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트비아 리가의 창업주 크리스탑스의 전설에 나타난 보호자의 형상 연구

        조홍윤 ( Cho Hongyoun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8 No.-

        이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는 라트비아의 설화 크리스탑스 전설을 대상으로 그 서사적 함의를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전설의 주인공 크리스탑스는 라트비아의 수도인 리가를 세운 영웅으로서, 그의 도시 창건에 얽힌 내막을 담은 이 이야기는 곧 라트비아의 건국 설화로서도 의미를 지닌다. 이 이야기가 가치로운 점은 일반적인 건국 영웅의 서사시에 비하여 창업주의 자격에 대한 민중의 원형적 인식이 비교적 선명하고 구체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 서사에 제시된 창업주의 자격은 굳건한 보호자로서의 형상으로 응결된다. 거칠게 요동치는 강물로 표상되는 세계의 격랑을 거슬러 자신이 이루어낸 집단을 어깨에 짊어지고, 오직 자신에게 속한 구성원들을 지키고자 하는 일념으로 도저히 견딜수 없는 걸음을 굳건하게 내딛는 모습이다. 바로 그러한 보호자의 형상이야말로 민중이 원하는 창업주의 모습이며, 민중의 보호자를 자처하는 오늘날의 지도자들로 하여금 스스로를 돌아보게 할 거울이다. 또한 현실의 다양한 집단 속에서 창업주이자 구성원으로서, 보호자이자 피보호자로서 역할하고 있는 우리가, 집단의 주체로서 바로서기 위한 자세와 지향을 제시하는 전범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implications of Legend of Kristaps, Latvian tale,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in Korea yet. Kristaps is the hero who founded Riga, the capital of Latvia, and his story of founding this city is also meaningful as a founding tale of Latvia.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tory's archetypical perception of the founder's qualifications is relatively clear and specific compared to general epic of the founding hero. The founder's qualifications presented in this narrative are condensed in the eidos of a unshakable guardian. It is the image of him who takes his own group on his shoulders and takes an unbearable step against the wildly tossing world with the intention of defending his own group. It is the image of the entrepreneur that the people want, and the mirror that will make them look back on themselves. It is also an example for us who act as a founder, member, protector and ward in various groups of reality to set the attitude and direction to stand as the subject of a group.

      • KCI등재

        <창세가>의 성인(聖人)각성 화소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조홍윤 ( Cho Hongyoun ) 겨레어문학회 2020 겨레어문학 Vol.65 No.-

        1923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채록된 <창세가>는 한국 고유의 세계인식이 분명하게 나타난 창세신화 자료이다. 이에 그간 <창세가>에 관해 다양한 연구들이 제출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실제 <창세가>의 서사에서 최후의 화소로 제시된 ‘두 성인(聖人)의 각성’이나 그것을 기리기 위한 ‘화전놀이의 유래’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의미 구명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다. 그런데 논의에서 제외된 바로 그 부분에 부조리한 현세계의 유래가 된 석가의 법칙아래 놓인 세계를 회복시킬 생태적 의식이 함의되어 있다고 짐작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문제의 성인 각성 화소에 나타난 원형적 생태의식을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세가>의 서사에서 최초의 창세신 미륵의 주재 아래 놓인 세계와, 그에 대비되는 석가의 주재 아래 놓인 세계 속 ‘인간-자연’의 관계적 성격을 대비하고, 이를 통해 석가의 질서를 거부한 두 성인의 각성이 내포한 함의를 구명하였다. 그것은 두 성인을 기리기 위한 화전놀이의 함의를 밝히는 것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두 성인의 각성은 석가가 상징하는 파괴적 문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미륵의 생태적 질서로의 회귀를 의미한다. 미륵의 생태적 질서란 세계의 모든 구성원이 상호 주체적 관계를 맺는 유기체적 질서이다. <창세가>는 인간이 번영을 통해 그러한 유기체적 질서를 수호하는 생태계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말하고, 문명적 질서에 매몰되어 버린 현세계의 부정상을 극복하기 위해 다시금 그와 같은 유기체적 생태의식을 회복해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Changsega (Collected in Hamheung, Hamgyeongnam-do in 1923)" is a myth of the genesis that clearly reveals unique Korean perception about world. So far, various studies have been submitted on "Changsega". However, in the existing studies, there has not been an active understanding of the “awakening of two saints” and the “origin of Hwajeonnori” to commemorate it presented as the last motif in the actual narrative of "Changsega". Therefore, I tried to investigate the archetype of ecological 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the awakening of two saints motif. To this end, I contrast the world under the rule of Mireuk-the first god of genesis in the narrative of "Changsega" with Seokga's own in terms of the relational character of 'human-nature'. Through this, I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the awakening of the two saints who rejected the order of the Seokga. It is also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Hwajeonnori to honor the two adults. In conclusion, the awakening of the two saints means a return to the ecological order of Mireuk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estructive civilization symbolized by the Seokga. Mireuk's ecological order is an organic order in which all members of the world have a mutually subjective relationship. "Changsega" means that humans must become the subject of the ecosystem that protects such organic order through prosperity. And it is saying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negative situation in the present world, which has been buried in the civilized order, we need to restore such organic ecological consciousness again.

      • KCI등재

        59)자기 발견과 극복의 신화 구조를 활용한 구술생애담 서사 분석 시론

        조홍윤(Cho, Hongyoun)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8

        한 사람의 인생이 성공적이었는가를 판단하는 일은 자기 내적 진실, 나 라는 판단 주체의 자기인식에 근거하며, 그러한 자기인식은 구술생애담 서사의 표층과 심층을 아울러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재미있는 점은 구술생애담에 나타난 자기인식이 종종 매우 극단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어떠한 사례에는 긍정의 자기인식으로, 또 어 떠한 사례에는 부정의 자기 인식으로 양극단에 치우친 구연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쉽 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처럼 양극단으로 치우친 구술생애담을 견인하 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으로 양자에 해당하는 사례에 나타난 서사 구조상의 변별점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화적 영웅서사의 ‘고난-극복’ 구조가 뚜렷이 나타나고 극복의 주체로서 ‘나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경우에 자신의 삶을 긍정하는 방 향의 구술생애담 서사가, ‘고난-극복’의 두 구조 축 중에서 ‘극복’의 축이 결락되고 극 복 주체로서의 ‘나’가 부재하는 경우에 자신의 삶을 부정하는 방향의 구술생애담 서사 가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긍정의 방향으로 일관되는 생애담 서사는 세부적 으로 ‘고난-나의 역할-극복’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곧 한국 무속신화의 ‘자기 발견-극복’의 구조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기 발견과 극복의 신화 구조 는 생 애 주체가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재구할 수 있는 서사적 구조 원리로서, 다가올 삶 의 경험을 긍정적인 의미로 통합해 나갈 수 있는 인식적 도식으로서, 필연적으로 반복 될 현실적 삶의 고난을 맞이하여 그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서사적 행동 원리로 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Deciding on whether one’s life has been successful or not is grounded in one’s inner truth, that is, the self-awareness of a judging agent of “I . Such self-awareness is noticeably revealed in both the superficial and deep layers of the narratⅣe in oral life storie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self-awareness found in oral life stories is often characterized by severe extremity. This means that we can easily find cases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self-awareness of extreme ends, either affirmation or negation. This study wiⅡ focus on factors that lead oral life stories towards either of the extreme ends,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stinctⅣe points of narratⅣe structures found in the two cases. During the process, this author has observed that when the “hardships-overcoming” structure of mythical heroic narratⅣe is distinctly shown, and the roles of “I”, the agent of overcoming, are noticeable, the narratⅣe of oral life stories oriented to the affirmation of one’s life omits the axis of “overcoming” among the two structures of “hardships-overcoming”, and when “I” as the agent of overcoming is absent, the narratⅣe of oral life stories oriented to the negation of one’s life is constructed. At this time, the narratⅣe of life stories consistent with affirmation comes to form the structure of hardships-my roles-overcoming in detail, and this corresponds to that of “self-discovery/overcoming found in Korean s shaman myth. If so, the mythical structure of self-discovery/overcoming may function as the principle of a narratⅣe structure aⅡowing the agent of life to reconstruct his/her life positⅣely, as cognitⅣe schemata to integrate coming experiences in life as positⅣe meanings, and as the behavioral principle of narratⅣe to confront hardships in real life that wiⅡ inevitably be repeated, and cope with them successfuⅡy.

      • KCI등재

        해외 한국어문학 전공자 대상 창작 중심 시조 교육 사례 연구 -터키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홍윤 ( Cho Hongyo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7 No.-

        본 연구는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에서 2020년 가을학기에 수행되었던 고전시가입문 교과의 시조 단원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시조 창작 교육의 설계와 실제 수행 과정을 돌아보고 그 교육적 성과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학습자들의 창작 결과물을 통한 사례 분석의 결과, 학생들이 수업의 결과를 수렴하여 시조의 형식적·내용적 특성을 체감하는 것에 창작 행위가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입문 단계의 시조 단원 교육 방안으로서 시조 창작 활동이 적극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는 해외 한국어문학과의 고전문학 전공 교육 영역에서 이루어진 첫 사례 연구 성과로서 그 의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esign and execution process of Sijo creation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ijo unit education conducted in the 2020 fall semester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stanbul University and to confirm its educational outcome.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rough learners’ creation, by collecting the results of the class,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wri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xperience of th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Sij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creation of Sijo as a plan for teaching a Sijo unit at the introductory stage. This study is the first conducted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on classical literature in a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broad.

      • KCI등재

        일본 ‘빈보가미(びんぼうがみ)’ 설화 속 가난의 문제와 원형적 대응 방식 연구

        조홍윤 ( Cho Hongyou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2 No.-

        이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는 일본의 빈보가미 설화를 대상으로 그 서사적 함의를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야기 속에서 가난의 신으로 전해지는 빈보가미는, 인간의 삶에 커다란 장애 요소로 여겨지는 가난의 문제에 대하여 설화 향유자들이 지닌 원형적 문제의식을 응축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재미있는 점은 설화 속 빈보가미가 매우 인간화된 모습으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는 이 설화의 향유자들이 인식하는 가난이 우리의 삶에 운명처럼 주어지는 인간관계의 대상과 마찬가지의 결을 지님을 뜻한다. 원하지 않아도 주어지는 인간관계의 대상에 대하여 그를 부정하고 거부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며 그와 어떻게 관계 맺는가가 주요하듯, 운명처럼 주어지는 가난과의 관계에서도 그것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주요하다는 인식이 거기 있다. 서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 대응 방식의 핵심은 ‘공생 원리의 내면화’이다. 서로가 서로의 필요를 돌아보고 연대하는 공생적 관계 맺음이, 가난이 곧 복으로 화하는 설화적 구복 원리의 기반임을 빈보가미 설화는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더하여 빈보가미 설화는 가난해도 괜찮다는 소중한 삶의 진실을 되새기게 한다. 가난이 곧 불행이 아니며 가난 속에서도 삶의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평범하지만 흔히 잊혀지고 마는 그 진실을 서사의 전면에 드러내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implications of Japanese Binbogami stories that have not yet been fully addressed in Korea. Binbogami, handed down as the god of poverty in the story, can be said to be a condensed image of the archetyp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enjoy the story about the problem of poverty, which is considered a great obstacle to human life. What is interesting is that Binbogami appears in a very humanized form in the stories. This means that the poverty perceived by those who enjoy this tale has the same texture as the object of human relationships that are given to our lives as fate. There is a recognition that it is not good to deny and reject the object of a human relationship given to him even if he doesn't want it, and just as how he relates to him is important, how he responds to it is important in a relationship with poverty that is given as fate. The core of the response method concretely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 is intern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symbiosis. The folklore of Binbogami emphasizes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ymbiotic relationship where they look back on each other's needs and solidarity is the basis of the story's principle of salvation, which turns poverty into blessing. In addition, the folklore of Binbogami reminds us of the precious truth of life that it is okay to be poor. The plain but often forgotten truth that poverty is not unhappiness and that happiness can be found in poverty is revealed to the fore of th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