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광펄스(Intense Pulsed Light) 기술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 포자의 불활성화 연구
조혜림,김희주,황희정,정명수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7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7 No.04
내생포자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매우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가열 처리로 포자를 제어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열 공정은 식품의 텍스처와 색의 변화, 향기 성분의 손실, 영양성분의 파괴 등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비가열 살균 기술인 광펄스(Intense Pulsed Light)를 통해 식품의 품질은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식품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광펄스 살균은 고전압 발생 장치를 통해서 제논 램프에 의해 200-1100nm 범위의 넓은 파장을 가진 빛을 아주 짧은 시간 안에 펄스의 형태로 가하여 식품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펄스 살균 기술을 이용하여 Bacillus subtilis 포자의 저감화 효과를 800 V에서 1400V까지 200 V 간격에서 최대 90초까지 처리한 후 평판계수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Bacillus subtilis 포자의 사멸 정도는 전압이 증가할수록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800 V와 1200 V에서 50초간 처리한 결과 5.7, 6.1 log 정도의 사멸을 보였으며 1400 V에서는 50초 처리 만에 7 log 사멸을 나타내며 완전 사멸에 도달하였다. 포자는 생존 적절한 환경이 주어지면 영양세포로 발아, 성장을 하므로 이러한 기간 동안 광펄스에 대한 민감도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최대 6시간까지 배양하면서 포자의 발아 정도를 포자염색법을 통해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하고 이를 광펄스 처리하여 광펄스에 대한 민감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800, 1000, 1200 V 세 가지 조건 모두 배양 시작 후 1시간까지는 광펄스 저항성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점차 저항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6시간까지 배양시킨 포자의 발아, 성장 단계 파악을 위하여 600 nm에서 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80분까지는 발아가 일어나며 그 기간 중 1시간 까지는 초기 발아단계로 판단되었다. 초기 발아 단계에서 가장 주요한 내부 물질의 변화는 바로 포자 내의 디피콜린산의 유출로 디피콜린산은 자외선의 민감도를 부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도 포자 안에 축적되어 있던 디피콜린산이 유출되면서 광펄스에 대한 저항성이 발아 초기에 약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포자의 발아, 성장 단계와 광펄스 민감도의 변화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광펄스 살균 기술의 포자 저감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조혜림,안길재,김용성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2013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Vol.13 No.3
According to the ROK 2010 census, representatives living arrangement are changing from 4 people per household to 2 peopl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household and single household, the variety of lifestyles there has been a type of family structure. In this study, 1) through a precedent study review and case analysis to deduct representative group of lifestyle of Korean household. 2) Proposing spati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lifestyle. 3) Deducting residential U-services from which specified from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Project Operation Guide (2009)" of the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4) Deduct highly expected U-service by each of lifestyle. As a result, spatial configuration and U-Services are proposed by changes of lifestyle which is based on ROK 2010 census.
조혜림,유정화,서정관 한국해양공학회 2023 한국해양공학회지 Vol.37 No.3
When a fire accident accompanied by an explosion occurs, the surrounding firewalls are affected by impact and thermal loads. Damaged firewalls due to accidental loads may not fully perform their essential func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advanced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firewalls damaged by explosions. The fragments were assumed to be scattered, and fire occurred as a vehicle exploded in a large compartment of a roll-on/roll-off (RO-RO) vessel. The impact velocity of the fragment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TNT equivalent mass corresponding to the explosion pressure. Damage and thermal-structural response analyses of the firewall were performed using Ansys LS-DYNA code. The fire resistance reduc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ire-exposed and unexposed surfaces, temperature increase rate, and reference temperature arrival time. The degree of damage and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rewall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impact loads. When naval ships and RO-RO vessels that carry various explosive substances are designed, it is reasonable to predict that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will be degraded according to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the cargo.
비파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조혜림,임지영,한인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2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41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lly with a hot water extract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to elucid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loquat and promote the use of loquat in food processing. Methods: Loquat jellies were prepared with a hot water extract of loquat added at the following level: of 0% (LJ0), 40% (LJ40), 70% (LJ70), or 100% (LJ10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loquat jelly were analyzed for cooking loss, density, water content, pH, sugar content, turbidity, color analysis, and texture, an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and reducing power were assessed. Results: The cooking loss and the dens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the loquat extract content. The water content and the pH decreased, and the sugar content and the turbidi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the loquat extrac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loquat extract (p<0.05). Color analysis revealed a decrease in the L-value (lightness) and an increase in the a-value (redness) and b-value (yellowness) as the hot water extract of loquat levels increased (p<0.05). Regarding the texture,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extract of loquat (p<0.05), but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were unaffecte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and reducing power increased as the levels of hot water loquat extract increased (p<0.05).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health benefits of adding loquat to food products, including jelly, and provides basic data for developing healthier food products using a loquat extract.
조혜림,이설영,박순용,윤성범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서울시는 승용차 교통억제, 교통복지 실현, 기후변화 대응에 발맞추고자 2020년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을 시점으로 자율주행서비스를 도시교통체계로 수용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중이며, 점진적인 자율주행 실증지역 확대계획을 수립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의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교통빅데이터에 기반한 자율주행 실증 확대지역 선정 방법론을 정립하였다. 실증지역 선정을 위한 주요 지표로는 지역별 유동인구 규모, 택시 및 대중교통 카드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행패턴, 녹색교통지역과의 연계 추진 등 정책적 고려사항, 그리고 기타 지역별 사회경제지표, 토지이용, 교통취약지역 교차분석을 통한 교통소외지역 특화 서비스 등 교통복지 실현을 위한 지역균형발전형 실증지역 선정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선정된 실증대상지를 기준으로 우선순위에 대한 전문가 분석적 계층화 기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적용을 통해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서울시 전역의 자율주행 리빙랩 추진을 위한 단계별 마스터플랜을 제시하였다.
자연주의 의료에 대한 언론보도와 미디어 프레이밍의 탐색적 연구
조혜림,정민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2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dangerous health behaviors as a result of ‘Raising a Child Without Medicine (Anaki)’, there is little study on how naturalistic medicine is framed. We investigated the media reporting and media framing method of naturalistic medicine based on the case of Anaki. The research data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year 2017, in which the case of Anaki became a major issue and the police investigation proceeded. We analy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frame of three domestic terrestrial broadcasters who focused on news articles and in-depth programs about Anaki case. The reports on Anaki cases showed a clear trend by time, mainly by direct reporting method (p<.05),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nformation sources used for terrestrial news articles (p<.05) and in–depth programs (p<.00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ews frames of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p<.001).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set up guidelines for the media to lead the framing to prevent unintended health effects from the media. In addition, a media environment should be fostered that ensures smooth health communication and helps people have access to unbiased health information.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안아키)’ 사건으로 위험한 건강행동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자연주의 의료가 어떻게 보도되고 미디어에서 프레이밍 되는지에 대해서 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주의 의료에 대한 언론보도와 미디어 프레이밍 방식을 안아키 사건을 중심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안아키’ 사건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그에 대한 수사과정이 진행되는 2017년 1년간의 미디어 자료 를 코딩하여 활용하였다. 연구진은 안아키 사건에 대해 뉴스기사와 심층프로그램을 집 중 보도한 국내 지상파 3사를 중심으로 양적, 질적 특성 및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안아키 사건에 대한 보도량은 시기별로 뚜렷한 추세를 보였으며, 주로 직접취 재 방식에 의해 이루어졌고(p<.05), 지상파 3사간 뉴스기사(p<.05)와 심층프로그램 (p<.001)에 사용된 정보원의 차이가 있었다. 지상파 3사별 뉴스기사의 보도에 대한 미 디어 프레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심층 프로그램에서는 미디어 프레 임의 차이가 상이하게 나타났다(p<.001). 이번 연구는 미디어로 인한 의도되지 않은 건강 영향을 막기 위하여 보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세우고 건강 정보가 시청자들에게 올바르게 소비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헬스 커뮤니케이션 의 역할을 강화하고 소비자들이 건강정보를 균형 잡힌 시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있도 록 돕는 미디어 환경이 요구된다.