes operational frameworks, essential infrastructure, and likely scenarios. It aims to bolster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UAM operations by delving into the specifics of traffic control concepts designed for these unique settings. The study seeks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optimizing UAM's initial phases, providing insights into crucial operational dynamics for a smoother integration of urban air mobility into contemporary urban landscapes.

      • KCI우수등재

        교통부문의 시설별 자본스톡 추정

        하헌구,조희덕 대한교통학회 2001 大韓交通學會誌 Vol.19 No.5

        In this research, we estimated annual gross fixed capital stock of transport sector, such as road, railroad, airport and seaport during 1968-1997 in Korea. As basic analytic method, we used the polynomial benchmark method. The polynomial benchmark method requires capital stock estimates of at least two benchmark-years and is distinguished from other methods in the fact that retirement rate can be estimated within the model. To estimate gross fixed capital stock of transport sector. we used the basic data on national wealth surveys in 1968, 1977, 1987 and 1997. and investment data of each transport sector during 1968-1997. We used the most reasonable data in the process of estimation after reviewing the collected data. In estimating, some retirement rates were estimated at (-) value, so we have applied various method to fix up the problem. At last, we have reported several estimation resul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reasonable ones. Compared our results with those of other researches in Korea, estimates in our research project could be said more accurate than those. 본 연구에서는 교통부문의 자본스톡과 시설별 자본스톡을 시계열로 추정·제시하고, 아울러 사용자료 및 추정 과정 등을 명시적으로 서술하고자 함으로써 추정된 자본스톡 자료의 이용 결과에 대한 한계를 분명히 하도록 하고 또한 추후 보다 명확한 교통부문 자본스톡 추정연구를 위한 바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본스톡 추계대상은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교통시설이며, 추계모형으로는 폐기율이 모형식에서 내생적으로 계산되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는 다항식 기준년도접속법을 사용하였다. 도로부문은 각 기준년도 사이의 폐기율이 모두 음의 값을 나타냄에 따라 이를 보정하기 위해 2가지 대안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음의 폐기율이 나옴에 따라 최종적으로 1987년의 자본스톡 자료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과 1997년 자본스톡 자료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연도별 자본스톡을 추정하였다. 철도부문의 경우 1977년∼1987년 사이의 폐기율이 음의 값을 나타냄에 따라 이를 보정하기 위해 세가지 대안을 설정하고 분석하였음. 분석결과 1977년과 1997년의 자본스톡을 기준으로 연도별 자본스톡 시계열을 추정하는 것이 정확할 것으로 나타났다. 공항부문과 항만부문의 경우 기준년도 사이의 폐기율은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를 적용할 경우 1977년 이전의 자본스톡이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1977년 이전에 대해서는 다른 연구에서 제시한 자본스톡 추정결과를 적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